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도덕단계
2. 타율적 도덕단계
3. 자율적 도덕단계
4. 타율적 단계에서 자율적 단계로의 이행
5. 피아제 이론에 대한 평가
* 참고문헌
2. 타율적 도덕단계
3. 자율적 도덕단계
4. 타율적 단계에서 자율적 단계로의 이행
5. 피아제 이론에 대한 평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행위자의 의도를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어린 아동이나 나이든 아동이나 다른 사람의 행위를 평가할 때 의도와 결과를 둘 다 고려하지만 어린 아동들은 나이든 아동들보다 의도보다는 결과에 더 비중을 둔다.
어린 아동들은 모든 규칙을 존중할까? Piaget에 따르면 어린 아동들은 규칙을 권위적인 인물에 의해서 만들어진 신성하고 의무적인 명령으로 이해하고 의문시되거나 변경될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Turiel(1983)은 아동들이 실제로 부딪히게 되는 규칙은 두 종류가 있다고 보았다. 하나는 도덕적 규범으로 개인의 권리와 특권에 초점을 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사회규칙적인 규범으로 특정 사회구성원들의 합의에 의해서 결정된 것들이다. 도덕적 규범은 때리고 훔치고 거짓말하고 또는 다른 사람의 권리를 위반하는 것을 막기 위한 규칙이다.
반면 사회규칙적 규범은 사회적인 예의범절 같은 것으로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간식을 먹을 수 없다든지, 질문할 때 손을 든다든지와 같이 사회생활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는 학교생활규칙은 물론 게 임 규칙도 포함된다. 아동들은 이 두 가지 종류의 규칙을 같은 것으로 보지 않고 다르게 다룬다.
Smetana(1985)는 2세 반-3세 된 유아들도 때리는 것, 훔치는 것, 나누어 갖는 것을 거부하는 것과 같은 도덕적 위반이, 수업시간에 간식을 먹거나 윗 어른에게 존대어를 쓰지 않는 것과 같은 사회규칙위반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간주하며, 벌을 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위반해도 좋을지를 물었을 때 도덕적 위반은 항상 나쁘고 사회적 위반을 위반하는 것은 괜찮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Piaget가 제시했던 연령보다 훨씬 이론 2세 반-5세의 유아들도 도덕규칙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어린 아동들은 모든 규칙을 존중할까? Piaget에 따르면 어린 아동들은 규칙을 권위적인 인물에 의해서 만들어진 신성하고 의무적인 명령으로 이해하고 의문시되거나 변경될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Turiel(1983)은 아동들이 실제로 부딪히게 되는 규칙은 두 종류가 있다고 보았다. 하나는 도덕적 규범으로 개인의 권리와 특권에 초점을 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사회규칙적인 규범으로 특정 사회구성원들의 합의에 의해서 결정된 것들이다. 도덕적 규범은 때리고 훔치고 거짓말하고 또는 다른 사람의 권리를 위반하는 것을 막기 위한 규칙이다.
반면 사회규칙적 규범은 사회적인 예의범절 같은 것으로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간식을 먹을 수 없다든지, 질문할 때 손을 든다든지와 같이 사회생활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는 학교생활규칙은 물론 게 임 규칙도 포함된다. 아동들은 이 두 가지 종류의 규칙을 같은 것으로 보지 않고 다르게 다룬다.
Smetana(1985)는 2세 반-3세 된 유아들도 때리는 것, 훔치는 것, 나누어 갖는 것을 거부하는 것과 같은 도덕적 위반이, 수업시간에 간식을 먹거나 윗 어른에게 존대어를 쓰지 않는 것과 같은 사회규칙위반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간주하며, 벌을 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위반해도 좋을지를 물었을 때 도덕적 위반은 항상 나쁘고 사회적 위반을 위반하는 것은 괜찮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Piaget가 제시했던 연령보다 훨씬 이론 2세 반-5세의 유아들도 도덕규칙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피아제][인지발달이론][도덕성발달이론]피아제(Piaget) 인지발달이론과 도덕성발달이론(피아...
도덕성발달에 관한 이론과 유치원과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도덕성발달 지도원리
발달이론과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이론 [피아제와 콜버그 발달이론]
[교육심리학]도덕성 및 성역할 발달에 관한 고찰
[인간행동과사회환경]인지발달이론과 도덕성발달이론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콜버그의 도...
피아제(Piaget)의 도덕성발달이론,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설, 피아제이론과 콜...
[아동의 도덕성발달] 도덕성 발달이론의 피아제이론과 콜버그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및 도덕성 발달이론(인지발달단계, 도덕성 발달단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