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학습 기능 수행평가 체제(BASA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Reading)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학습 기능 수행평가 체제(BASA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Readin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바사(BASA) : 읽기검사는?

2. 검사의 활용 및 특징.

3. 실시방법.

4. 검사의 구성.

5. BASA 읽기의 신뢰도와 타당도.

6. 실시 지침.

7. 결과 채점 및 기록.

8. 개별화교육계획 및 그래프 작성.

9. 교수-학습 전략.

10. 검사도구 시행 후 느낀 점.

11. 참고자료

본문내용

번째 이야기를 지금부터 1분 동안 또박또박 읽으세요. 자, 먼저 제목부터
읽어보세요.”
4. 학생이 제목을 읽은 뒤에는 다음과 같이 말씀해 주십시오.
“자, 지금부터 이야기를 읽기 시작하세요.” 학생이 본문을 읽기 시작하면 시간 을 잽니다.
5. 검사자용 이야기에 아동이 읽으면서 보이는 오류를 다음 규칙에 따라
표시합니다.
① 다음과 같이 잘못 읽은 글자에는 사선표시(/)를 쳐 주십시오. (습득오류)
: 교사의 도움을 받아서 읽은 글자, 잘못 발음한 글자, 다른 글자로 바꾸어 읽은 글자, 빠뜨린 글자.
교사의 도움을 받아서 읽은 글자란 아동이 읽기를 전혀 시도하지 않고
있다가 교사가 읽어 준 것을 따라서 읽은 글자를 말합니다.
② 다음과 같이 잘못 읽은 글자에는 동그라미(○)를 쳐 주십시오. (전이오류)
: 고쳐서 읽은 글자, 없는 글자를 첨가한 것, 마침표 무시.
③ 다음과 같이 잘못 읽은 글자에는 밑줄( )을 그어 주십시오. (숙달오류)
: 반복하여 읽은 글자, 3초 이상 머뭇거리면서 읽은 글자.
6. 5항에 제시된 이외의 읽기오류는 오류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7. 1분 후에, “그만”이라고 말한다. 학생이 읽은 마지막 글자에 ‘//’표시를 합니다.
8. 이야기2와 이야기3에 대해서도 학생에게 1분 동안 소리내어 읽게 한 뒤, 검사자 용 이야기2와 이야기3 각각의 본문에 틀린 글자를 같은 방법으로 표시해 주십 시오.
③ 읽기심화지도
[심화지도1] 습득단계 중재하기
-단어 정확하게 읽기
일견단어 학습을 반복한다.
아동이 읽기 어려워하는 단어를 찾는다.
읽기오류 단어목록에 포함된 각 단어의 음운법칙에 대해 학습한다.
유사한 구조의 단어로 반복 연습한다.
-문장읽기 연습하기
잘 읽지 못한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반복하여 읽기 한다.
잘못 읽은 단어를 수정하여 정확하게 읽을 때 칭찬해 준다.
표현 언어를 활용한 문장 읽기 연습으로 아동의 관심과 흥미를 높인다.
전반적인 오류의 수가 줄어들 때마다 칭찬해 준다.
-이야기 반복읽기
읽기오류가 있었던 이야기를 다시 읽는다.
띄어쓰기, 문장부호를 잘 지켜서 읽도록 지도한다.
일정 시간 동안 읽어야 할 분량을 정해주고 그 시간에 읽어내도록 연습하다.
[심화지도2] 전이단계 중재하기
-따라 읽기 연습
이야기를 녹음한 테이프를 만든다.
녹음한 테이프를 따라 읽기를 반복하게 한다.
교사의 칭찬은 간헐적으로 한다.
-스스로 오류 수정하기
아동에게 이야기를 읽게 하고 이것을 녹음한다.
녹음된 내용을 아동에게 듣게 하고, 자신의 읽기 오류를 이야기에 스스로 표시 하게 한다.
녹음과 오류 찾기의 과정을 다시 한 번 반복한다.
-읽기속도 조절하기
마침표의 규칙에 대해 가르쳐 준다.
전반적으로 고른 속도로 이야기를 읽도록 지도한다.
짧은 문장들로 구성된 새로운 이야기로 학습효과를 확인한다.
[심화지도3] 숙달단계 중재하기
-읽기 자동화 연습
반복하는 단어의 의미와 그 단어가 포함된 문장의 의미를 알고 있는지 확인한다.
읽기와 의미파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읽기 자동화 과정을 새로운 이야기에 적용하게 한다.
-새로운 과제 소개하기
아동의 평소 읽기경험에 대해 파악한다.
새로운 읽기자료를 제안한다.
새로운 자료에 대한 과제를 부여한다.
④ 독해지도
[독해지도1] 습득단계 중재하기
-읽기 자동화 연습하기
읽을 때 많은 시간이 걸리는 단어의 의미와 그 단어가 포함된 문장의 의미를 알고
있는지 확인한다.
읽기와 의미파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읽기 자동화 과정을 새로운 이야기에 적용하게 한다.
-문장의 구조 이해하기
주어-서술어를 찾는다.
생략된 주어-서술어를 찾는다.
겹문장을 분석한다.
-세부사항 찾기
6하 원칙에 대해 알고, 6하 원칙에 따라 정보를 조직하도록 연습한다.
중요한 단어에 밑줄을 긋는다.
이야기를 읽으면서 이야기의 내용을 상상해 본다.
[독해지도2] 전이단계 중재하기
-주제문 찾아 읽기
이야기에서 주제문의 역할을 설명한다.
단락 단위로 주제문을 찾아 요약한다.
전체 이야기에서 주제문을 찾는다.
-사건 전개과정 이해하기
아동에게 이야기의 내용을 이야기하게 한다.
이야기 전개도를 함께 작성한다.
그림카드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한다.
-빈칸 채우기로 문맥 이해하기
빈칸 채우기 검사의 정답을 아동과 함께 확인한다.
빈칸 채우기 검사를 함께 제작한다.
스스로 제작한 빈칸 채우기 검사로 검사를 다시 실시한다.
[독해지도3] 숙달단계 중재하기
-질문을 가지고 이야기 읽기
교사와 함께 이야기에 대해 질문을 만든다.
아동에게 스스로 질문을 만들고 답하게 한다.
질문을 만들어 가면서 이야기를 읽도록 지도한다.
-이야기에서 이해하지 못한 부분 알아차리기
교사의 질문을 보다 구체화하여 다시 질문한다.
아동에게 자신이 이해 못한 부분을 질문으로 만들게 한다.
아동에게 궁금한 점을 질문하게 한다.
-전개될 내용 예상하기
이야기의 제목과 부제를 가지고 질문을 만든다.
만들어진 질문에 답하면서 이야기를 읽는다.
이후 전개될 내용에 대해 예상하면서 읽는다.
10. 검사도구 시행 후 느낀 점.
-검사의 실시가 간편하고 비용측면에서 저렴하여 학교현장에서 아주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을 것 같다.(기초평가 후 형성평가)
-아동의 읽기 부분의 부족한 부분을 찾아주고 교수적 전략을 제공하여 유용하다.
-아동의 읽기 시 첨가한 음절의 계산 설명이 뚜렷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읽기검사자료에서 실시방법 안내와 지침서의 실시방법 안내가 상이하여 잠시 혼동하였다. 그러나 읽기검사자료의 실시방법의 안내가 오타였다.
-빈칸 채우기의 보기가 3개뿐이라서 아동의 실력이 아닌 찍은 것일 수 도 있겠다.
-검사 시행 시 생각지도 못한 검사에 방해 되는 필기도구를 사용하였다.
(검사 시 검사 진행자로서 세심한 준비가 요구 됨.)
<참고자료 및 싸이트>
-특수교육평가, 이승희, 학지사, (2006)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 체제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 READING)
전문가 지침서-학지사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김동일, 이대식 공저, 학지사,
(2002)
-WWW.NAVER.COM. 검색.
-WWW.DAUM.NET 검색
  • 가격2,8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9.02.09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0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