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안정적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마을 단위의 기업 혹은 지역주민 주도로 지역의 인재와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문제 해결과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는 지역 공동체 활성화 사업 총칭
- 정기석 :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경제 단위체로서 기업을 뜻하지 않으며, 비록 자본주의 사회와 체제에 놓여 있지만 마을 사람들이 서로를 위해, 마을 공동체를 위해, 더불어 설립하고 경영하는 지속 가능한 사업 단위체
○ 현재 마을기업은 행정자치부가 2015년에 마을기업 320개를 지정, 전국적으로 총 1,400여개 이를 것으로 예상함
구분
’11년
’12년
’13년
’14년(11월기준)
계
550
787
1,119
1,297(누계)
2. 성공을 위한 과제
○ 협동조합
1) 중소기업의 네트워크 구축
동일 산업 내 전문화된 작은 규모의 기업들이 특정한 지리 공간상의 지구에 모여 네트워크 구축, ex)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네트워크를 통한 기업 활동을 고취시키는 지역사회 분위기 조성
물류비용 및 거래비용 감소 효과, 전문 분야의 노동력 공유 필요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교육, 사업 서비스 분야의 지원기관 필요
2) 중간지원조직
체계적인 정보 공유 및 컨설팅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네트워크 접속점 역할
3) 지역공동체와 공공부문의 결합
협동조합뿐만 아니라 지역의 다양한 조직들과 연합
초기에는 협동조합이 중요한 역할하지만 지역의 공동체가 발전하면 다양한 비영리 기구 및 사회적 경제 조직이 생겨남
전략 수립에 지역주민들의 참여
○ 사회적기업
1) 사회적기업 요건 완화
2) 기관조직 인증에서 사업 인증으로 전환
3) 사업지원의 방식과 규모 다양화
4) 중간지원조직 육성
5) 발전기금 조성과 운영
○ 마을기업
1) 개념과 의미 명확히 하기
중앙부처 및 자치단체별로 다양한 명칭으로 추진되고 있는 유사 관련사업의 협의조정 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
2) 통합적 추진체계 구축 필요
비효율초래, 중복지원 및 사각지대 문제 발생
자원 낭비와 비효율의 원인
3) 지속성 확보를 위한 비즈니스모델 구축
4) 마을지역만들기 사업과의 유기적인 연계 필요
5) 지역단위 통합자원체계의 구축 필요
6) 중간지원조직 육성
7) 공익성과 수익성에 대한 균형감각을 갖춘 지역리더 육성
8) 기업과의 연대, 네트워크 구축
9) 사화적 경제, 공동체 가치를 중시하는 문화적 환경 조성
3. 순환형지역발전에서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 오늘날 점점 붕괴되어 가는 공동체의 재통합, 분열된 지역 사회의 재결속은 시대적 과제임
○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보장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생업의 터전으로서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은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그리고 공정한 대안이 될 수 있음
○ 이러한 공동체 사업들을 진행할 때는 지역에 살고 있는 지역민들이 주체가 되어 함께 참여하는 것이 필요함
특히 농촌의 경우, 농업과 농촌을 잘 아는 원주민들이 주체가 되고 도시에서 귀농한 귀농인들은 각 분야의 전문 인력으로써 자신들의 경험, 지식, 정보, 기술 들을 결합하고 연대하여 접근하는 이 필요함
○ 순환형지역발전에서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에서 결국 중요한 것은 주민, 사람이며 그들의 주체적인 참여가 지속성을 갖게 하고 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는 키라고 할 수 있음
*참고문헌
유정규, 『농어촌형 사회적기업』, 광주대학교출판부, 2012.
정태인, 이수연, 『정태인의 협동의 경제학』, 레디앙, 2013.
정기석, 『마을을 멱여살리는 마을기업』, 이매진, 2011.
*참고사이트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http://www.socialenterprise.or.kr)
협동조합(http://www.coop.go.kr)
- 정기석 :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경제 단위체로서 기업을 뜻하지 않으며, 비록 자본주의 사회와 체제에 놓여 있지만 마을 사람들이 서로를 위해, 마을 공동체를 위해, 더불어 설립하고 경영하는 지속 가능한 사업 단위체
○ 현재 마을기업은 행정자치부가 2015년에 마을기업 320개를 지정, 전국적으로 총 1,400여개 이를 것으로 예상함
구분
’11년
’12년
’13년
’14년(11월기준)
계
550
787
1,119
1,297(누계)
2. 성공을 위한 과제
○ 협동조합
1) 중소기업의 네트워크 구축
동일 산업 내 전문화된 작은 규모의 기업들이 특정한 지리 공간상의 지구에 모여 네트워크 구축, ex)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네트워크를 통한 기업 활동을 고취시키는 지역사회 분위기 조성
물류비용 및 거래비용 감소 효과, 전문 분야의 노동력 공유 필요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교육, 사업 서비스 분야의 지원기관 필요
2) 중간지원조직
체계적인 정보 공유 및 컨설팅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네트워크 접속점 역할
3) 지역공동체와 공공부문의 결합
협동조합뿐만 아니라 지역의 다양한 조직들과 연합
초기에는 협동조합이 중요한 역할하지만 지역의 공동체가 발전하면 다양한 비영리 기구 및 사회적 경제 조직이 생겨남
전략 수립에 지역주민들의 참여
○ 사회적기업
1) 사회적기업 요건 완화
2) 기관조직 인증에서 사업 인증으로 전환
3) 사업지원의 방식과 규모 다양화
4) 중간지원조직 육성
5) 발전기금 조성과 운영
○ 마을기업
1) 개념과 의미 명확히 하기
중앙부처 및 자치단체별로 다양한 명칭으로 추진되고 있는 유사 관련사업의 협의조정 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
2) 통합적 추진체계 구축 필요
비효율초래, 중복지원 및 사각지대 문제 발생
자원 낭비와 비효율의 원인
3) 지속성 확보를 위한 비즈니스모델 구축
4) 마을지역만들기 사업과의 유기적인 연계 필요
5) 지역단위 통합자원체계의 구축 필요
6) 중간지원조직 육성
7) 공익성과 수익성에 대한 균형감각을 갖춘 지역리더 육성
8) 기업과의 연대, 네트워크 구축
9) 사화적 경제, 공동체 가치를 중시하는 문화적 환경 조성
3. 순환형지역발전에서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 오늘날 점점 붕괴되어 가는 공동체의 재통합, 분열된 지역 사회의 재결속은 시대적 과제임
○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보장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생업의 터전으로서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은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그리고 공정한 대안이 될 수 있음
○ 이러한 공동체 사업들을 진행할 때는 지역에 살고 있는 지역민들이 주체가 되어 함께 참여하는 것이 필요함
특히 농촌의 경우, 농업과 농촌을 잘 아는 원주민들이 주체가 되고 도시에서 귀농한 귀농인들은 각 분야의 전문 인력으로써 자신들의 경험, 지식, 정보, 기술 들을 결합하고 연대하여 접근하는 이 필요함
○ 순환형지역발전에서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에서 결국 중요한 것은 주민, 사람이며 그들의 주체적인 참여가 지속성을 갖게 하고 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는 키라고 할 수 있음
*참고문헌
유정규, 『농어촌형 사회적기업』, 광주대학교출판부, 2012.
정태인, 이수연, 『정태인의 협동의 경제학』, 레디앙, 2013.
정기석, 『마을을 멱여살리는 마을기업』, 이매진, 2011.
*참고사이트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http://www.socialenterprise.or.kr)
협동조합(http://www.coop.go.kr)
추천자료
[졸업논문]지방분권화에 따른 효과적인 중소기업 지원 정책방안
이주노동자의 이해
[사회적기업]따뜻한 자본주의 사회적기업의 모든 것 - 사회적 기업의 정의 및 등장 배경, 운...
사회적 기업 (Social Enterprise)의 현황 및 발전방안
[새마을금고] 새마을금고의 지역사회개발 참여의 필요성과 참여사업 및 발전방안
사회과학 - 사회적 기업의 현황과 전망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社會的企業)의 이해와 세계각국의 사회적기업 성공사례.pptx
[열린사회와21세기 공통] ① 지속가능한 발전과 거버넌스, 마을 만들기(또는 마을 공동체)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