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Report
과 목 명 :
학 과 :
담당교수 :
이 름 :
제 출 일 :
임종
ⅰ. 임종
1.죽음을 몇가지 측면에서 다루면
①신체적 죽음:심장박동이나 호흡과 같은 활력기능의 정지상태
②심장죽음: 심전도에 의해 확인된 심장 박동의 정지 상태
③뇌사: 무수용성, 무반응, 무호흡, 부동적 자세, 무반응사, 뇌파의 무반응 상태
④임상적 죽음: 죽음을 기술적으로 선고하기 전에 신체검사시 사망의 증상이 나타난 상태
⑤생물적 죽음: 세포활동의 정지 상태
2. 죽음에 대한 강한 부정은 의식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무의식 수준에서도 현실을 무시하거나 수용하지 못하는 태도로 나타남. 이 부정은 위험을 회피하고 사랑하는 사람을 상실하는 것을 예방하고자 함.
부정을 여러단계로 나누면,,,
1단계
-질병에 대해 일차적으로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달렸음
-문제를 가진 사람의 보고나 인지, 객관적인 관찰자의 인지적 사실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쉽게 알아차릴 수 있음
2단계
-첫째 단계의 부정 뒤에 나타나는데 질병 발생 사실이 부인되고 그 질병으로 인한 어떤 위협감마저 무시되는 것임
3단계
-치료 불가능한 질병의 결과의 죽음을 거부하는 것임
-이런 경우는 현재의 상태가 분명히 나쁘다고 하더라도 미래의 대사에 대하여 이야기 하는 겻임
-가끔 이런 경우의 부정이나 거부는 용기나 희망 또는 긍정적 자세의 상징처럼 보이기도 함
3. 의학적으로는 죽음의 유형에 따라 몇가지로 죽음과 삶의 의미 분류함
- 뇌신경으로 시작해서 모든 조직이 괴사되는 과정이다: 순환이 되지 않고 약 1시간 후 면 심장, 신장, 폐등이 괴사되기 시작하며 약 2시간 후면 같이 괴사되기 시작하고 피부는 더 몇 시간 또는 몇 일이 지나면 괴사되기 시작함
-대뇌 특히 신피질의 불가역적 파괴를 의미함 간혹 brain death로 일컬어지기도 하는데 엄 격한 의미에서 뇌사는 대뇌, 소뇌, 중뇌, 뇌간의 활동이 모두 정지된 전반적인 뇌의 죽음을 의미함
-지속적인 식물인간 상태로 환자는 무의식, 무반응 상태이지만 뇌파활동은 많이 나타나고 신체 반사작용이 남아있음. 인간적 특성인 각 개인의 인격, 의식, 독특성, 기억, 판단등이 정지된 상태로써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불가역적으로 정지되어 있으므로 죽음 상태라고 보는 견해
4. 뇌사의 판정기준
-외부의 자극에 대하여 반응이 없고 깊은 혼수 상태
-호흡정지 상태, 모든 뇌반사 소실
=> 이상의 상태로 12시간 이상 경과되었을 때
5. 연령에 따른 임종사관
-인간이 죽음을 올바로 이해하는 연령은 10세 전후로 보고 있음
-연령에 따라 죽음을 맞는 자세
①유아기: 아동은 육체적 고통을 더 두려워함
②미취학기: 부모와의 이별을 더 두려워함
③초등학생: 부모, 친구, 친척을 잃는 것에 대해 두려워함
④사춘기: 인생을 살아가는 기술을 터득하는 순간에 오는 패배와 좌절로 여김
⑤청년기: 자신이 건강한 몸, 활동적인 자화상의 상실과 지금까지 해온 인생투자를 안타까 워함
⑥중년기: 가족과의 일상사가 흐트러짐을 안타까워함
⑦노년기: 죽음에 대한 준비가 되지 않았는데 일찍 죽음이 찾아온다고 당황해 함
6. 임종의 심리적 단계
1)Chicago 대학 교수인 Kubler Ross의 임종환자가 겪는 심리적 단계(5단계)
①“No, not me!\"의 단계(아니야 나는 아니야)
- 위중하다는 의학적 근거를 믿지 않으려 함
- 환자는 진단을 내리는데 어떤 실수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과 좀더 나은 진단을 위해 이 병원 저 병원을 전전하며 검사결과가 다른 환자와 바뀐 것이 아닌가 하고 말하기도 함
- 무의식적 심리과정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부정은 갑작스런 충격에 대한 하나의 완충장치 로서 작용하며 죽음의 현실에 대한 고통을 덜 느끼독 하는 역할을 하므로 때로는 효
과 목 명 :
학 과 :
담당교수 :
이 름 :
제 출 일 :
임종
ⅰ. 임종
1.죽음을 몇가지 측면에서 다루면
①신체적 죽음:심장박동이나 호흡과 같은 활력기능의 정지상태
②심장죽음: 심전도에 의해 확인된 심장 박동의 정지 상태
③뇌사: 무수용성, 무반응, 무호흡, 부동적 자세, 무반응사, 뇌파의 무반응 상태
④임상적 죽음: 죽음을 기술적으로 선고하기 전에 신체검사시 사망의 증상이 나타난 상태
⑤생물적 죽음: 세포활동의 정지 상태
2. 죽음에 대한 강한 부정은 의식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무의식 수준에서도 현실을 무시하거나 수용하지 못하는 태도로 나타남. 이 부정은 위험을 회피하고 사랑하는 사람을 상실하는 것을 예방하고자 함.
부정을 여러단계로 나누면,,,
1단계
-질병에 대해 일차적으로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달렸음
-문제를 가진 사람의 보고나 인지, 객관적인 관찰자의 인지적 사실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쉽게 알아차릴 수 있음
2단계
-첫째 단계의 부정 뒤에 나타나는데 질병 발생 사실이 부인되고 그 질병으로 인한 어떤 위협감마저 무시되는 것임
3단계
-치료 불가능한 질병의 결과의 죽음을 거부하는 것임
-이런 경우는 현재의 상태가 분명히 나쁘다고 하더라도 미래의 대사에 대하여 이야기 하는 겻임
-가끔 이런 경우의 부정이나 거부는 용기나 희망 또는 긍정적 자세의 상징처럼 보이기도 함
3. 의학적으로는 죽음의 유형에 따라 몇가지로 죽음과 삶의 의미 분류함
- 뇌신경으로 시작해서 모든 조직이 괴사되는 과정이다: 순환이 되지 않고 약 1시간 후 면 심장, 신장, 폐등이 괴사되기 시작하며 약 2시간 후면 같이 괴사되기 시작하고 피부는 더 몇 시간 또는 몇 일이 지나면 괴사되기 시작함
-대뇌 특히 신피질의 불가역적 파괴를 의미함 간혹 brain death로 일컬어지기도 하는데 엄 격한 의미에서 뇌사는 대뇌, 소뇌, 중뇌, 뇌간의 활동이 모두 정지된 전반적인 뇌의 죽음을 의미함
-지속적인 식물인간 상태로 환자는 무의식, 무반응 상태이지만 뇌파활동은 많이 나타나고 신체 반사작용이 남아있음. 인간적 특성인 각 개인의 인격, 의식, 독특성, 기억, 판단등이 정지된 상태로써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불가역적으로 정지되어 있으므로 죽음 상태라고 보는 견해
4. 뇌사의 판정기준
-외부의 자극에 대하여 반응이 없고 깊은 혼수 상태
-호흡정지 상태, 모든 뇌반사 소실
=> 이상의 상태로 12시간 이상 경과되었을 때
5. 연령에 따른 임종사관
-인간이 죽음을 올바로 이해하는 연령은 10세 전후로 보고 있음
-연령에 따라 죽음을 맞는 자세
①유아기: 아동은 육체적 고통을 더 두려워함
②미취학기: 부모와의 이별을 더 두려워함
③초등학생: 부모, 친구, 친척을 잃는 것에 대해 두려워함
④사춘기: 인생을 살아가는 기술을 터득하는 순간에 오는 패배와 좌절로 여김
⑤청년기: 자신이 건강한 몸, 활동적인 자화상의 상실과 지금까지 해온 인생투자를 안타까 워함
⑥중년기: 가족과의 일상사가 흐트러짐을 안타까워함
⑦노년기: 죽음에 대한 준비가 되지 않았는데 일찍 죽음이 찾아온다고 당황해 함
6. 임종의 심리적 단계
1)Chicago 대학 교수인 Kubler Ross의 임종환자가 겪는 심리적 단계(5단계)
①“No, not me!\"의 단계(아니야 나는 아니야)
- 위중하다는 의학적 근거를 믿지 않으려 함
- 환자는 진단을 내리는데 어떤 실수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과 좀더 나은 진단을 위해 이 병원 저 병원을 전전하며 검사결과가 다른 환자와 바뀐 것이 아닌가 하고 말하기도 함
- 무의식적 심리과정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부정은 갑작스런 충격에 대한 하나의 완충장치 로서 작용하며 죽음의 현실에 대한 고통을 덜 느끼독 하는 역할을 하므로 때로는 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