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 - 공리주의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 6 나와 우리 - 빈 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도덕교육 - 공리주의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 6 나와 우리 - 빈 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기주의와 이타주의
2. 공리주의에 대하여
3. 나의 경험 사례.
4. 교과서 적용.
5. 느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 어디, 누가 저 돌을 치우는가 지켜봐야지.\' 이솝은 목욕탕에서 그것만 지켜보고 있었다.
\"에잇! 빌어먹을 놈의 돌멩이!\"
여전히 사람들은 돌에 걸려 넘어질 뻔하고는 욕설을 퍼부으며 지나갔다. 얼마 후에 한 사나이가 목욕을 하러 왔다. 그 사나이도 돌에 걸려 넘어질 뻔했다. 이솝은 여전히 그 사나이를 지켜보고 있었다.
\"웬 돌이 여기 박혀 있담!\"
그 사나이는 단숨에 돌을 뽑아냈다. 그리고 손은 툭툭 털더니 목욕탕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이솝은 그제야 일어서더니 목욕탕 안에 들어가 사람 수를 헤아려보지도 않고 그냥 집으로 달려갔다. 이솝은 주인에게 이렇게 말했다.
\"선생님, 목욕탕 안에 사람이라곤 한 명밖에 없습니다.\"
이솝이 주인에게 말했다.
“그것 참 잘 되었구나. 나하고 목욕하러 가자.”
이솝은 주인과 함께 목욕탕으로 갔다. 그런데 목욕탕 안에는 사람들이 우글우글 발을 들여놓을 틈도 없었다.
“이 녀석아, 사람이 한 명 밖에 없다고? 왜 거짓말을 했느냐?”
주인이 화를 내며 말했다.
“선생님, 제 말씀을 들어 보세요.”
“또 무슨 거짓말을 하려고 그러느냐?”
“아닙니다. 선생님. 목욕탕 문 앞에 뾰족한 돌부리가 튀어나와 있어서 사람들이 넘어지고 다치기도 했는데, 누구 하나 그 돌멩이를 치우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단 한 사람, 그 돌멩이를 치우고 들어가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제 눈에는 사람다운 사람은 오직 그 사람 하나였습니다.
“허허, 그래서 그랬구나.”
주인은 유쾌하게 웃었다.
도서 출판 참(편집) <이야기해 주세요>1991.P132.
위 이야기는 한 사람이 돌멩이를 치우므로 인해 다른 사람이 다치거나 걸려 넘어질 뻔하는 일을 막아 주었다. 공리주의의 관점에서 보자면 돌멩이를 치우는 행위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결정짓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이런 일화를 아이들에게 이야기 해주며, 자그마한 실천 하나가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는 아주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초등학생 아이들에게는 공리주의 개념에 대한 깊은 이해보다는 협동, 타인 배려, 공동체 의식에 대한 함양을 가지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공익 생활에는 차례와 질서를 지키는 일에서부터 여러 사람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일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형태가 있음을 알고, 초등 학생 수준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일들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5. 느낀점.
요즘 아이들은 너무 자기 중심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초등학교 실습을 통해서 여러 모로 느꼈다. 조그마한 친구의 실수로 서로 싸우고, 욕하는 아이들을 보며 시대가 많이 변했다는 생각과 함께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하나 고민이 들기 시작했다. 수업시간에 다른 사람은 아량 곳 없이 떠드는 아이들, 점심시간에 새치기 하여 줄서는 아이들을 보며 미래의 교육자로서 어떻게 아이들을 지도해야하나 걱정이 들었다. 사회는 혼자만 살아갈 수 없기 때문에 공공의 덕목이 생겨난 것이고, 그것을 우리는 지켜야 한다. 하지만 아직 아이들은 사회에 대한 경험을 교실에서 밖에 경험하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교실 교육이 중요한 것이다. 최대 다수가 최대 행복을 보장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 실천적 방안을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그리고 공리주의를 선택했다.
이기주의와 이타주의 사이에 위치해 있는 공리주의. 공리주의만이 절대적인 답이라고 생각했는데 공리주의도 여러 모순이 있었다. 따라서 공리주의도 완전한 것이 될 수 없기에 이를 아이들에게 가르쳐야한다. 예를 들어 조별 학습 시간에 모두가 열심히 하여 공정한 대가를 얻는다면 도덕적 문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조별 학습 시간에 어
  • 가격1,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