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치하게 한 뒤에 그 위에 플라스틱 숟가락을 올리고 자석으로 된 팽이를 돌리면 빠르게 가속되며 계속해서 돌아가게 된다. 다이오드는 빠르게 깜빡거리거나 계속 빛난다.
8.실험결론
<실험 결론>
1.팽이는 정확한 위치에서 돌아갈 경우 건전지가 다 닳을때까지 계속 돌아가며 일정 속도에 이를 때 까지 가속된다.
2.역방향으로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는 자석이 돌아가면서 극이 바뀔 때마다 빛을 내며, 팽이가 빠르게 돌면 계속해서 빛을 낸다.
<실험 이론>
1.자석의 극이 리드 스위치의 극과 반대되는 극이 될 경우, 리드스위치가 켜져서 전류가 전자석으로 흐른다. 그러면 전자석에서 자기장이 생겨 자석의 자기장과 충돌해 계속 돌게 된다.
2.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는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면 켜지지 않는다. 하지만 전류가 끊기면 전자석에 남아있던 전류가 더 강한 힘을 받아 반대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 힘으로 인해 다이오드에 빛이 켜진다.
9.느낀점
이 실험을 하기에 앞서 줄을 서서 20분정도 기다렸지만, 도우미의 불친절한 진행이 별로 만족스럽지는 않았다. 하지만 역방향 다이오드는 굉장히 흥미로웠다. 그 ‘더 강한 힘’에 대해 더 조사해 보고 관련된 실험을 해 보고 싶다.
8.실험결론
<실험 결론>
1.팽이는 정확한 위치에서 돌아갈 경우 건전지가 다 닳을때까지 계속 돌아가며 일정 속도에 이를 때 까지 가속된다.
2.역방향으로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는 자석이 돌아가면서 극이 바뀔 때마다 빛을 내며, 팽이가 빠르게 돌면 계속해서 빛을 낸다.
<실험 이론>
1.자석의 극이 리드 스위치의 극과 반대되는 극이 될 경우, 리드스위치가 켜져서 전류가 전자석으로 흐른다. 그러면 전자석에서 자기장이 생겨 자석의 자기장과 충돌해 계속 돌게 된다.
2.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는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면 켜지지 않는다. 하지만 전류가 끊기면 전자석에 남아있던 전류가 더 강한 힘을 받아 반대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 힘으로 인해 다이오드에 빛이 켜진다.
9.느낀점
이 실험을 하기에 앞서 줄을 서서 20분정도 기다렸지만, 도우미의 불친절한 진행이 별로 만족스럽지는 않았다. 하지만 역방향 다이오드는 굉장히 흥미로웠다. 그 ‘더 강한 힘’에 대해 더 조사해 보고 관련된 실험을 해 보고 싶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