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해양유민의 사회사 - 제주도민의 새로운 모습을 알게 되다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 해양유민의 사회사 - 제주도민의 새로운 모습을 알게 되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고 한다. 이들의 뛰어난 항해기술은 수군에도 꼭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들은 대외교역을 통하여 중국, 일본인들과의 자연스러운 교류가 있었기 때문에 복장과 언어가 일반적인 유민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말했듯이 이들에게는 국가나 민족의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생존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조선의 백성이지만, 지방 수령들이 호적에 편입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경계인적 특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체제 밖의 존재이면서도 체제 안에 묶여있는 존재라는 말이 딱 어울린다고 할 수 있다. 전쟁 당시에는 조선 수군에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왜병 측에 가담하기도 하며 두 집단 사이를 오간 존재이다.
물리적인 환경, 그리고 국가적인 수탈로 인하여 자신들의 정든 고향을 떠나 가족들과 함께 바다로 향하게 된 이들이 안타깝게 느껴졌다. 하지만 당시 사회의 약자임에도 굴하지 않고 스스로 자신의 생존을 위해 치열하게 살아간 해양유민의 존재에 대해서 알게 돼서 좋았고, 아직 사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앞으로의 연구 과제도 많다고 한다. 새로운 역사 자료들을 많이 발굴해내어 역사에서 소외되었던 존재인 제주인들이 역사무대의 새로운 주인공이 되었으면 좋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0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