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술교육과 미술치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자세히 기록하시오(10점)
2. 미술교육-미술치료에 영향을 준 다음의 사람들 중 A, B 각각 한명을 선정하여 자세히 기록하시오(20점)
3. 상징의 의미에 대해 필력하시오(20점)
4. 공간의 의미 차이를 설명하시오(20점)
5. 자신이 좋아하는 색, 하나를 선택하고 다음을 필력하시오(10점)
6. 진단도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필력하시오(20점)
2. 미술교육-미술치료에 영향을 준 다음의 사람들 중 A, B 각각 한명을 선정하여 자세히 기록하시오(20점)
3. 상징의 의미에 대해 필력하시오(20점)
4. 공간의 의미 차이를 설명하시오(20점)
5. 자신이 좋아하는 색, 하나를 선택하고 다음을 필력하시오(10점)
6. 진단도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필력하시오(20점)
본문내용
극적, 정력적, 충동적인데 그렇게 되고 싶어 하는 사람도 빨간색을 좋아한다. 게다가 야심적인 성격도 있어서 가끔 앞뒤를 안 가리고 행동을 하는 일도 있다. 불행한 일은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리고 싶어 한다. 이러한 사람들은 과거에 어느 정도 좌절했던 경험이 있고 항상 모든 일이 자기 뜻대로 되지 않아 그 한이 쌓여 곧잘 성을 내곤 한다. 다른 사람이 행복해 보이고 그 때문에 성공한 생활을 하는 것과는 왠지 \'관계가 없다.\'고 한다. 이러한 종류의 사람들은 기분이 좀 변덕스러워서 필시 몸은 어떨지 모르지만 마음이 병들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국은 생명력을 상징하는 빨간색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심신이 모두 피로에 지쳤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6. 진단도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필력하시오(20점)
1) 그림진단의 장점과 문제점
장점 - 현실적인 면에서 다른 검사도구보다 간편하고 경비가 적어 인기가 있기도 하나, 검사대상자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직접성을 지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언어적 진술보다 편안하게 다가 갈 수 있는 매체이기 때문에 검사 대상자는 이완적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금기적 주제, 정신적 외상의 주제들이 다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의식적, 무의식적 내용을 지니고 있어 검사자와 접촉할 가능성을 확장 시켜준다. 그림은 미술치료뿐 아니라 심리치료나 상담에서도 진단과 차후의 치료계획을 위한 보조도구가 될 수 있다.
문제점 - 단순한 측정도구만 이용한 평가이므로, 임상가들의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림에 대한 관심에 더불어 종류도 많지만, 검사가 양적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과 검사의 타당성이 문제가 된다. 검사대상자가 지속적으로 그림을 연습함으로써 타당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시대와 문화와 교육의 차이에 따라 타당성이 달라질 수 있다.
2) 진단도구 중 자신이 해보고 싶은 도구를 선택하고 그 진단도구를 설명하시오
최은영·공마리아(2010). 미술심리치료. ㈜학지사. pp.64-65
꼴라쥬 기법 -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미술치료 기법이다. 직감이나 감각 등의 비합리적 기능을 이용한 현대적 치료 기법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흥미나 관심을 보다 명확히 지각하도록 해 주며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콜라주는 내담자에게 그림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덜어주는 동시에 다양한 재료와 재질에 따른 표현 방법으로 내담자 자신의 흥미와 자신감을 자연스럽게 유발시켜 주므로, 내담자는 콜라주를통해 자신의 내면세계를 자연스럽게 나타낼 수 있다.
3) 이 도구를 선택한 이유(자신의 주장 포함)를 기록하시오
잡지 속에서 자신의 삶과 관련이 되는 영상을 찾아 가위로 오리거나 손으로 찢어서 표현하는 것이 완성 된 후에 사진을 선택하여 자신의 현재, 과거, 미래를 표현한 의미를 설명하게 된다는 게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영화와 같은 느낌을 주며 자신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즉, 자아의식이 증진이 되는 미술 치료 방법인 거 같다.
6. 진단도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필력하시오(20점)
1) 그림진단의 장점과 문제점
장점 - 현실적인 면에서 다른 검사도구보다 간편하고 경비가 적어 인기가 있기도 하나, 검사대상자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직접성을 지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언어적 진술보다 편안하게 다가 갈 수 있는 매체이기 때문에 검사 대상자는 이완적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금기적 주제, 정신적 외상의 주제들이 다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의식적, 무의식적 내용을 지니고 있어 검사자와 접촉할 가능성을 확장 시켜준다. 그림은 미술치료뿐 아니라 심리치료나 상담에서도 진단과 차후의 치료계획을 위한 보조도구가 될 수 있다.
문제점 - 단순한 측정도구만 이용한 평가이므로, 임상가들의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림에 대한 관심에 더불어 종류도 많지만, 검사가 양적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과 검사의 타당성이 문제가 된다. 검사대상자가 지속적으로 그림을 연습함으로써 타당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시대와 문화와 교육의 차이에 따라 타당성이 달라질 수 있다.
2) 진단도구 중 자신이 해보고 싶은 도구를 선택하고 그 진단도구를 설명하시오
최은영·공마리아(2010). 미술심리치료. ㈜학지사. pp.64-65
꼴라쥬 기법 -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미술치료 기법이다. 직감이나 감각 등의 비합리적 기능을 이용한 현대적 치료 기법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흥미나 관심을 보다 명확히 지각하도록 해 주며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콜라주는 내담자에게 그림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덜어주는 동시에 다양한 재료와 재질에 따른 표현 방법으로 내담자 자신의 흥미와 자신감을 자연스럽게 유발시켜 주므로, 내담자는 콜라주를통해 자신의 내면세계를 자연스럽게 나타낼 수 있다.
3) 이 도구를 선택한 이유(자신의 주장 포함)를 기록하시오
잡지 속에서 자신의 삶과 관련이 되는 영상을 찾아 가위로 오리거나 손으로 찢어서 표현하는 것이 완성 된 후에 사진을 선택하여 자신의 현재, 과거, 미래를 표현한 의미를 설명하게 된다는 게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영화와 같은 느낌을 주며 자신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즉, 자아의식이 증진이 되는 미술 치료 방법인 거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