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마케팅의 이해 - 마케팅은 예술인가 과학인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포츠 마케팅의 이해 - 마케팅은 예술인가 과학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 이후 이들의 절대적인 입소문에 기댔다. 효과는 백점이었다. 주부들 사이에서는 딤채계가 만들어졌고, 심지어는 11명이 계를 모아 10대를 사면 1대를 무료로 주기도 했다. 마케팅의 핵심은 고객의 지갑을 여는 것이고, 고객의 지갑을 열려면 먼저 마음을 열어야 한다. 이에 고객의 마음을 여는 가장 좋은 방법이 입소문이다. 이 입소문 마케팅에도 성공전략이 있어 몇 가지 소개한다. 첫째, 네트워크 허브(Hub)를 찾아라. 쉽게 말하면 마니아, 얼리 어답터 등 빅마우스 역할을 누가 하는지 알아아 한다는 것. 둘째, 적극적으로 밑씨를 뿌려라. 고객을 체험하고 감동하게 만들어야 다음 과정의 입소문이 퍼진다. 셋째, 스토리텔링이 있어야 한다. 요즘은 이것이 시대의 대세다. 넷째, 입소문을 또 활용하라. 입소문이 진실이라면 매체 등을 활용해 이를 또 광고할 때 효과는 폭발적이다. 한편 이 입소문 마케팅에는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 네트워크 마케팅(Network Marketing), 체험 마케팅(Experience Marketing) 등이 있으며, 사실 타깃 유저들에게 기업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상의 유사한 면을 가지고 있다. 즉 매스미디어를 통하지 않고 휴먼 네트워크 상에서 자연스럽게 소문이 나고 바이러스처럼 전파가 되어 홍보가 된다는 것이다.
3) 사례
① 저지방 영양식 파워바 : 일단 입소문을 퍼뜨리려면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시장의 성격과 특징 등을 미리 조사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은 성패를 달리한다. 결국, 성공적인 입소문 뒤에는 수많은 노력이 숨겨져 있다. 파워바는 운동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소화가 쉬운 저지방 영양식이다. \'파워바(Powerbar)\'의 창시자 브라이언 맥스웰과 제니퍼 비덜프는 자신의 제품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다. 그들은 파워바를 팔기 위해 스포츠 선수들을 상대로 마케팅을 해야 하는데, 문제는 스포츠의 종류가 다양하다는 점이다. 골프 선수들은 골프 선수들끼리 그룹을 만들고, 농구 선수는 농구 선수끼리 그룹을 만든다. 그리고 그들은 그룹 간에 서로 교류가 거의 없기 때문에 한 그룹에서 다른 그룹으로 입소문이 퍼지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즉, 골프 선수를 상대로 파워바를 판다고 해서 농구 선수의 파워바 소비량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그들은 각 스포츠 분야에서 뛰어난 선수들을 뽑아 그 분야의 마케터로 활동하게 했다. 이 중에는 풋볼 선수였던 스티븐 영이 포함되어 있었고 그는 자신이 사용하는 상품만 홍보한다는 명성 때문에 파워바는 사람들에게 더 호소력이 있었다. 하지만 이뿐만이 아니다. 파워바의 사원들도 직접 운동경기에 참가한다. 지금도 파워바 사이트에 가 보면 사원들의 경기 참가 모습을 사진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들도 파워바를 이용한다. 회사 사원들도 사용하게 되면 제품에 대한 고객의 불신감이 훨씬 덜 하게 된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러한 사원들의 직접적인 참여와 세분화된 마케팅은 파워바의 소비량과 입소문을 늘렸고, 이제 파워바를 어디에서든지 찾을 수 있게 되었다
② 스포츠 음료 게토레이 : 보신 분도 많겠지만, 가볍게 시작하는 마음으로 한 때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동영상으로 시작하겠습니다. ‘놀라운 볼걸 캐치(Amazing Ball Girl Catch)’라는 타이틀의 이 동영상은 100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댓글에서 진위여부를 놓고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으며 한 지역방송은 스포츠 뉴스시간에 이 동영상을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국내 유명 동영상 사이트의 스포츠 관련 카테고리에서도 꽤 장기간 1,2위에 오른 동영상입니다. 중요한건 이 동영상은 그냥 만들어진게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이 동영상이 사람들 사이에서 한참 이야기가 오고 갈때 쯤 게토레이에서 제작한 것이 밝혀짐으로써 또 한 번 화제가 되었습니다. 스포츠 음료 브랜드인 게토레이로써는 스포츠 카테고리 나아가 동영상 전체에서도 화제가 되었던 만큼 성공했다고 할 수 있겠지요.
4. 소셜마케팅 Social marketing
1) 개요
소셜마케팅은 제품 홍보보다는 소비자·환경·사회 등 따뜻하고 인간적인 면을 강조함으로써 장기적으로 기업의 이미지를 높이는 기법과 2인 이상이 주체가 되어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기법이 있다. 마케팅이란, 생산자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유통시킬 목적으로 행하는 모든 체계적인 경영 활동을 일컫는다. 이 가운데 생산자가 상품·서비스·이념·신조·정책 등을 세상에 알려 소기의 목적을 거두기 위해 투자하는 정보활동을 가리켜 광고라고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광고는 자기 회사의 상품을 소비자들에게 널리 알리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자기 회사의 제품을 직접 알리기보다는 따뜻하고 정감이 넘치는 인간적이고 흐뭇한 이야기를 소재로 삼아 단기적인 효과가 없더라도, 장기적으로 기업의 이미지를 높이는 광고 또는 마케팅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광고 기법이 소셜마케팅이다. 경제적 관점에 사회적 시점을 도입한 광고 기법이다. 어려운 이웃을 돕는다든가, 백혈병 어린이를 돕는 자선공연 등 인간적인 면을 부각시킨 광고를 통해 기업에 대한 대중의 인지도를 높여 결과적으로는 제품을 홍보하는 효과를 내고자 할 때 채택하는 간접광고이다.
2) 사례 : 하이네켄 소셜 마케팅
우리나라로 치면 한일전에 버금가는 밀란과 레알마드리드의 경기와 같은날 같은 시간에 가짜 콘서트를 기획한다.
남자친구가 있는 여자 교수 기자 등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주변인들을 이용해 콘서트에 참석키신다.(참석한 사람들은 당근 타의에 의해 축구경기를 포기하고 울며 겨자먹기로)
처음에는 콘서트를 진행하는 척하며 뒤편 스크린으로 관객들을 향해 메시지를 보낸다.
결국 콘서트가 가짜라는 사실을 알게된 관객들은 다들 속았다는 사실에 오히려 즐거워하며 이벤트를 받아들인다. 짧은 하이네켄 프로모션과 이후에 축구 경기 관람을 함 께 한다. 진정한 마케팅이 이루어진 것은 콘서트 이후였다. 정말 놀라운 파급력으로 이벤트에 참여하게 된 사람들은 자신의 sns를 이용해 후기나 당시 상황들을 시작했고 사람들 사이에 동영상과 함께 입소문을 타고 빠르게 퍼져나갔다. 하이네켄 관고
  • 가격1,4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9.03.14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0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