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목차
제1장 문학사 시대 구분의 관점
제2장 원시문학
제3장 고대문학
제4장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문학
제5장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시대
제6장 중세 전기문학 제2기-고려 전기
제7장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
제8장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 전기
제9장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 - 제1기 조선후기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 포함) -
제2장 원시문학
제3장 고대문학
제4장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문학
제5장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시대
제6장 중세 전기문학 제2기-고려 전기
제7장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
제8장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 전기
제9장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 - 제1기 조선후기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 포함) -
본문내용
제5장 중세전기문학 제1기 - 삼국
1. 삼국시대의 문학
(1) 한문학의 등장과 성장
① 한문학의 등장과 역할
㉠ 중국『양서』「신라전」(6세기): 글자는 업고 나무를 깎아서 신표로 삼음(그릇된 진술) → 6세기에 삼국에서 이미 국사가 편찬
㉡ 삼국시대의 한문학 특징: 한문학은 상층의 공식적인 학문으로 성장, 한문을 이용해 삼국은 국사를 편찬, 한자의 수용 연대는 한사군 설치 이전으로 올라감, 서기체 ·향찰 · 구결은 한문과 관련
㉢ 삼국의 비문
- 신라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비], [북한산비], [창녕비], [마운령비] 등
- 고구려 광개토대왕릉비: 중세전기문학 제1기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작품으로 비문의 내용은 광개토대왕의 업적, 건국 초부터 비 설립 당시까지의 고구려 역사, 왕릉의 철저한 수호 임
㉣ 삼국의 국사
- 백제: 고흥의 『서기』외에 『백제기』, 『백제본기』, 『백제신찬』 등
- 고구려:『유기』100권을 이문진이 『신집』5권으로 수정
- 신라: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
- 중략 -
1. 삼국시대의 문학
(1) 한문학의 등장과 성장
① 한문학의 등장과 역할
㉠ 중국『양서』「신라전」(6세기): 글자는 업고 나무를 깎아서 신표로 삼음(그릇된 진술) → 6세기에 삼국에서 이미 국사가 편찬
㉡ 삼국시대의 한문학 특징: 한문학은 상층의 공식적인 학문으로 성장, 한문을 이용해 삼국은 국사를 편찬, 한자의 수용 연대는 한사군 설치 이전으로 올라감, 서기체 ·향찰 · 구결은 한문과 관련
㉢ 삼국의 비문
- 신라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비], [북한산비], [창녕비], [마운령비] 등
- 고구려 광개토대왕릉비: 중세전기문학 제1기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작품으로 비문의 내용은 광개토대왕의 업적, 건국 초부터 비 설립 당시까지의 고구려 역사, 왕릉의 철저한 수호 임
㉣ 삼국의 국사
- 백제: 고흥의 『서기』외에 『백제기』, 『백제본기』, 『백제신찬』 등
- 고구려:『유기』100권을 이문진이 『신집』5권으로 수정
- 신라: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
- 중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