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가치론 - 쉘러의 가치철학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가치론 - 쉘러의 가치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 기존 서양철학사의 이분법적 사고관과 막스쉘러
- 막스쉘러의 감정과 사랑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째, 감정은 가치 본질에 대한 직관이며, 이성적 사고에 앞서 작용하지만, 사고는 직관된 것을 추후적으로 개념화하고 체계화하는 기능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둘째, 감정은 선천적 인식이기 때문이다. 선천적인 것은 인식주관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객관적인 것이고, 주관에 의해 구성된 것이 아니라 대상에서 직접 직관된 것이다. 셋째, 감정은 인식을 안내하기 때문이다. 셸러에게서 감정은 일종의 비합리적인 인식인 동시에 합리적 인식을 인도하는 것이다. 최고 단계의 사랑이 그 아래 단계에 있는 감정뿐만 아니라 모든 사고와 의지와 행동을 인도하는 것을 보면 자명하다. 가치 세계가 인식범위를 결정해 주기 때문에 감정의 범위와 방향이 인식의 범위를 정해 준다.
또 셸러가 감정이 윤리학적으로 이성보다 우월하다고 본 근거는 무엇인가? 첫째, 셸러에 의하면, 선이란 보다 높은 가치를 실현하려는 의지나 행위 속에 들어 있는 가치이다. 그러므로 선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치 인식(가치 감지)이 필수적 전제인 바, 사물이나 사태의 가치와 가치 높낮이를 인식하는 가치감정, 가치선취(가치선호)와 가치후치(가치배척), 사랑과 미움은 도덕적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감각적 지각과 판단 및 사고는 가치세계에 도달하지 못한다. 셸러에 의하면, 도덕법칙은 선 혹은 악이 일차적으로 감정을 통해 감지되고 선천적으로 직관된 것을 이차적으로 사고를 통해 서술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도덕법칙은 선악 가치를 기준으로 하여 존립하는 것이다. 둘째, 우리의 모든 의지와 행위가 어떤 가치를 실현하려고 지향하는 것이라면, 올바른 가치 인식없이는 올바른 행위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가치 감정이 주어질 때 비로소 의지는 도덕적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셋째, 선을 보다 높은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라고 볼 때, 사랑은 대상의 가치를 발굴해 내고 보다 높은 가치를 발견해 내며, 대상의 최고 이상적 가치상에까지 도달하는 가치상향 운동이므로 사랑은 최고선이 된다.
* 막스쉘러의 감정이론
가치를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대해 정서주의와 지성주의의 두가지 관점이 있는데, 쉘러는 전자의 견해를 대표한다. 칸트의 일면적인 지성주의에 반대하여, 쉘러는 도덕적 지식과 행동에서의 감정의 역할을 명확히 했다. 쉘러에 따르면, 우리가 주로 세계와 관련을 맺는 것은 지적인 인식에서가 아니라 가치감정을 통해서이다. 그러므로 가치에 대한 우리의 감정적 관계는 지적인 작용보다 선행한다는 것이다.
현실적 경험을 토대로 하면서 또한 그 경험을 뛰어 넘어서 경험 대상의 고유성이나 독자성을 직면하고자 한다. 그런 태도의 일환으로서 현상학적 환원이 현상학자들의 의중에 늘 있어 왔다. 사물의 고유성이나 독자성을 직면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현상학적 환원은 일반적으로 현실적 경험을 초극하여 보다 본질적인 사태 자체에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존재와 가치에 대한 순수사랑을 각성시키는 현상학적 환원의 의미로 막스쉘러는 ‘현실 계기에 주어진 작용의 배제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모든 사물의 존재와 가치 존재에 대한 저 순수한 사랑의 발현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에 의하면 우리는 세계를 올바로 보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에 대한 현상학적 태도 , 더 정확히는 현상학적 환원에 익숙해져있어야 하며, 더 나아가 그로 말미암아 사랑의 발현이 이루어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쉘러에게 사랑은 무엇인가?
쉘러는 우리 인간에게는 본질 세계가 개방되어 있지 않거나 알려져 있지 않다. 우리 인간이 그의 의식 정도에 따라 형성한 세계, 즉 환경 세계가 우리를 둘러싸고 있고 그것이 우리에게 개방되어 있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 세계는 우리에게 폐쇄되어있고 닫혀있다. 닫혀 있는 세계를 향하여 무엇을 의식하거나 인식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우링 인간은 그 세계에 대해서 마음을 열고 관심을 지향해야 한다. 이것이 우선하지 않고는 그 세계의 아무것도 우리는 의식하지 못하고 알게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바로 이것, 즉 무엇에 대해서 마음을 열고 관심을 지향하는 것, 달리 말해서 그 무엇에 대한 심정의 지향 작용이 이른바 넓은 의미의 사랑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어떤 초월적인 존재자의 본질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근원적 작용을 통해서 그 존재자에게 초월적으로 나아가려 한다. 인식은 이런 근원적작용을 사랑으로 전제한다. 넓은 의미의 사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인식능력은 사랑이 결정한다.
막스쉘러는 이러한 사랑으로 인해 제 1차적으로 가치 대상에서 가치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2.09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7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