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1) 심장에 대한 설명 및 정의
2) 심장과 관련된 질환
3) 심장병 치료를 위한 의료기기 및 문제제기
2. 본론 : 1) 인공심장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1) 인공심장의 쓰임새
(2) 인공심장의 분류와 문제점
(3) 인공심장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 및 앞으로의 발전방향
2) ECG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1) ECG의 정의
(2) ECG의 발전방향
(3) ECG 측정방법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방안
3) AED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1) 심정지, AED에 대한 개요
(2) 제세동기의 사용법과 문제점
(3) 현재 제세동기 국내 사용현황
(4) AED의 향후 발전방향
3. 결론 : 최근의 기술 언급 및 본론 정리
4. 참고문헌
2) 심장과 관련된 질환
3) 심장병 치료를 위한 의료기기 및 문제제기
2. 본론 : 1) 인공심장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1) 인공심장의 쓰임새
(2) 인공심장의 분류와 문제점
(3) 인공심장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 및 앞으로의 발전방향
2) ECG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1) ECG의 정의
(2) ECG의 발전방향
(3) ECG 측정방법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방안
3) AED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1) 심정지, AED에 대한 개요
(2) 제세동기의 사용법과 문제점
(3) 현재 제세동기 국내 사용현황
(4) AED의 향후 발전방향
3. 결론 : 최근의 기술 언급 및 본론 정리
4. 참고문헌
본문내용
m MRI Sure Scan\'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했고 엔리듬 MRI 슈어스캔은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MRI(자기공명영상)에도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최초의 제품이다. 결과적으로 심장관련 의료기기를 이식받은 환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2) 제세동기 제세동기 : 심실세동, 심방세동, 심방조동, 심실빈박 등의 부정맥을 보이는 심장에 고압전류를 극히 단시간 통하게함으로써 정상적인 맥박으로 회복시키는 기기, [출처 : 의료기기, Medical equipments & devices 저자 : 나승권, 출판사 : 상학당]
LG 유플러스(U+)는 엘리베이터의 전자게시판인 미디어보드를 설치하는 서울 지역 아파트를 대상으로 자동심장제세동기를 탑재한 디지털 보관함인 ‘U+미디어라이프‘를 무상 설치했으며 U+미디어라이프에는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안내 음성을 듣고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 있어서 주민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된다. 이와 유사하게 응급상황 발생시 긴급 구조요청과 동시에 자동제세동기 사용법을 알려주는 유-헬스 케어 시스템인 ‘스마트포스트’가 서울 광화문 일대 공중전화부스에서 AED AED : Automated extemal defibrillator(AED) 자동 제세동기는 심장이 정지되어 있는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의 정상 리듬을 가져오게 해주는 도구이다. 의용계측 chapter 5. HEART
[서명 : Principles of Biomedical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저자 : Richard Aston]
를 탑재한 스마트포스트를 설치하고 시범 운영을 하였다. AED 스마트포스트는 AED를 탑재한 DID시스템이다. 평상시 화면에는 심폐소생술 등 교육영상이 나오고 긴급상황 발생 시에는 자동으로 응급관제센터(1339,119)에 구조요청을 하고 동시에 AED사용법 영상을 보여주는 유-헬스케어시스템이다.
3) 심전도 심전도 : 심장의 박동에 따라 심근에서 발생하는 활동 전류를 체표면의 적당한 2개소로 유도해서 전류계로 기록할 수가 있는데, 이와 같이해서 얻어진 심근 활동전류의 기록을 심전도라 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블랙야크, 심전도 실시간 모니터링 스마트 웨어 야크온P> 블랙야크, 스마트 웨어 ‘야크온P (YAK ON P)’출시 , [출처 : 한국경제뉴스]
[주소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5138032g]
자체개발한 은사 섬유가 심장에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심전도를 감지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스마트 폰 YAK ON 앱에서, 심박 수만 아니라 운동 목표 설정과 누적 운동량도 확인이 가능하며 신축성 높은 소재를 사용해 격렬하고 장시간 운동을 할 수 있고 세탁까지 가능한 편의성도 갖춰져 있으며 심박 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 웨어(Smart Wear), ‘야크온P(YAK ON P)’를 출시한다.
야크온P의 ‘P’는 Pulse의 약자로 심장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인 심전도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측정해 더욱 정확하게 심박 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 신축성 높은 소재가 적용되어 밀착감이 우수하기 때문에 측정부위에서 흘러내릴 염려 없이 격렬한 운동이나 장시간 착용도 가능하다. 은사 섬유 소재를 통해 측정된 심박 수는 야크 온 펄스(전용 블루투스 심박 측정 송수신기)를 거쳐 스마트 폰의 ‘야크온 앱’에 전송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자신의 심박 수 체크가 가능하며 직접 운동 종류와 목표를 설정할 수 있어 GPS를 기반으로 한 운동거리 측정, 칼로리 소모 등도 확인할 수 있다. 또, 일일 단위부터 주간, 월간 단위까지 누적된 운동 정보를 통해 체계적인 운동이력 관리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심장 관련된 의료기기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심장인데 아직까지도 심장에 관련된 의료기기에 문제가 많다는 걸 알게 되었고 앞으로 발전해야 하는 부분이 많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서 앞으로 의료기기가 더욱 더 발전해서 삶을 더 윤택하고 편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이 올 것 같다.
참 고 문 헌
1. Richard aston, Principles of Biomedical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PrenticeHal, Chapter 5. Heart, Chaptre 8. Defibrillator and Step Responce
(의학공학부 전공서적)
2. 메드트로닉스 (페이스메이커 판매회사)
http://www.medtronic.co.kr/careers/index.htm
3. 네이버 kbs 뉴스 정연욱 기자,“배터리 없는 반영구 심장박동기 세계 최초 개발”
http://news.kbs.co.kr/news/view.do?ref=A&ncd=2907904
4. \"심장병 사망률“, 통계청,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6. “제세동기의 국내 사용현황 및 문제점”
http://www.dbpia.co.kr.libpro1.kku.ac.kr:8080/
7. 본론, 인공심장 그림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26560&cid=47339&categoryId=4733
그림2 메드트로닉스코리아 http://www.medtronic.co.kr/careers/index.htm
그림3 “심장병 사망률”, 통계청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8. 네이버 지식백과 주소 : terms.naver.com
9. 그림1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26560&cid=47339&categoryId=47339
10. 그림2출처 : 메드트로닉스코리아
http://www.medtronic.co.kr/careers/index.htm
11. 그림3출처 :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 제세동기 제세동기 : 심실세동, 심방세동, 심방조동, 심실빈박 등의 부정맥을 보이는 심장에 고압전류를 극히 단시간 통하게함으로써 정상적인 맥박으로 회복시키는 기기, [출처 : 의료기기, Medical equipments & devices 저자 : 나승권, 출판사 : 상학당]
LG 유플러스(U+)는 엘리베이터의 전자게시판인 미디어보드를 설치하는 서울 지역 아파트를 대상으로 자동심장제세동기를 탑재한 디지털 보관함인 ‘U+미디어라이프‘를 무상 설치했으며 U+미디어라이프에는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안내 음성을 듣고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 있어서 주민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된다. 이와 유사하게 응급상황 발생시 긴급 구조요청과 동시에 자동제세동기 사용법을 알려주는 유-헬스 케어 시스템인 ‘스마트포스트’가 서울 광화문 일대 공중전화부스에서 AED AED : Automated extemal defibrillator(AED) 자동 제세동기는 심장이 정지되어 있는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의 정상 리듬을 가져오게 해주는 도구이다. 의용계측 chapter 5. HEART
[서명 : Principles of Biomedical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저자 : Richard Aston]
를 탑재한 스마트포스트를 설치하고 시범 운영을 하였다. AED 스마트포스트는 AED를 탑재한 DID시스템이다. 평상시 화면에는 심폐소생술 등 교육영상이 나오고 긴급상황 발생 시에는 자동으로 응급관제센터(1339,119)에 구조요청을 하고 동시에 AED사용법 영상을 보여주는 유-헬스케어시스템이다.
3) 심전도 심전도 : 심장의 박동에 따라 심근에서 발생하는 활동 전류를 체표면의 적당한 2개소로 유도해서 전류계로 기록할 수가 있는데, 이와 같이해서 얻어진 심근 활동전류의 기록을 심전도라 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블랙야크, 심전도 실시간 모니터링 스마트 웨어 야크온P> 블랙야크, 스마트 웨어 ‘야크온P (YAK ON P)’출시 , [출처 : 한국경제뉴스]
[주소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5138032g]
자체개발한 은사 섬유가 심장에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심전도를 감지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스마트 폰 YAK ON 앱에서, 심박 수만 아니라 운동 목표 설정과 누적 운동량도 확인이 가능하며 신축성 높은 소재를 사용해 격렬하고 장시간 운동을 할 수 있고 세탁까지 가능한 편의성도 갖춰져 있으며 심박 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 웨어(Smart Wear), ‘야크온P(YAK ON P)’를 출시한다.
야크온P의 ‘P’는 Pulse의 약자로 심장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인 심전도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측정해 더욱 정확하게 심박 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 신축성 높은 소재가 적용되어 밀착감이 우수하기 때문에 측정부위에서 흘러내릴 염려 없이 격렬한 운동이나 장시간 착용도 가능하다. 은사 섬유 소재를 통해 측정된 심박 수는 야크 온 펄스(전용 블루투스 심박 측정 송수신기)를 거쳐 스마트 폰의 ‘야크온 앱’에 전송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자신의 심박 수 체크가 가능하며 직접 운동 종류와 목표를 설정할 수 있어 GPS를 기반으로 한 운동거리 측정, 칼로리 소모 등도 확인할 수 있다. 또, 일일 단위부터 주간, 월간 단위까지 누적된 운동 정보를 통해 체계적인 운동이력 관리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심장 관련된 의료기기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심장인데 아직까지도 심장에 관련된 의료기기에 문제가 많다는 걸 알게 되었고 앞으로 발전해야 하는 부분이 많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서 앞으로 의료기기가 더욱 더 발전해서 삶을 더 윤택하고 편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이 올 것 같다.
참 고 문 헌
1. Richard aston, Principles of Biomedical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PrenticeHal, Chapter 5. Heart, Chaptre 8. Defibrillator and Step Responce
(의학공학부 전공서적)
2. 메드트로닉스 (페이스메이커 판매회사)
http://www.medtronic.co.kr/careers/index.htm
3. 네이버 kbs 뉴스 정연욱 기자,“배터리 없는 반영구 심장박동기 세계 최초 개발”
http://news.kbs.co.kr/news/view.do?ref=A&ncd=2907904
4. \"심장병 사망률“, 통계청,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6. “제세동기의 국내 사용현황 및 문제점”
http://www.dbpia.co.kr.libpro1.kku.ac.kr:8080/
7. 본론, 인공심장 그림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26560&cid=47339&categoryId=4733
그림2 메드트로닉스코리아 http://www.medtronic.co.kr/careers/index.htm
그림3 “심장병 사망률”, 통계청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8. 네이버 지식백과 주소 : terms.naver.com
9. 그림1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26560&cid=47339&categoryId=47339
10. 그림2출처 : 메드트로닉스코리아
http://www.medtronic.co.kr/careers/index.htm
11. 그림3출처 :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