본문내용
hylephedrine HCl 13.125mg.
적응증 :기침, 가래.
용법/용량: 성인 20ml, 11-14세 13ml, 8-10세 10ml, 5-7세 7ml, 3-4세 5ml, 1-2세 4ml, 3개월-1세 2ml 1일 3-4회.
Actiped 적응증 : 코감기 또는 알러지성 및 혈관운동성비염에 의한 다음 증상의 완화: 재채기, 콧물, 코막힘, 눈물.
성분명 : 10ml 중 pseudoephedrine HCl 60mg, triprolidine HCl 2.5mg.
적응증 :코감기 또는 알러지성 및 혈관운동성비염에 의한 다음 증상의 완화: 재 채기, 콧물, 코막힘, 눈물.
용법/용량 :성인 및 12세 이상 소아: 1회 10ml, 6-12세 5ml, 2-5세 2.5ml, 1일 3회.
금기 :본제 과민증 환자, 중증의 간신기능 장애 환자, 중증의 관상 심장 질환자, 잔뇨 형성을 수반하는 배뇨장애 환자, 고혈압 환자, 임부 또는 가임부, 수 유부, 2세 이하의 영아, MAO 저해제를 투여중인 환자, 파라옥시안식향메 칠에 과민증 환자.
주의 :천식, 녹내장, 고혈압 및 관상동맥질환 환자, 심질환 및 부정맥 환자, 당뇨병,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 전립선비대로 인한 배뇨곤란 환자, 7세 이하의 소아.
(4)대상자의 상황진술 요약
아이는 고열로 입원을하였고 현재도 고열이 있는 상태이다. 먹는데 알러지나 가리는건 없는데 우유를 잘 안먹으려고 하며 입원후 체중이 줄어들었고 설사를 하루에 네번정도로 자주하는 편이다. 엄마랑 떨어져 있을 때 보채며 우는 분리불안을 느끼는 듯하였다.
2)간호 과정
간 호 사 정
주관적 자료
엄마가 아이가 자꾸 보채며 몸이 뜨겁다고 하신다.
객관적 자료
고열이 있다 39.5도
홍조 띈 얼굴을 하고 있다.
고열로 인해 구강점막이 건조하다는 걸 눈으로 볼 수 있었 다.
간 호 진 단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간 호 계 획
기대 결과
체온이 정상 범위에 있다.
간호 계획
해열제(Rhinaphen)를 투여하고 1시간 마다 리체크를 한다.
필요없이 뚜껍게 입은 옷을 얇게 입힌다.
미지근한 물로 닦아준다.
수분 섭취를 격려 한다.
이론적 근거
해열제는 열을 내리는데 빠른 효과를 볼수 있다.
열을 자주 체크하여야 그에 따라 미온수 목욕을 할것인지 해열제 투여시간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할지 결정할수 있다.
고체온으로 인해 탈수가 될 염려를 수분섭취로 예방한다.
미온수를 아이의 체온을 극적이지 않으면서도 빼앗아 주는 역할을 한다.
수 행
아이의 체온이 38.5。이상일 때 해열제를 먹였다. 해열제는 그전에 먹인 시간을 차트를 보고 확인해서 시간에 맞게 투여하였다.
아이의 체온이 37.9。~38.5 일때는 미온수로 닦아주어 아이의 체온을 내려가도록 하라고 엄마에게 말씀드렸다.
아이의 체온이 높이 올라가서 미온수로 닦거나 해열제를 투여한후에는 30분에서 1시간 후에 체온을 다시 체크하여 양상을 살펴보았다.
아이가 고체온으로 탈수될을 염려해 어머니에게 수분 섭취를 자주 하라고 말씀드렸다.
평 가
아이가 해열제를 투여하여도 다른 아이들처럼 금방 열이 내려가지 않았고 미온수로 맛사지를 해도 크게 정상범위로 내려가지 못하는 양상을 보였다. 아이의 체온이 너무 높고 질병의 임상증상이 고열이기 때문에 정상범위는 아니였지만 높은 고열에서 조금 낫은 37.7。정도로 떨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간 호 사 정
주관적 자료
엄마가 아이의 입술이 빨갛고 갈라진다고 걱정하셨다.
객관적 자료
입술과 손, 발에 홍반이 있다.
입술이 갈라지고 많이 터있다.
간 호 진 단
질병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간 호 계 획
기대 결과
아이의 홍반과 입술트는 것이 완화된다.
간호 계획
구강간호를 한다.
피부의 과도한 건조를 예방하도록 한다.
긁지 않고 입술를 뜯지 않도록 한다.
관심전환 방법으로 아이의 관심을 돌린다.
이론적 근거
피부가 건조하여 지면 피부가 약하여 방어기전이 약해진다.
아이에게 구강간호를 해줌으로서 청결하게하고 바셀린을 발라주어 건조를 막을수 있다.
아이의 관심을 전환함으로 아이가 피부에 자극을 주는일을 덜수있다..
수 행
생리 식염수로 구강간호를 매일 아침마다 해주었으며 바셀린을 발라 주었다.
피부의 과도한 건조를 예방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약한 비누를 사용하도록 권장하였다.
긁지 않고 입술를 뜯지 않도록 아이를 돌보시라고 교육해드렸다.
자극 없는 장난감, tv 시청, 그림 그리기, 등으로 기분전환 방법으로 아이와 놀아주라고 엄마에게 말씀드렸다.
평 가
아이가 열이 점차로 떨어지고 병이 호전되어 감에 따라서 홍반이 줄어 들었고 바셀린을 발라주는 등의 간호로 인해 입술이 갈라지거나 트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드는 양상을 볼수 있었다.
Ⅲ.결론
소아과 병동은 어린 아이들이 입원하기에 어머니들께서 많이 아이가 아픔으로 안타까워하시는 모습을 많이 볼수 있었고 또한 어린아기가 아프기 때문에 엄마들의 신경이 곤두서 있으시는 모습을 보아서 실습하는 동안 다른 어떤때보다 조금더 조심스러워 졌다.
아이에게 하는 간호 하나하나에 대하여 알고 싶어하시는 분들이 많으셔서 다른 병동보다 보호자에게 설명하는 일들이 많이 있었고 약물에 대한 질문도 많으셔서 좀더 공부를 하고 알아두어야 할것들이 많아서 열심히 실습했다.
소아과 병동에서 처음 들어본 가와사키라는 병을 듣고 그런 아이가 그리 적지 않다는 점에서 놀랐다. 소아과 병동은 보통 고막체온계로 체온을 측정하는데 체온이 높은 일부아이들과 가와사키의 아이들 경우 일부는 좀더 정확한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직장 체온을 쟀다. 그래서 소아과 병동에서 처음 직장 체온을 재봤다. 기본간호학 시간에 책으로만 보아왔던 것을 직접 실습할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서 좋은 기회였다.
이번 소아과 케이스를 잡은 김OO 아기에 대한 케이스를 하면서 그 질병이 고열이 심하여서 아이에게 체온을 자주 재주어야 했고 그에 따른 홍반과 입술갈라짐에 대한 간호 수행도 했는데 열이 정상체온이 되고 아이의 홍반이 없어시거나 입술튼 것이 없어져 버리는 등의 확실한 평가가 나오진 않았지만 조금씩 병이 호전되어 가면서 간호수행한 결과 또한 점점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면서 기분이 좋았다.
적응증 :기침, 가래.
용법/용량: 성인 20ml, 11-14세 13ml, 8-10세 10ml, 5-7세 7ml, 3-4세 5ml, 1-2세 4ml, 3개월-1세 2ml 1일 3-4회.
Actiped 적응증 : 코감기 또는 알러지성 및 혈관운동성비염에 의한 다음 증상의 완화: 재채기, 콧물, 코막힘, 눈물.
성분명 : 10ml 중 pseudoephedrine HCl 60mg, triprolidine HCl 2.5mg.
적응증 :코감기 또는 알러지성 및 혈관운동성비염에 의한 다음 증상의 완화: 재 채기, 콧물, 코막힘, 눈물.
용법/용량 :성인 및 12세 이상 소아: 1회 10ml, 6-12세 5ml, 2-5세 2.5ml, 1일 3회.
금기 :본제 과민증 환자, 중증의 간신기능 장애 환자, 중증의 관상 심장 질환자, 잔뇨 형성을 수반하는 배뇨장애 환자, 고혈압 환자, 임부 또는 가임부, 수 유부, 2세 이하의 영아, MAO 저해제를 투여중인 환자, 파라옥시안식향메 칠에 과민증 환자.
주의 :천식, 녹내장, 고혈압 및 관상동맥질환 환자, 심질환 및 부정맥 환자, 당뇨병,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 전립선비대로 인한 배뇨곤란 환자, 7세 이하의 소아.
(4)대상자의 상황진술 요약
아이는 고열로 입원을하였고 현재도 고열이 있는 상태이다. 먹는데 알러지나 가리는건 없는데 우유를 잘 안먹으려고 하며 입원후 체중이 줄어들었고 설사를 하루에 네번정도로 자주하는 편이다. 엄마랑 떨어져 있을 때 보채며 우는 분리불안을 느끼는 듯하였다.
2)간호 과정
간 호 사 정
주관적 자료
엄마가 아이가 자꾸 보채며 몸이 뜨겁다고 하신다.
객관적 자료
고열이 있다 39.5도
홍조 띈 얼굴을 하고 있다.
고열로 인해 구강점막이 건조하다는 걸 눈으로 볼 수 있었 다.
간 호 진 단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간 호 계 획
기대 결과
체온이 정상 범위에 있다.
간호 계획
해열제(Rhinaphen)를 투여하고 1시간 마다 리체크를 한다.
필요없이 뚜껍게 입은 옷을 얇게 입힌다.
미지근한 물로 닦아준다.
수분 섭취를 격려 한다.
이론적 근거
해열제는 열을 내리는데 빠른 효과를 볼수 있다.
열을 자주 체크하여야 그에 따라 미온수 목욕을 할것인지 해열제 투여시간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할지 결정할수 있다.
고체온으로 인해 탈수가 될 염려를 수분섭취로 예방한다.
미온수를 아이의 체온을 극적이지 않으면서도 빼앗아 주는 역할을 한다.
수 행
아이의 체온이 38.5。이상일 때 해열제를 먹였다. 해열제는 그전에 먹인 시간을 차트를 보고 확인해서 시간에 맞게 투여하였다.
아이의 체온이 37.9。~38.5 일때는 미온수로 닦아주어 아이의 체온을 내려가도록 하라고 엄마에게 말씀드렸다.
아이의 체온이 높이 올라가서 미온수로 닦거나 해열제를 투여한후에는 30분에서 1시간 후에 체온을 다시 체크하여 양상을 살펴보았다.
아이가 고체온으로 탈수될을 염려해 어머니에게 수분 섭취를 자주 하라고 말씀드렸다.
평 가
아이가 해열제를 투여하여도 다른 아이들처럼 금방 열이 내려가지 않았고 미온수로 맛사지를 해도 크게 정상범위로 내려가지 못하는 양상을 보였다. 아이의 체온이 너무 높고 질병의 임상증상이 고열이기 때문에 정상범위는 아니였지만 높은 고열에서 조금 낫은 37.7。정도로 떨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간 호 사 정
주관적 자료
엄마가 아이의 입술이 빨갛고 갈라진다고 걱정하셨다.
객관적 자료
입술과 손, 발에 홍반이 있다.
입술이 갈라지고 많이 터있다.
간 호 진 단
질병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간 호 계 획
기대 결과
아이의 홍반과 입술트는 것이 완화된다.
간호 계획
구강간호를 한다.
피부의 과도한 건조를 예방하도록 한다.
긁지 않고 입술를 뜯지 않도록 한다.
관심전환 방법으로 아이의 관심을 돌린다.
이론적 근거
피부가 건조하여 지면 피부가 약하여 방어기전이 약해진다.
아이에게 구강간호를 해줌으로서 청결하게하고 바셀린을 발라주어 건조를 막을수 있다.
아이의 관심을 전환함으로 아이가 피부에 자극을 주는일을 덜수있다..
수 행
생리 식염수로 구강간호를 매일 아침마다 해주었으며 바셀린을 발라 주었다.
피부의 과도한 건조를 예방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약한 비누를 사용하도록 권장하였다.
긁지 않고 입술를 뜯지 않도록 아이를 돌보시라고 교육해드렸다.
자극 없는 장난감, tv 시청, 그림 그리기, 등으로 기분전환 방법으로 아이와 놀아주라고 엄마에게 말씀드렸다.
평 가
아이가 열이 점차로 떨어지고 병이 호전되어 감에 따라서 홍반이 줄어 들었고 바셀린을 발라주는 등의 간호로 인해 입술이 갈라지거나 트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드는 양상을 볼수 있었다.
Ⅲ.결론
소아과 병동은 어린 아이들이 입원하기에 어머니들께서 많이 아이가 아픔으로 안타까워하시는 모습을 많이 볼수 있었고 또한 어린아기가 아프기 때문에 엄마들의 신경이 곤두서 있으시는 모습을 보아서 실습하는 동안 다른 어떤때보다 조금더 조심스러워 졌다.
아이에게 하는 간호 하나하나에 대하여 알고 싶어하시는 분들이 많으셔서 다른 병동보다 보호자에게 설명하는 일들이 많이 있었고 약물에 대한 질문도 많으셔서 좀더 공부를 하고 알아두어야 할것들이 많아서 열심히 실습했다.
소아과 병동에서 처음 들어본 가와사키라는 병을 듣고 그런 아이가 그리 적지 않다는 점에서 놀랐다. 소아과 병동은 보통 고막체온계로 체온을 측정하는데 체온이 높은 일부아이들과 가와사키의 아이들 경우 일부는 좀더 정확한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직장 체온을 쟀다. 그래서 소아과 병동에서 처음 직장 체온을 재봤다. 기본간호학 시간에 책으로만 보아왔던 것을 직접 실습할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어서 좋은 기회였다.
이번 소아과 케이스를 잡은 김OO 아기에 대한 케이스를 하면서 그 질병이 고열이 심하여서 아이에게 체온을 자주 재주어야 했고 그에 따른 홍반과 입술갈라짐에 대한 간호 수행도 했는데 열이 정상체온이 되고 아이의 홍반이 없어시거나 입술튼 것이 없어져 버리는 등의 확실한 평가가 나오진 않았지만 조금씩 병이 호전되어 가면서 간호수행한 결과 또한 점점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면서 기분이 좋았다.
추천자료
아동 간호 실습 레포트 - 가와사키 질환
가와사키 (Kawasaki) 케이스
가와사키
가와사키병(가와사끼병)의 정의, 가와사키병(가와사끼병)의 원인과 유발요인, 가와사키병(가...
[성인간호학][Kawasaki][가와사키]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학과) 간호 진단 :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위험성, 변비 위험성에 대한 간호과...
가와사키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수술과 관련된 통증,이동 능력 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면역기능장애와 관련된 ...
가와사키병 case/KAWASAKIS DISEASE/가와사키 케이스/가와사키 case/아동간호학/mucotaneous ...
애견학 ) 푸들의 펫클립 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