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 머리말_5 | 초판 머리말_9
-참고문헌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어학의 이해
최전승.최재희.윤평현.배주채
차례.
개정판 머리말_5 | 초판 머리말_9
제 1 장 총론
1. 언어와 국어_17
언어의 중요성_17 | 언어의 기원_18 | 언어의 특성_20 | 언어의 기능_24 | 언 어능력과 언어습득_25 | 언어의 갈래_28 | 국어와 한국어_30
2. 국어학과 국어학 연구_32
언어학과 국어학_32 | 국어학의 연구 방법_34 | 국어학의 연구 분야_35
∞ 더 읽을거리_41
제 2 장 음운론
1. 음운 단위 _43
음성과 음운_43 | 음소와 변이음_46 |분절음과 초분절음_49 |음운체계_50 |
자음 체계_53 | 모음체계_55 | 음절_59 | 초분절음_62
2. 음운현상_65
교체와 음운규칙_65 | 음운현상이 일어나는 문법적 환경_67 | 현대국어의 음운 현상_70
3. 음운변동과 음운변화_84
∞ 더 읽을거리_85
제 3 장 문법론
1. 언어와 문법_87
문법의 정의_87 | 문법론의 연구 범위_87
2. 형태소_88
형태소의 정의_88 | 기본형과 이형태_89 | 형태소 분석_91 | 형태소의 유형_93
3. 단어_94
단어의 정의_94 |단어의 구조_96 | 단어의 형성_100
4. 품사_102
품사 분류의 기준_102 | 품사 분류의 실제_104 |품사 각론_106
5. 굴절_120
굴절의 정의_120 |품사 분류의 실제_104 |품사 각론_106
6. 문장의 구성_125
구성_126 | 구성성분의 범주_132 | 문장의 기본 구조_134
7. 문장의 내포와 접속_137
복합문 생성의 원리_137 | 내포_138 |접속_150
8. 생성문법의 기초_155
이론적 배경_155 | 문장 생성의 규칙과 원리_157 | 심층구조와 표층구조_162 | 변형 규칙_164 | 생성문법 이론의 발전_164
∞ 더 읽을거리_166
제 4 장 의미론
1. 의미와 의미 이론_169
의미의 의미_169 | 의미의 유형_173 | 의미의 기능_176 |의미론의 연구 영역_178
2. 어휘의미론_180
단어장과 성분분석_180 | 국어 어휘의 의미관계_185 |다의어와 동음어_197
3. 문장의미론_201
문장의 의미와 통사구조_201 | 국어 문장의 의미_202 | 함의와 전제_206
4. 화용론_211
화용론과 그 연구 대상_211 | 직시와 조응_212 | 발화행위와 간접발화행위_215
함축_219
∞ 더 읽을거리_223
제 5 장 국어사
1. 국어의 변화와 역사적 시간 _225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_225 | 국어사 연구에서 공시적 연구의 위상_266
공시적 방법과 통시적 방법의 상관성_227
2. 왜 국어의 역사를 이해하여야 되는가?_229
현대 국어의 세가지 시간 성분_229 | 현대 국어의 여러 분석 층위에서 관찰되는 역사성_230
3. 국어 변화의 유형_238
표기법 체계의 변화_239 | 음운 변화_240 |형태 변화_242 | 어휘 변화와 의미
변화_244 |통사 변화_247
4. 국어사를 연구하는 방법_249
문헌 자료와 그 제약_249 | 방언_251 | 내적 재구_253 | 비교 방법_256
5. 국어사의 시대 구분과 고대 국어_259
국어사의 시대 구분_259 | 고대 국어_264
6. 중세 국어의 공시적 체계와 특질_270
전기와 후기 중세 국어의 시기와 자료_270 | 후기 중세 국어의 음운론적 특질_
272 | 후기 중세 국어의 문법적 특질_281
7. 근대 국어와 변화_288
음운 변화_289
∞ 더 읽을거리_294
제 6 장 방언론
1. 현대 국어의 다양성과 공간 : 방언_297
지역 방언과 사회방언_297 | 방언과 방언학_298 | 언어 변이의 성격_299
2. 방언의 특질_300
방언들의 공통 자질과 상이점_301 | 단일어의 역사적 발달의 결과_304 | 일정한 언어사회와 구성원들의 정체성의 표지_305 | 고유한 공시적 체계와 역사 성_308
3.표준어와 방언_310
표준어의 기준_310 | 표준어와 방언과의 관계_312
4.방언의 유형_315
지역 방언과 전통 방언학_315 | 사회방언과 사회 방언학_322
5.방언 연구의 유용성_325
언어 내적 유용성_325 | 언어 외적 유용성_327
6.방언과 문학_330
문학 매체로서의 표준어의 성립_330
문학작품과 방언_331
문학작품의 방언에 투영된 작가의 방언 의식_334
7.방언의 현지 조사와 그 구성 요소_336
방언 조사 지점과 방언 구획_337 | 방언 조사 질문지_339
자료 제공자의 선정_342
면담의 과정과 현지 조사원 및 통신조사_344
∞ 더 읽을 거리_347
제 7 장 문자론
1. 문자_351
문자의 종류_351 | 한글_353 | 한자_355
2. 표기법_358
차자표기법_358 | 한글표기법_363|외래어표기법_366 |로마자표기법_368
∞ 더 읽을거리_371
참고문헌_373
찾아보기_385
제 1 장 총론
1. 언어와 국어
◆ 언어의 중요성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사람은 혼자서 살 수 없고 여럿이 모여서 살 수 있다는 말이다. 곧 인간은 사회 속에서 생활을 영위한다. 그러면 인간의 사회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무엇보다도 언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는 중요성은 개인이 살아가는 한 시대의 사회생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우리 인간은 한 순간을 살다가 사라지지만 인류의 역사는 헤아릴 수 없는 과거에서 끝이 없는 미래로 이어진다. 그런데 과거의 문화유산이나 역사가 연재로 이어질 수 있게 하는 것도 언어이고, 과거를 바탕으로 하여 현재를 확장시킬 수 있는 것도 언어이며, 이러한 과거와 현재가 다시 미래로 지속될 수 있는 것도 언어
최전승.최재희.윤평현.배주채
차례.
개정판 머리말_5 | 초판 머리말_9
제 1 장 총론
1. 언어와 국어_17
언어의 중요성_17 | 언어의 기원_18 | 언어의 특성_20 | 언어의 기능_24 | 언 어능력과 언어습득_25 | 언어의 갈래_28 | 국어와 한국어_30
2. 국어학과 국어학 연구_32
언어학과 국어학_32 | 국어학의 연구 방법_34 | 국어학의 연구 분야_35
∞ 더 읽을거리_41
제 2 장 음운론
1. 음운 단위 _43
음성과 음운_43 | 음소와 변이음_46 |분절음과 초분절음_49 |음운체계_50 |
자음 체계_53 | 모음체계_55 | 음절_59 | 초분절음_62
2. 음운현상_65
교체와 음운규칙_65 | 음운현상이 일어나는 문법적 환경_67 | 현대국어의 음운 현상_70
3. 음운변동과 음운변화_84
∞ 더 읽을거리_85
제 3 장 문법론
1. 언어와 문법_87
문법의 정의_87 | 문법론의 연구 범위_87
2. 형태소_88
형태소의 정의_88 | 기본형과 이형태_89 | 형태소 분석_91 | 형태소의 유형_93
3. 단어_94
단어의 정의_94 |단어의 구조_96 | 단어의 형성_100
4. 품사_102
품사 분류의 기준_102 | 품사 분류의 실제_104 |품사 각론_106
5. 굴절_120
굴절의 정의_120 |품사 분류의 실제_104 |품사 각론_106
6. 문장의 구성_125
구성_126 | 구성성분의 범주_132 | 문장의 기본 구조_134
7. 문장의 내포와 접속_137
복합문 생성의 원리_137 | 내포_138 |접속_150
8. 생성문법의 기초_155
이론적 배경_155 | 문장 생성의 규칙과 원리_157 | 심층구조와 표층구조_162 | 변형 규칙_164 | 생성문법 이론의 발전_164
∞ 더 읽을거리_166
제 4 장 의미론
1. 의미와 의미 이론_169
의미의 의미_169 | 의미의 유형_173 | 의미의 기능_176 |의미론의 연구 영역_178
2. 어휘의미론_180
단어장과 성분분석_180 | 국어 어휘의 의미관계_185 |다의어와 동음어_197
3. 문장의미론_201
문장의 의미와 통사구조_201 | 국어 문장의 의미_202 | 함의와 전제_206
4. 화용론_211
화용론과 그 연구 대상_211 | 직시와 조응_212 | 발화행위와 간접발화행위_215
함축_219
∞ 더 읽을거리_223
제 5 장 국어사
1. 국어의 변화와 역사적 시간 _225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_225 | 국어사 연구에서 공시적 연구의 위상_266
공시적 방법과 통시적 방법의 상관성_227
2. 왜 국어의 역사를 이해하여야 되는가?_229
현대 국어의 세가지 시간 성분_229 | 현대 국어의 여러 분석 층위에서 관찰되는 역사성_230
3. 국어 변화의 유형_238
표기법 체계의 변화_239 | 음운 변화_240 |형태 변화_242 | 어휘 변화와 의미
변화_244 |통사 변화_247
4. 국어사를 연구하는 방법_249
문헌 자료와 그 제약_249 | 방언_251 | 내적 재구_253 | 비교 방법_256
5. 국어사의 시대 구분과 고대 국어_259
국어사의 시대 구분_259 | 고대 국어_264
6. 중세 국어의 공시적 체계와 특질_270
전기와 후기 중세 국어의 시기와 자료_270 | 후기 중세 국어의 음운론적 특질_
272 | 후기 중세 국어의 문법적 특질_281
7. 근대 국어와 변화_288
음운 변화_289
∞ 더 읽을거리_294
제 6 장 방언론
1. 현대 국어의 다양성과 공간 : 방언_297
지역 방언과 사회방언_297 | 방언과 방언학_298 | 언어 변이의 성격_299
2. 방언의 특질_300
방언들의 공통 자질과 상이점_301 | 단일어의 역사적 발달의 결과_304 | 일정한 언어사회와 구성원들의 정체성의 표지_305 | 고유한 공시적 체계와 역사 성_308
3.표준어와 방언_310
표준어의 기준_310 | 표준어와 방언과의 관계_312
4.방언의 유형_315
지역 방언과 전통 방언학_315 | 사회방언과 사회 방언학_322
5.방언 연구의 유용성_325
언어 내적 유용성_325 | 언어 외적 유용성_327
6.방언과 문학_330
문학 매체로서의 표준어의 성립_330
문학작품과 방언_331
문학작품의 방언에 투영된 작가의 방언 의식_334
7.방언의 현지 조사와 그 구성 요소_336
방언 조사 지점과 방언 구획_337 | 방언 조사 질문지_339
자료 제공자의 선정_342
면담의 과정과 현지 조사원 및 통신조사_344
∞ 더 읽을 거리_347
제 7 장 문자론
1. 문자_351
문자의 종류_351 | 한글_353 | 한자_355
2. 표기법_358
차자표기법_358 | 한글표기법_363|외래어표기법_366 |로마자표기법_368
∞ 더 읽을거리_371
참고문헌_373
찾아보기_385
제 1 장 총론
1. 언어와 국어
◆ 언어의 중요성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사람은 혼자서 살 수 없고 여럿이 모여서 살 수 있다는 말이다. 곧 인간은 사회 속에서 생활을 영위한다. 그러면 인간의 사회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무엇보다도 언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는 중요성은 개인이 살아가는 한 시대의 사회생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우리 인간은 한 순간을 살다가 사라지지만 인류의 역사는 헤아릴 수 없는 과거에서 끝이 없는 미래로 이어진다. 그런데 과거의 문화유산이나 역사가 연재로 이어질 수 있게 하는 것도 언어이고, 과거를 바탕으로 하여 현재를 확장시킬 수 있는 것도 언어이며, 이러한 과거와 현재가 다시 미래로 지속될 수 있는 것도 언어
추천자료
(독후감) 'THE GOAL', '잭 웰치, 끊임없는 도전과 용기’, ‘총각네 야채가게’를 읽고
[독후감]독서감상문(독후감)의 개념과 중요성, 독서감상문(독후감)의 장점, 독서감상문(독후...
티핑 포인트
이순신장군의 난중일기, 난중일기독후감
뚜르게네프 중편선
독서지도(독서교육)의 사례1, 독서지도(독서교육)의 사례2, 독서지도(독서교육)의 사례3, 독...
[독후감상문] 신화와 전설로 피어난 꽃들 - <그리스 로마신화>를 읽고
<<마시멜로 이야기 독후감>> 마시멜로 이야기 독후감,마시멜로이야기 독서감상문,마시맬로 줄...
<<창문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영화 감상문>>창문넘어 도망친 100세노인 감상문,창문넘어 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