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성공의 결과가 나타날 확률을 P(S)=p 라고 하면 실패의 결과가 나타날 확률은 P(F)=q (1-p) 이다. 즉 성공과 실패의 확률을 합하면 1이 된다. 그리고 각 시행은 서로 독립(복원 추출)일 때 베르누이 시행을 한다.
이항실험 : 여러 번의 베르누이 시행을 통해 성공(또는 실패)이 나타날 횟수에 대한 확률을 알고 싶을 때, 그 여러 번의 베르누이 시행을 말한다.
이항확률변수 : 성공의 횟수 또는 실패의 횟수
이항확률분포 ,이항 분포 : 이항확률 변수가 나타내는 분포
이항분포 : 성공할 확률이 p인 베르누이 시행을 n번 반복할 때에 일어나는 성공적 횟수를 X라 하면 이 확률 변수의 X의 확률분포를 모수가 (n,p)인 이항분포라 한다.
포아송분포 : 이항 분포중 n이 아주 크고, p가 아주 작은 분포일 때 포아송 확률 함수를 이용한다. 변수는 0부터 무한대까지의 정수만 포함한다.
확률밀도 함수(연속) : 연속확률분포의 양상을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고 곡선 아래 전체 면적의 합은 1이다.
연속확률분포 : 연속확률변수가 이루는 분포.
정규분포 :
표준정규분포 : 정규분포 중에서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인 경우. 정규분포를 적분해야 되는데 귀찮아서 표준화 시킨 것이다.
Z-SCORE : 모든 정규분포를 표준정규분포로 바꾸기 위해서 필요. 구간확률을 쉽게 구하기 위해서 z-score로 바꿔준다.
표본추출오차 :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전형적인 구성요소를 표본으로 선택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오차. 표본이 크기 때문에 우연에 의해 오류가 날 수도 있고, 모집단을 대표할 수 없는 비전형적인 구성요소를 표본으로 뽑았기
이항실험 : 여러 번의 베르누이 시행을 통해 성공(또는 실패)이 나타날 횟수에 대한 확률을 알고 싶을 때, 그 여러 번의 베르누이 시행을 말한다.
이항확률변수 : 성공의 횟수 또는 실패의 횟수
이항확률분포 ,이항 분포 : 이항확률 변수가 나타내는 분포
이항분포 : 성공할 확률이 p인 베르누이 시행을 n번 반복할 때에 일어나는 성공적 횟수를 X라 하면 이 확률 변수의 X의 확률분포를 모수가 (n,p)인 이항분포라 한다.
포아송분포 : 이항 분포중 n이 아주 크고, p가 아주 작은 분포일 때 포아송 확률 함수를 이용한다. 변수는 0부터 무한대까지의 정수만 포함한다.
확률밀도 함수(연속) : 연속확률분포의 양상을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고 곡선 아래 전체 면적의 합은 1이다.
연속확률분포 : 연속확률변수가 이루는 분포.
정규분포 :
표준정규분포 : 정규분포 중에서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인 경우. 정규분포를 적분해야 되는데 귀찮아서 표준화 시킨 것이다.
Z-SCORE : 모든 정규분포를 표준정규분포로 바꾸기 위해서 필요. 구간확률을 쉽게 구하기 위해서 z-score로 바꿔준다.
표본추출오차 :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전형적인 구성요소를 표본으로 선택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오차. 표본이 크기 때문에 우연에 의해 오류가 날 수도 있고, 모집단을 대표할 수 없는 비전형적인 구성요소를 표본으로 뽑았기
추천자료
행정학에서 계량분석이 필요한 이유
[경제학][경제학이론][경제학파]경제학이론과 경제학파(경제학의 기본원리, 미시경제학, 거시...
지리정보시스템(GIS) 개념, 지리정보시스템(GIS) 특징,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능, 지리정보...
[조사][통계][연구][조사방법][조사통계방법][조사통계분석][조사통계]조사, 통계, 연구의 정...
사회복지조사론 논문
[행정통계학] 행정통계학 시험문제
[통계학][통계학 종류][통계학 활용실태][통계학 모집단][통계학 표본][통계학 변수][통계학 ...
[통계][통계 집중화경향][통계 측정신뢰성][통계 측정타당성][통계학 활용방안]통계의 정의, ...
행정계량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