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관의 사업진행에 대한 사후평가로 구분할 수 있다. 공동모금회의 평가작업의 척도는 현재 작성되었지만 아직도 객관적인 평가매뉴얼이 작성되지 못했기 때문에 지회마다 평가자의 가치관에 따라서 평가결과가 다르게나오는 경우도 있다. 물론 사회복지사업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란 힘든 작업이다. 대부분의 사업이 사람을 변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므로 더욱 더 객관적인 평가는 어려워진다. 그렇다하여도 점차 사회복지재원의 사용도 효율성과 효과성을 함께 측정해야 한다는 사회적 함의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공동모금회는 객관적 평가작업을 위한 노력을 다해야 한다.
7) 운영의 투명성과 책임성의 확보
공동모금회의 핵심적인 요소는 투명성과 책임성이다. 주민들의 참여에 의한 기부금의 사용내역의 공표는 기부자의 신뢰구축과 참여의 지속적 유지가능성을 담보하고, 공동모금회의 책임성에 기한 효율적 운영으로 기부자가 참여의 효과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기금의 규모 또한 확대될 수 있다.
8) 자원봉사자의 활용
공동모금회의 조직은 이사회 또는 분과위원회로서 그 구성원자신이 지역사회의 자원봉사자들이다. 따라서 이사회는 의사결정기구로서 그 중요성이 더할 뿐 아니라 분과위원회는 모금과 배분활동의 직접 수행기구로서 각 계의 참여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공동모금회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서는 자원봉사자들의 확보와 이들에 대한 교육이 필수적이며,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에 대해서도 인정과 보상이 따르도록 배려해야 한다. 특히 자원봉사자로 하여금 기획, 홍보조사, 연구교육 또는 평가에 골고루 참여하게 하고, 지속적으로 자원봉사자 스스로 활동하게 하여야 한다.
7) 운영의 투명성과 책임성의 확보
공동모금회의 핵심적인 요소는 투명성과 책임성이다. 주민들의 참여에 의한 기부금의 사용내역의 공표는 기부자의 신뢰구축과 참여의 지속적 유지가능성을 담보하고, 공동모금회의 책임성에 기한 효율적 운영으로 기부자가 참여의 효과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기금의 규모 또한 확대될 수 있다.
8) 자원봉사자의 활용
공동모금회의 조직은 이사회 또는 분과위원회로서 그 구성원자신이 지역사회의 자원봉사자들이다. 따라서 이사회는 의사결정기구로서 그 중요성이 더할 뿐 아니라 분과위원회는 모금과 배분활동의 직접 수행기구로서 각 계의 참여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공동모금회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서는 자원봉사자들의 확보와 이들에 대한 교육이 필수적이며,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에 대해서도 인정과 보상이 따르도록 배려해야 한다. 특히 자원봉사자로 하여금 기획, 홍보조사, 연구교육 또는 평가에 골고루 참여하게 하고, 지속적으로 자원봉사자 스스로 활동하게 하여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