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는 글
Ⅱ.사천지역(사천지역)의 특성(특성)
Ⅲ.사천차 전매(전매)가 생기게된 배경(배경)
Ⅳ.차 전매(전매)가 시행되기 전의 사천차의 동향(동향)
Ⅴ.사천차의 전매시행, 생산 ,판매상황
Ⅵ.사천차와 차마무역(차마무역)
Ⅶ.차마무역(차마무역)의 운영(운영)과 파탄(파탄)
Ⅷ.나가는 글
Ⅸ.리포트를 마치며
Ⅹ.참고논문,문헌
Ⅱ.사천지역(사천지역)의 특성(특성)
Ⅲ.사천차 전매(전매)가 생기게된 배경(배경)
Ⅳ.차 전매(전매)가 시행되기 전의 사천차의 동향(동향)
Ⅴ.사천차의 전매시행, 생산 ,판매상황
Ⅵ.사천차와 차마무역(차마무역)
Ⅶ.차마무역(차마무역)의 운영(운영)과 파탄(파탄)
Ⅷ.나가는 글
Ⅸ.리포트를 마치며
Ⅹ.참고논문,문헌
본문내용
즉 해염교인이 섬서에서 번상으로, 다시 사천상인에게로 돌아 섬서로 돌아오는 것이라고 설명할수 있겠으며 이러한 기존의 거래를 기반으로 조정이 차마무역을 공식화하면서 관이 직접 차와 말을 거래한 것이 송조의 차마무역(茶馬貿易)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차마무역의 운영과 파탄
매차장(賣茶場)에서 사천차로 즉시 말이 구입되는 것이 아니고 매마사(買馬司)의 매매 자금을 필요한 만큼의 차와 바꾸어서 이 차로 번인(蕃人)들이 가져오는 말 1필(匹)과 차 1태()의 형식으로 바꾸는 형태로 정착하였는데 얼마간의 시간이 소요되었는데 이것은 사천차의 판매에 대한 관할권(管轄權)이 매마사(買馬司)에 있는 것이 아니라 차장사(茶場司)에 있을 있었기 때문인데 이 과정에서 買馬司와 茶場司가 적용했던 물품의 환산기준이 각기 달라서 손실은 번인(蕃人)들에게 돌아갔습니다. 결국 매마사(買馬司)에서 차와 말을 직접 거래할 것을 요구하게 되었고 필요한 양의 차를 구입, 직접 말과 차를 교환하는 방식을 택하게 됩니다. 말 1匹을 차 1데 사천자의 전매가 시행된 이후 섬서에서는 차가격이 계속적으로 오르고 이와 교환하는 방식은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였으므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는에 비해 말의 가격은 이전보다 하락하기도 하고 또한 그 반대가 되기도 하였기 때문에 그 지급방식에 있어 분쟁이 계속 빈번히 발생하였습니다.
그런데 사천차 판매의 경우 판매가격은 섬서로의 운반비와 판매이익이 첨가되어 꽤 높은 가격이 형성되어 있고 결국 買馬司와 茶場司는 이익이 일치되지도 않았습니다. 그 후 송조는 이 두 곳의 중요성을 재차 깨닫고 운영에 있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차장사와 매마사를 겸직도 시켰지만 그만큼의 여러 갈등이 또 생기게 되었는데 즉 차마사는 차 가격의 상승으로 이익이 보장되었으나 매마사는 상대적으로 큰 어려움에 처하게 되는 등 그만큼의 갈등이 생기게 되자 결국 통합시키게 됩니다. 그리고 각 매차장에서 市馬를 담당하는 관리는 자신의 관직고과에 급급하여 마필수를 채우기 위해 매입된 마필수를 달성하기 위해 말을 구입하고자 하는 등급과는 다른 말을 구해서 채워놓기까지 하였습니다.
이렇게 되자 매마기간을 정해 (8월~이듬해 4월)서 까지 제한을 하면서 良馬를 얻으려고 하였으며 이 것 외에도 수송문제 있어서도 말의 취급에 익숙하지 못했던 중국인들에게는 큰 애로사항을 가져왔습니다. 후기로 갈수록 매마규모는 축소되며 특히 이렇게 줄어드는 결정적인 이유는 매마사의 이익주의 정책과 부패 즉 차의 밀매, 사치품의 수입증가 등으로 정상적인 가격대가 무너지는 현상이 차마무역 붕괴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나가는 글
지금까지 북송대 사천지역의 특성에서부터 전매가 생기게된 배경(背景),전매제가 시행되기 전의 사천차의 동향(動向),사천차의 專賣施行, 生産 ,販賣狀況,차마무역(茶馬貿易), 그리고 차마무역의 운영(運營)과 파탄(破綻)에 이르기 까지 북송후기를 중심으로 한 차 전매와 그리고 이에따른 사천지역의 차마무역에 관해서 전반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요컨대 서북변에서의 말 구입 문제와 섬서지역의 유지 경비의 조달 등의 필요성에 따라 사천차가 전매되고 차마무역의 성립으로 이어졌습니다. 동남차의 통상법 시행 이후 사천과 섬서 간의 교역은 더욱 활기를 띄었고 특히 동남차의 통상법 시행이 사천차의 판로제한의 해제를 의미하였으로서 사천과 섬서간의 무역은 더욱 활발해 졌습니다.
특히 熙河路의 경영 등 경비의 조달이 필요해진 송조는 사천차의 전매를 통한 경비조달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상호 경제관계가 밀접한 사천을 활용한 경비조달을 상정한 것입니다. 더구나 蕃部에서 선호하는 명산차(名山茶)를 우선적으로 박마(博馬)에 적용하려고 하였으며 또한 관의 통제로 인해 말 구입을 최대한으로 원활하게 하려고 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원활한 말 구입과 송조의 재원 확보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이였습니다.
그러나 관리의 부패(腐敗)와 통제의 이완등으로 사천차가 사향,주옥 등 사치품의 구입을 통해 무분별하게 번부(蕃部)로 유입되었고 이로써 말 구입에 어려움이 초래하는 등 파행적인 운영행태가 나타가 결국 차마무역은 파탄으로 치닫게 되는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리포트를 마치며
중국 왕조 가운데 가장 축소된 영역을 보유했던 宋朝는 건국이래 차를 군비조달의 필요성에 의해 또는 국가 재원의 확보를 위해 줄곧 국가의 통제하에 두었던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이것은 차를 통한 부의 창출을 계속적으로 가능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더구나 요,서하 등 거듭되는 이민족과의 대립, 대치로 인한 군사비 증가와 사치풍조, 그리고 강의시간에 강조되었던 용관(冗官)등의 문제로 宋朝의 재정을 유지하는데는 어쩌면 차 專賣는 당연(當然)한 결과였다고 생각하며 당시 중국인들에게 차는 기호품이 아닌 생필품(生必品)에 가까웠고 상품가치 또한 매우 높았습니다.
더구나 강력한 북방이민족들과 대치했던 송나라의 경우 군마의 공급을 전적으로 외부에 의존, 좋은 말을 구입하기 위해서라도 매력적인 교환물품이 필요해야만 했었는데 그것이 바로 그 당시 차였으며 유목민들의 생활 특성상 차는 그들에게 부족한 비타민을 채워줄수 있는 매우 유용한 식품 이였기 때문에 말과의 교역에서 중요한 교환물로 대두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런 차마무역은 군마의 조달이라는 군사적 목적뿐만 아니라 주변 민족에 대한 회유책이라고도 저는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시각에서 보면 군마로 쓸 수 없는 낮은 등급의 말까지도 차를 주고 구입함으로서 주변 민족들과 경제교류를 활발히 하며 그들의 결속을 견제했던 것이라고 생각되며 즉 이렇게 독점 생산했던 차를 통해서 넓게는 군사, 외교, 문화적 역할을 톡톡히 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송대의 차마무역을 통해 장기적이고 제도화되어 명,청조때 까지 계승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참고 논문,문헌☜
☞*釜山史學 第三十六輯 北宋 神宗代 四川茶의 專賣, 서은미,1999年6月☜
☞ *釜山史學 第三十七輯 北宋代 四川茶와 茶馬貿易 ,徐銀美,1999年12月☜
☞(北宋 茶 專賣硏究 ,國學資料院,1999)☜
(해염은 육지염으로 중국의 소금소비의 절대 량을 공급하였음 : 전매품)
차마무역의 운영과 파탄
매차장(賣茶場)에서 사천차로 즉시 말이 구입되는 것이 아니고 매마사(買馬司)의 매매 자금을 필요한 만큼의 차와 바꾸어서 이 차로 번인(蕃人)들이 가져오는 말 1필(匹)과 차 1태()의 형식으로 바꾸는 형태로 정착하였는데 얼마간의 시간이 소요되었는데 이것은 사천차의 판매에 대한 관할권(管轄權)이 매마사(買馬司)에 있는 것이 아니라 차장사(茶場司)에 있을 있었기 때문인데 이 과정에서 買馬司와 茶場司가 적용했던 물품의 환산기준이 각기 달라서 손실은 번인(蕃人)들에게 돌아갔습니다. 결국 매마사(買馬司)에서 차와 말을 직접 거래할 것을 요구하게 되었고 필요한 양의 차를 구입, 직접 말과 차를 교환하는 방식을 택하게 됩니다. 말 1匹을 차 1데 사천자의 전매가 시행된 이후 섬서에서는 차가격이 계속적으로 오르고 이와 교환하는 방식은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였으므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는에 비해 말의 가격은 이전보다 하락하기도 하고 또한 그 반대가 되기도 하였기 때문에 그 지급방식에 있어 분쟁이 계속 빈번히 발생하였습니다.
그런데 사천차 판매의 경우 판매가격은 섬서로의 운반비와 판매이익이 첨가되어 꽤 높은 가격이 형성되어 있고 결국 買馬司와 茶場司는 이익이 일치되지도 않았습니다. 그 후 송조는 이 두 곳의 중요성을 재차 깨닫고 운영에 있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차장사와 매마사를 겸직도 시켰지만 그만큼의 여러 갈등이 또 생기게 되었는데 즉 차마사는 차 가격의 상승으로 이익이 보장되었으나 매마사는 상대적으로 큰 어려움에 처하게 되는 등 그만큼의 갈등이 생기게 되자 결국 통합시키게 됩니다. 그리고 각 매차장에서 市馬를 담당하는 관리는 자신의 관직고과에 급급하여 마필수를 채우기 위해 매입된 마필수를 달성하기 위해 말을 구입하고자 하는 등급과는 다른 말을 구해서 채워놓기까지 하였습니다.
이렇게 되자 매마기간을 정해 (8월~이듬해 4월)서 까지 제한을 하면서 良馬를 얻으려고 하였으며 이 것 외에도 수송문제 있어서도 말의 취급에 익숙하지 못했던 중국인들에게는 큰 애로사항을 가져왔습니다. 후기로 갈수록 매마규모는 축소되며 특히 이렇게 줄어드는 결정적인 이유는 매마사의 이익주의 정책과 부패 즉 차의 밀매, 사치품의 수입증가 등으로 정상적인 가격대가 무너지는 현상이 차마무역 붕괴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나가는 글
지금까지 북송대 사천지역의 특성에서부터 전매가 생기게된 배경(背景),전매제가 시행되기 전의 사천차의 동향(動向),사천차의 專賣施行, 生産 ,販賣狀況,차마무역(茶馬貿易), 그리고 차마무역의 운영(運營)과 파탄(破綻)에 이르기 까지 북송후기를 중심으로 한 차 전매와 그리고 이에따른 사천지역의 차마무역에 관해서 전반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요컨대 서북변에서의 말 구입 문제와 섬서지역의 유지 경비의 조달 등의 필요성에 따라 사천차가 전매되고 차마무역의 성립으로 이어졌습니다. 동남차의 통상법 시행 이후 사천과 섬서 간의 교역은 더욱 활기를 띄었고 특히 동남차의 통상법 시행이 사천차의 판로제한의 해제를 의미하였으로서 사천과 섬서간의 무역은 더욱 활발해 졌습니다.
특히 熙河路의 경영 등 경비의 조달이 필요해진 송조는 사천차의 전매를 통한 경비조달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상호 경제관계가 밀접한 사천을 활용한 경비조달을 상정한 것입니다. 더구나 蕃部에서 선호하는 명산차(名山茶)를 우선적으로 박마(博馬)에 적용하려고 하였으며 또한 관의 통제로 인해 말 구입을 최대한으로 원활하게 하려고 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원활한 말 구입과 송조의 재원 확보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이였습니다.
그러나 관리의 부패(腐敗)와 통제의 이완등으로 사천차가 사향,주옥 등 사치품의 구입을 통해 무분별하게 번부(蕃部)로 유입되었고 이로써 말 구입에 어려움이 초래하는 등 파행적인 운영행태가 나타가 결국 차마무역은 파탄으로 치닫게 되는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리포트를 마치며
중국 왕조 가운데 가장 축소된 영역을 보유했던 宋朝는 건국이래 차를 군비조달의 필요성에 의해 또는 국가 재원의 확보를 위해 줄곧 국가의 통제하에 두었던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이것은 차를 통한 부의 창출을 계속적으로 가능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더구나 요,서하 등 거듭되는 이민족과의 대립, 대치로 인한 군사비 증가와 사치풍조, 그리고 강의시간에 강조되었던 용관(冗官)등의 문제로 宋朝의 재정을 유지하는데는 어쩌면 차 專賣는 당연(當然)한 결과였다고 생각하며 당시 중국인들에게 차는 기호품이 아닌 생필품(生必品)에 가까웠고 상품가치 또한 매우 높았습니다.
더구나 강력한 북방이민족들과 대치했던 송나라의 경우 군마의 공급을 전적으로 외부에 의존, 좋은 말을 구입하기 위해서라도 매력적인 교환물품이 필요해야만 했었는데 그것이 바로 그 당시 차였으며 유목민들의 생활 특성상 차는 그들에게 부족한 비타민을 채워줄수 있는 매우 유용한 식품 이였기 때문에 말과의 교역에서 중요한 교환물로 대두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런 차마무역은 군마의 조달이라는 군사적 목적뿐만 아니라 주변 민족에 대한 회유책이라고도 저는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시각에서 보면 군마로 쓸 수 없는 낮은 등급의 말까지도 차를 주고 구입함으로서 주변 민족들과 경제교류를 활발히 하며 그들의 결속을 견제했던 것이라고 생각되며 즉 이렇게 독점 생산했던 차를 통해서 넓게는 군사, 외교, 문화적 역할을 톡톡히 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송대의 차마무역을 통해 장기적이고 제도화되어 명,청조때 까지 계승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참고 논문,문헌☜
☞*釜山史學 第三十六輯 北宋 神宗代 四川茶의 專賣, 서은미,1999年6月☜
☞ *釜山史學 第三十七輯 北宋代 四川茶와 茶馬貿易 ,徐銀美,1999年12月☜
☞(北宋 茶 專賣硏究 ,國學資料院,1999)☜
(해염은 육지염으로 중국의 소금소비의 절대 량을 공급하였음 : 전매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