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모형은 떼어내지 않고 모든 부품을 막대기로 떼어낸다.
2.밑판에 기둥을 끼워서 밑에서 핀으로 고정시킨다.
3.밑에서 받침대를 끼운다.
4.화살표 기둥 쪽으로 밀어 고정시킨다.
5.스티커를 기둥에 닫게 붙인다.
6.두색의 스티커를 자석의 양쪽 면에 붙여 극을 표시한다.
7.자석을 구멍아래 홈까지 닿도록 눌러 끼워 고정시킨다.
8.1번 자석은 밑판의 자석보다 앞에 2번 자석은 같은 위치에 놓는다.
9.자석이 움직이지 않게 고무링으로 고정시킨다.
10.반짝이 스티커를 대각선으로 붙여 완성시킨다.
<정상파 실험>
준비물: 버튼스위치, 페트병 뚜껑, 양면테이프, 전지홀더, 전지, 줄, 링, 캡슐, 전선, 고무찰흙
실험과정
1.버튼스위치를 끼운다.
2.양면테이프로 전동기와 전기홀더를 붙인다.
3.전동기, 스위치, 전지홀더를 연결한다.
4.캡슐의 작은 구명에 전동기를 끼운다.
5.전동기축에 페트병 뚜껑을 연결한다. 고무찰흙을 페트병 안에 붙여 완성한다.
5. 실험이론
<종이컵부메랑 만들기>
종이컵부메랑을 날리면 상대적으로 위쪽이 고기압으로 되어 밑으로 되돌아온다.
<자기부상 팽이 만들기>
옆의 사진과 같이 다른 극은 서로 붙고, 같은 극은 서로 밀어내는 성질을 이용하여 자기부상팽이가 공중에서 돌아간다.
<정상파 실험>
정상파란 진폭과 진동수가 같은 두 파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여 중첩되어 나타나는 모습을 보면 마치 파동이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진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중첩된 이러한 파동을 정상파라고 한다.
6.느낀점
파동이란 단어를 알게되었고 아직 알지못하는 점이 많으므로 더 많이 배워야겠다. 그리고 시간이날
2.밑판에 기둥을 끼워서 밑에서 핀으로 고정시킨다.
3.밑에서 받침대를 끼운다.
4.화살표 기둥 쪽으로 밀어 고정시킨다.
5.스티커를 기둥에 닫게 붙인다.
6.두색의 스티커를 자석의 양쪽 면에 붙여 극을 표시한다.
7.자석을 구멍아래 홈까지 닿도록 눌러 끼워 고정시킨다.
8.1번 자석은 밑판의 자석보다 앞에 2번 자석은 같은 위치에 놓는다.
9.자석이 움직이지 않게 고무링으로 고정시킨다.
10.반짝이 스티커를 대각선으로 붙여 완성시킨다.
<정상파 실험>
준비물: 버튼스위치, 페트병 뚜껑, 양면테이프, 전지홀더, 전지, 줄, 링, 캡슐, 전선, 고무찰흙
실험과정
1.버튼스위치를 끼운다.
2.양면테이프로 전동기와 전기홀더를 붙인다.
3.전동기, 스위치, 전지홀더를 연결한다.
4.캡슐의 작은 구명에 전동기를 끼운다.
5.전동기축에 페트병 뚜껑을 연결한다. 고무찰흙을 페트병 안에 붙여 완성한다.
5. 실험이론
<종이컵부메랑 만들기>
종이컵부메랑을 날리면 상대적으로 위쪽이 고기압으로 되어 밑으로 되돌아온다.
<자기부상 팽이 만들기>
옆의 사진과 같이 다른 극은 서로 붙고, 같은 극은 서로 밀어내는 성질을 이용하여 자기부상팽이가 공중에서 돌아간다.
<정상파 실험>
정상파란 진폭과 진동수가 같은 두 파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여 중첩되어 나타나는 모습을 보면 마치 파동이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진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중첩된 이러한 파동을 정상파라고 한다.
6.느낀점
파동이란 단어를 알게되었고 아직 알지못하는 점이 많으므로 더 많이 배워야겠다. 그리고 시간이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