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선정
o
o
o
대상자들 서로 알아가기
o
자원봉사자 간담회
o
o
o
나들이
o
반갑다 친구야
o
추억 빚기
o
만족도 조사
o
o
o
o
o
6. 예산계획
※ 사업에 직접 투입되는 비용만 예산계획에 기입
관
사업비
항
공동모금회 한글교육 사업비
목
세목
계
산출근거
예산조달 계획
신청금액
비율
(%)
자부담
비율
(%)
자부담재원
총계
인건비
사회복지사 주간활동비
20,000,000원
4시간×월20회×1개월× 50,000원 × 5명=
20,000,000원
소계
20,000,000원
사업비
대상자선정
70,000원
직접 방문 차비 70,000원
대상자들 서로 알아가기
280,000원
명찰130개x1,000원=130,000원
과자 100,000원
음료수 50,000원
자원봉사자 간담회
150,000원
간식비 150,000원
나들이 & 반갑다 친구야
250,000원
게임재료 50,000원
간식 150,000원
기타 50,000원
추억 빚기
1,450,000원
체험 참가비 3,000원x100=300,000원
점심식사 5,000x130=650,000원
교통비 차대절 500,000원
소계
2,200,000원
2,200,000원
관리운영비
전기세
200,000원
전기사용료 월 50,000원x4개월
=200,000원
냉,난방비
120,000원
냉,난방비 월 30,000원x4개월
=120,000원
소계
320,000원
320,000원
7. 신청사업의 기대효과
본 사업의 기대효과로서 첫째, 국제결혼을 한 이주여성들이 문화적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이제는 대한민국의 한 문화를 이해하며 스스로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며 둘째, 더 이상 다문화 가정에 대한 좋지 않게 인식되었던 많은 부분이 개선되어질 것이며 마지막으로, 이제는 다문화 가정도 우리 사회의 한 공동체라는 것을 인식하고 살아갈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8. 향후계획
1. 다문화가정의 여성들이 더 이상 사회적으로 소외감을 느끼지 않고 다양한 사람들과 어 울려 지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
2. 한 달에 한 번씩 다문화 가정에 전화를 해서 안부를 묻고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이야 기하며 생활 예측
3. 성공적으로 프로그램 완수를 했을 때, 완산구에 제한했었던 프로그램을 전주시 전체로 확대해 프로그램 진행 예정
4. 다문화가정에 참여한 참여자들(한국인, 외국인 모두 포함)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하고, 그들이 지속적으로 연락하며 지낼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
o
o
o
대상자들 서로 알아가기
o
자원봉사자 간담회
o
o
o
나들이
o
반갑다 친구야
o
추억 빚기
o
만족도 조사
o
o
o
o
o
6. 예산계획
※ 사업에 직접 투입되는 비용만 예산계획에 기입
관
사업비
항
공동모금회 한글교육 사업비
목
세목
계
산출근거
예산조달 계획
신청금액
비율
(%)
자부담
비율
(%)
자부담재원
총계
인건비
사회복지사 주간활동비
20,000,000원
4시간×월20회×1개월× 50,000원 × 5명=
20,000,000원
소계
20,000,000원
사업비
대상자선정
70,000원
직접 방문 차비 70,000원
대상자들 서로 알아가기
280,000원
명찰130개x1,000원=130,000원
과자 100,000원
음료수 50,000원
자원봉사자 간담회
150,000원
간식비 150,000원
나들이 & 반갑다 친구야
250,000원
게임재료 50,000원
간식 150,000원
기타 50,000원
추억 빚기
1,450,000원
체험 참가비 3,000원x100=300,000원
점심식사 5,000x130=650,000원
교통비 차대절 500,000원
소계
2,200,000원
2,200,000원
관리운영비
전기세
200,000원
전기사용료 월 50,000원x4개월
=200,000원
냉,난방비
120,000원
냉,난방비 월 30,000원x4개월
=120,000원
소계
320,000원
320,000원
7. 신청사업의 기대효과
본 사업의 기대효과로서 첫째, 국제결혼을 한 이주여성들이 문화적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이제는 대한민국의 한 문화를 이해하며 스스로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며 둘째, 더 이상 다문화 가정에 대한 좋지 않게 인식되었던 많은 부분이 개선되어질 것이며 마지막으로, 이제는 다문화 가정도 우리 사회의 한 공동체라는 것을 인식하고 살아갈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8. 향후계획
1. 다문화가정의 여성들이 더 이상 사회적으로 소외감을 느끼지 않고 다양한 사람들과 어 울려 지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
2. 한 달에 한 번씩 다문화 가정에 전화를 해서 안부를 묻고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이야 기하며 생활 예측
3. 성공적으로 프로그램 완수를 했을 때, 완산구에 제한했었던 프로그램을 전주시 전체로 확대해 프로그램 진행 예정
4. 다문화가정에 참여한 참여자들(한국인, 외국인 모두 포함)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하고, 그들이 지속적으로 연락하며 지낼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
추천자료
결혼 이주 다문화 여성의 적응과 가족 관계 개선 프로그램
결혼 이주 여성의 적응과 가족 관계 개선 프로그램
다문화 아동, 학부모의 학업 성취와 적응 지원 사업 프로그램 -2011년 전국제안기획사업 사업...
결혼 이주 다문화 여성의 적응과 가족 관계 개선 프로그램
평생교육사-프로그램 계획서-다문화편
사업계획서 - 친절한 우리 이웃 - 다문화 가정 및 이주 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
사업계획서 - 친절한 우리 이웃 - 지역의 다문화 가정 및 이주 여성 대한 부정적 인식개선 프...
사업계획서 - 올라운드 - All around - 다문화 가정의 인식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이 차별 없이 행복하게 잘 성장하기 위해서는 개발되어야 할 프로그램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