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Carpal tunnel syndrome (수근관증후군)
1. 문헌고찰
1.정의
수근관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은 상지에서 가장 흔한 압박 신경병증이며 수근관 이 어떠한 원인으로 좁아지면서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정중신경이 관련되어 있는 엄지, 검지, 중지와 약지의 요측 부분의 감각저하나 소실이 나타나며 이어서 신경미비를 초래하는 지연성 정중신경 마비(tardy median nerve palsy)이다.
① 정중신경의 위치 및 작용
-위치: 정중신경은 수지굴곡근건과 함께 수근관(횡수근인대
-transverse ligament-와 수근골-carpal bone 에 의해 형성되는 관)을 통과한다. 이 때 정중신경은 굴곡근건의 건초와 횡수근인대 사이에 놓이게 된다.
-작용: 엄지, 검지, 중지와 약지의 요골측 절반의 감각을지 배하며 무지구근(thenar muscles)의 운동을 지배하여 무지의 내전에 따른 무지 대립운동(opposition)을 가능케 함.
2.원인
해부학적인 원인으로 손목터널의 크기가 감소하거나 손목터널의 구조물의 부피가 증가해서 생길 수 있는 경우와 생리적인 원인으로 신경병증, 염증, 몸의 체액균형의 변화에 의해 발생할수 있다.
① 팔목 부위의 염증, 부종등으로 인한 압박 요인
-건초막의 염증
-전박의 골절
-손목이 삐거나 탈골
②수근관증후군이 생길수 있는 위험성이 증가되는 경우
-강력히 팔목을 구부리는 운동이 필요한 작업(공장노동자, 운전기사, 목수)
-손을 빠른 속도로 반복 사용하는 사람(컴퓨터사용, 피아노나 바이올린 연주자등)
-당뇨,갑상선기능저하증,결핵,통풍, 레이노병, 류마티스관절염, 말단비대증
-폐경
-임신이나 경구 피임제에 의한 부종
-비타민 B6결핍증
-비만과 흡연
3.병태생리
수지굴곡근건들은 수근관을 통과할 때 모두 건초(tenosynovium)로 둘러 쌓여져 있는데 이 건초들은 손으로 물건을 쥘 때처럼 손가락의 굴곡운동 시 각 굴곡근건들이 수근관내에서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건에 자극이나 염증이 있으면 건초에 부종과 비후가 발생하게 되고 건초가 비후되면 수근관은 뼈와 인대로 이루어진 비신축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증가된 압력은 수근관 내에서 가장 부드러운 조직인 정중신경을 압박하게 된다.
4. 임상증상
정중신경이 어떤 원인이든 수근관 내에서 압박되면 신경속(nerve bundle) 내의 모세혈관의 순환장애가 발생하고 부종과 압박의 악순환이 형성되어 정중신경 영역의 저린 통증과 감각 이상 및 지각저하를 초래하고 진행되면 무지구근의 위축과 근력저하에 따른 무지대립운동의 장애를 초래한다.
-정중신경이 영향받는 부위에 시큰거리는 통증과 마비, 손저림 등의 증상
-체온계를 털 듯이 손을 흔들어 댐
-눈높이에서 손등을 서로 대고 손목을 90도로 꺽은 자세에서 1분간 그 자세를 유지할 때 통증이 유발 됨(팔렌 테스트)
-증상은 손목을 쓸 때도 나타나지만 잠자리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기도 함
-손끝의 감각 둔화로 찻잔이나 수저를 자주 놓치는 경우가 생김
-심할 경우 엄지손가락 뿌리부위의 근육 위축이 와서 운동의 제한을 초래하기도 함
-아침에 손이 굳거나 경련
-엄지 손가락이 약해지고 주먹 쥐기가 힘듬
-번들거리거나 건조한 피부
-팔, 어깨 때로는 목까지 통증이 있음
-근력약화, 반사장애
-오래되면 무감각, 무지구 근육의 위축
5. 진단 검사
전형적인 증상 외에 정중신경 지배영역을 핀으로 찔렀을 때의 통각감소와 Tinel\'s sign과 Phalen\'s test등으로 쉽게 할 수 있으며 손바닥부위에서 정중신경 지각신경의 전도속도의 저하를 측정(nerve conduction velocity, NCV)할 수 있으면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진다.
① Phalen\'s test와 역팔렌검사 : 팔목을 구부린 상태로 있거나 양손의 등을 맞대고 팔목을 최대로 구부린 후 1-2분간 계속 있을때(phalen검사)와 양손바닥을 맞대고 팔목을 최대로 구부려서 1-2분간 있을때(역팔렌검사) 60초 내에 정중신경이 분포하는 부위에 저린감이나 통증이 나타나면 수근관증후군을 의심한다.
② Tinet test: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해서 타진기로 손목을 손바닥쪽을 위로해서 정중신경쪽을 타진한다.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모든 손가락이 저리거나 방산통이 있으면 CTS를 의심
③ 엄지의 외전, 굴곡 등 운동기능 검사
④ 정중신경압박: 팔목의 정중신경을 엄지손가락으로
1. 문헌고찰
1.정의
수근관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은 상지에서 가장 흔한 압박 신경병증이며 수근관 이 어떠한 원인으로 좁아지면서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정중신경이 관련되어 있는 엄지, 검지, 중지와 약지의 요측 부분의 감각저하나 소실이 나타나며 이어서 신경미비를 초래하는 지연성 정중신경 마비(tardy median nerve palsy)이다.
① 정중신경의 위치 및 작용
-위치: 정중신경은 수지굴곡근건과 함께 수근관(횡수근인대
-transverse ligament-와 수근골-carpal bone 에 의해 형성되는 관)을 통과한다. 이 때 정중신경은 굴곡근건의 건초와 횡수근인대 사이에 놓이게 된다.
-작용: 엄지, 검지, 중지와 약지의 요골측 절반의 감각을지 배하며 무지구근(thenar muscles)의 운동을 지배하여 무지의 내전에 따른 무지 대립운동(opposition)을 가능케 함.
2.원인
해부학적인 원인으로 손목터널의 크기가 감소하거나 손목터널의 구조물의 부피가 증가해서 생길 수 있는 경우와 생리적인 원인으로 신경병증, 염증, 몸의 체액균형의 변화에 의해 발생할수 있다.
① 팔목 부위의 염증, 부종등으로 인한 압박 요인
-건초막의 염증
-전박의 골절
-손목이 삐거나 탈골
②수근관증후군이 생길수 있는 위험성이 증가되는 경우
-강력히 팔목을 구부리는 운동이 필요한 작업(공장노동자, 운전기사, 목수)
-손을 빠른 속도로 반복 사용하는 사람(컴퓨터사용, 피아노나 바이올린 연주자등)
-당뇨,갑상선기능저하증,결핵,통풍, 레이노병, 류마티스관절염, 말단비대증
-폐경
-임신이나 경구 피임제에 의한 부종
-비타민 B6결핍증
-비만과 흡연
3.병태생리
수지굴곡근건들은 수근관을 통과할 때 모두 건초(tenosynovium)로 둘러 쌓여져 있는데 이 건초들은 손으로 물건을 쥘 때처럼 손가락의 굴곡운동 시 각 굴곡근건들이 수근관내에서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건에 자극이나 염증이 있으면 건초에 부종과 비후가 발생하게 되고 건초가 비후되면 수근관은 뼈와 인대로 이루어진 비신축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증가된 압력은 수근관 내에서 가장 부드러운 조직인 정중신경을 압박하게 된다.
4. 임상증상
정중신경이 어떤 원인이든 수근관 내에서 압박되면 신경속(nerve bundle) 내의 모세혈관의 순환장애가 발생하고 부종과 압박의 악순환이 형성되어 정중신경 영역의 저린 통증과 감각 이상 및 지각저하를 초래하고 진행되면 무지구근의 위축과 근력저하에 따른 무지대립운동의 장애를 초래한다.
-정중신경이 영향받는 부위에 시큰거리는 통증과 마비, 손저림 등의 증상
-체온계를 털 듯이 손을 흔들어 댐
-눈높이에서 손등을 서로 대고 손목을 90도로 꺽은 자세에서 1분간 그 자세를 유지할 때 통증이 유발 됨(팔렌 테스트)
-증상은 손목을 쓸 때도 나타나지만 잠자리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기도 함
-손끝의 감각 둔화로 찻잔이나 수저를 자주 놓치는 경우가 생김
-심할 경우 엄지손가락 뿌리부위의 근육 위축이 와서 운동의 제한을 초래하기도 함
-아침에 손이 굳거나 경련
-엄지 손가락이 약해지고 주먹 쥐기가 힘듬
-번들거리거나 건조한 피부
-팔, 어깨 때로는 목까지 통증이 있음
-근력약화, 반사장애
-오래되면 무감각, 무지구 근육의 위축
5. 진단 검사
전형적인 증상 외에 정중신경 지배영역을 핀으로 찔렀을 때의 통각감소와 Tinel\'s sign과 Phalen\'s test등으로 쉽게 할 수 있으며 손바닥부위에서 정중신경 지각신경의 전도속도의 저하를 측정(nerve conduction velocity, NCV)할 수 있으면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진다.
① Phalen\'s test와 역팔렌검사 : 팔목을 구부린 상태로 있거나 양손의 등을 맞대고 팔목을 최대로 구부린 후 1-2분간 계속 있을때(phalen검사)와 양손바닥을 맞대고 팔목을 최대로 구부려서 1-2분간 있을때(역팔렌검사) 60초 내에 정중신경이 분포하는 부위에 저린감이나 통증이 나타나면 수근관증후군을 의심한다.
② Tinet test: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해서 타진기로 손목을 손바닥쪽을 위로해서 정중신경쪽을 타진한다.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모든 손가락이 저리거나 방산통이 있으면 CTS를 의심
③ 엄지의 외전, 굴곡 등 운동기능 검사
④ 정중신경압박: 팔목의 정중신경을 엄지손가락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