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공하기 위해 습득해야 하는 네 가지 주요 기술
① 범문화적 이해 : 다른 문화에 속한 사람들이 어떻게 그리고 왜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는가에 대해 아는 것을 의미
② 문화 상호 간 의사소통 : 간호사는 비언어적 행동의 해석과 의사소통에 방해가 되는 장벽 감지 등 경청기술을 증진시켜야 함, 정신간호사들은 이 분야에서 탁월해야 함
③ 촉진 기술 : 간호사 자신과 다른 문화에 속한 대상자의 가치 및 신념체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타협하는 능력과 갈등 해소 등에 초점을 둠
④ 융통성 : 기대치를 수정하고, 이전의 운영방식을 조정하고,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는 능력을 말함
2) 횡문화적 간호 지식의 단계
- 라이닝거(Leininger)와 맥파랜드(McFarland)는 횡문화적간호지식 발전단계를 3단계로 나눔
발전단계
1단계
문화 간호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감지하고 인식하기
2단계
횡문화적 간호 현상을 발견하고 설명하기 위해 이론 활용하기
3단계
간호를 향상시키기 위해 횡문화적 연구결과를 실제에 활용하기
3) 횡문화적 사정
- 간호사는 건강과 질병에 대한 대상자의 기본적 신념에 영향요인을 결정하기 위해 횡문화적인 사정을 함
- 건강과 질병에 대한 대상자의 기본 신념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문화마다 큰 차이를 보임
① 통증의 경험
② 문화 내에서 증상이라고 여기는 것
③ 사람들이 통증이나 증상을 표현하는 방법
④ 통증이나 증상의 원인에 대한 믿음
⑤ 조력자들에 대한 태도(의사 및 병원)
⑥ 기대하는 치료방법
- 간호사는 효과적인 범문화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질문을 통해 질병에 대한 대상자의 설명을 분명히 해야 할 필요가 있음
- 문제가 무엇인가?
- 문제의 원인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문제가 무엇 때문에 시작된다고 생각하는가?
- 병이 어떤 작용을 하는가?
- 병이 얼마나 심각한가? 지속기간은 얼마나 될 것인가?
- 대상자가 어떤 종류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 대상자가 치료를 통해 어떤 주요 결과를 나타내기를 바라는가?
- 병으로 인해 야기된 가장 우선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 병과 관련하여 무엇이 가장 두려운가?
4) 문화적 인식의 형성
- 간호사는 대상자의 이야기를 듣는 동안 경청자로서의 역할을 유지하고, 건강과 안녕에 대한 대상자의 개념에 초점을 둔 중재를 함
- 문화에 대한 표현을 격려하는 것은 중요하며, 의복과 장식, 식사예절 및 음식, 돌봄 행위, 수면과 관련된 의식, 치료의식 등에 있어서는 특히 중요함
- 공감과 관심을 보이고 융통성을 유지하며 주의 깊게 경청할 때, 간호사는 문화적으로 유능한 간호를 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음
5) 문화적 자기인식
- 인간 발달의 마지막 단계를 타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정의함
- 간호사들은 그들 자신의 ‘앙금(baggage)'을 알아내고 이를 없애거나 무시해야 함
→ 이 전략은 문화적 편향, 고정관념, 편견의 인식과 제거에 필수적임
- 건강관리 제공자는 문화적으로 적절한 중재를 위해 특정 민족이나 문화 집단의 입장에서 상황을 바라보고 관점을 바꾸는 법을 익혀야 함
① 범문화적 이해 : 다른 문화에 속한 사람들이 어떻게 그리고 왜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는가에 대해 아는 것을 의미
② 문화 상호 간 의사소통 : 간호사는 비언어적 행동의 해석과 의사소통에 방해가 되는 장벽 감지 등 경청기술을 증진시켜야 함, 정신간호사들은 이 분야에서 탁월해야 함
③ 촉진 기술 : 간호사 자신과 다른 문화에 속한 대상자의 가치 및 신념체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타협하는 능력과 갈등 해소 등에 초점을 둠
④ 융통성 : 기대치를 수정하고, 이전의 운영방식을 조정하고,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는 능력을 말함
2) 횡문화적 간호 지식의 단계
- 라이닝거(Leininger)와 맥파랜드(McFarland)는 횡문화적간호지식 발전단계를 3단계로 나눔
발전단계
1단계
문화 간호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감지하고 인식하기
2단계
횡문화적 간호 현상을 발견하고 설명하기 위해 이론 활용하기
3단계
간호를 향상시키기 위해 횡문화적 연구결과를 실제에 활용하기
3) 횡문화적 사정
- 간호사는 건강과 질병에 대한 대상자의 기본적 신념에 영향요인을 결정하기 위해 횡문화적인 사정을 함
- 건강과 질병에 대한 대상자의 기본 신념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문화마다 큰 차이를 보임
① 통증의 경험
② 문화 내에서 증상이라고 여기는 것
③ 사람들이 통증이나 증상을 표현하는 방법
④ 통증이나 증상의 원인에 대한 믿음
⑤ 조력자들에 대한 태도(의사 및 병원)
⑥ 기대하는 치료방법
- 간호사는 효과적인 범문화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질문을 통해 질병에 대한 대상자의 설명을 분명히 해야 할 필요가 있음
- 문제가 무엇인가?
- 문제의 원인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문제가 무엇 때문에 시작된다고 생각하는가?
- 병이 어떤 작용을 하는가?
- 병이 얼마나 심각한가? 지속기간은 얼마나 될 것인가?
- 대상자가 어떤 종류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 대상자가 치료를 통해 어떤 주요 결과를 나타내기를 바라는가?
- 병으로 인해 야기된 가장 우선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 병과 관련하여 무엇이 가장 두려운가?
4) 문화적 인식의 형성
- 간호사는 대상자의 이야기를 듣는 동안 경청자로서의 역할을 유지하고, 건강과 안녕에 대한 대상자의 개념에 초점을 둔 중재를 함
- 문화에 대한 표현을 격려하는 것은 중요하며, 의복과 장식, 식사예절 및 음식, 돌봄 행위, 수면과 관련된 의식, 치료의식 등에 있어서는 특히 중요함
- 공감과 관심을 보이고 융통성을 유지하며 주의 깊게 경청할 때, 간호사는 문화적으로 유능한 간호를 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음
5) 문화적 자기인식
- 인간 발달의 마지막 단계를 타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정의함
- 간호사들은 그들 자신의 ‘앙금(baggage)'을 알아내고 이를 없애거나 무시해야 함
→ 이 전략은 문화적 편향, 고정관념, 편견의 인식과 제거에 필수적임
- 건강관리 제공자는 문화적으로 적절한 중재를 위해 특정 민족이나 문화 집단의 입장에서 상황을 바라보고 관점을 바꾸는 법을 익혀야 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