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행동주의 이론
2.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적용
3.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잘못된 적용
2.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적용
3.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잘못된 적용
본문내용
정신 증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단계적 탈감법을 통해 돕고 있다. 단계적 탈감법이란 우선 불안을 억제하여 편안하게 한 뒤 불안정도가 높은 것으로부터 낮은 것으로 사태를 정리한 불안계층표를 작성하여 그 순서에 따라 불안정도가 낮은 것부터 높은 순서로 불안을 느끼지 않게 훈련을 하는 것이다. 셋째, 사회적 기술 습득에 대한 적용으로는 자기 주장 훈련 방법이 있고 물질 남용이나 알코올 중독 치료를 위해 혐오적 치료방법이 사용된다. 그 밖에 비만과 흡연문제 해결을 위해 혐오적 통제를 사용하고 그밖에도 성적공격성, 폭력 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행동기법 등이 있다.
3.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잘못된 적용
첫째, 행동주의 이론은 실천적인 면에 있어서 여러 사람에게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오고 있으나 문화적·사회적·경제적 차이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인간행동의 원인을 환경에 두고 있지만 보상 구조 밖의 환경적인 요소들은 강조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행동수정을 위해서 처벌이나 부적 강화 기법을 활용하는 것은 사회 복지사에게 있어 윤리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을 나타낸다. 특히 기계적으로 사용하는 행동적 접근은 내담자의 내면성을 무시하거나 소홀히 취급할 수 있다. 사회복지 측면에서는 이러한 이론의 목적이 인간의 건강과 안녕을 기해야 하는데 혐오적인 통제나 내담자를 조정하는 것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고 내담자의 변화를 촉진함에 있어서 대인관계 과정의 역할을 무시할 수도 있다.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최옥채 외3명, 양서원, 2003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한국복지정책연구소 편, 고헌 출판사, 2003
3.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잘못된 적용
첫째, 행동주의 이론은 실천적인 면에 있어서 여러 사람에게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오고 있으나 문화적·사회적·경제적 차이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인간행동의 원인을 환경에 두고 있지만 보상 구조 밖의 환경적인 요소들은 강조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행동수정을 위해서 처벌이나 부적 강화 기법을 활용하는 것은 사회 복지사에게 있어 윤리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을 나타낸다. 특히 기계적으로 사용하는 행동적 접근은 내담자의 내면성을 무시하거나 소홀히 취급할 수 있다. 사회복지 측면에서는 이러한 이론의 목적이 인간의 건강과 안녕을 기해야 하는데 혐오적인 통제나 내담자를 조정하는 것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고 내담자의 변화를 촉진함에 있어서 대인관계 과정의 역할을 무시할 수도 있다.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최옥채 외3명, 양서원, 2003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한국복지정책연구소 편, 고헌 출판사, 2003
추천자료
인간행동에 관한 주요 이론 중 하나의 이론을 선택하여, 그 특징을 서술하고 사회복지현장에...
인간행동에 관한 주요 이론 중 하나의 이론을 선택하여 그 특징을 서술하고 사회복지현장에서...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갈등상황을 설정하고, 공부한 ...
인간행동과사회환경)인간행동에 관한 주요 이론 중 하나의 이론을 선택하여, 그 특징을 서술...
개인을 통한 사회복지실천과 집단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본인의 ...
인간행동에 관한 주요 이론 중 하나의 이론을 선택하여 그 특징을 서술하고 사회복지현장에서...
인간행동에 대한 주요이론 중 선택하고 사회복지현장에서 적용 잘못된 적용사례에 대해 서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