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재약산 얼음골에 나타나는 온혈의 특징과 열적 기구
2.지리학에서의 지역연구 방법론의 학문적 동향과 발전방향 모색
3.사회과에서 지역 학습 내용 구성의 실제에 관한 연구
4.GIS를 이용한 한국의 기후지역 구분
2.지리학에서의 지역연구 방법론의 학문적 동향과 발전방향 모색
3.사회과에서 지역 학습 내용 구성의 실제에 관한 연구
4.GIS를 이용한 한국의 기후지역 구분
본문내용
때 사용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특히 군집분석은 다수의 개체가 있을 때 개체 상호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기에 용이하다는 점이 이러한 연구에 사용하기에 적절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본 연구에서 군집 분석은 10개의 기후요소로 각각 유형화된 결과물 전체를 GIS에 의해 중첩 시킨 다음에 997개 지역에 나타내었다. 물론 한반도가 4계절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기후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연구 과정이 복잡할 것이라는 예상은 했지만 실제로 논문을 읽어보니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방대한 자료를 통해 분류 과정을 거친 것이 놀라웠다.
일기의 평균 정보량인 일기 엔트로피를 활용하여 이를 측도로 하여 한반도 기후 환경의 지역별 일기 대표성과 범위를 설정했다. 이에 따라 최소 일기 엔트로피가 출현한 것에 따라서 8개형의 지형이 나타났으며 주성분 분석에 의해서 연 변화에 따른 일기 엔트로피는 16개형의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모두 종합해보면 남한의 지역은 총 31개의 지역으로 분류가 된다고 한다. 더불어 강수일에 따른 분류는 총 41개의 지역으로 구분되었고 강수량에 따른 분류는 총 16지역으로 구분 되었다. 최종적으로 남한의 기후 환경을 대구분시 8개 기후지역, 중구분시 26개 기후지역, 소구분시 48개 기후 지역으로 유형화 시키는데 성공했다. 이처럼 다양한 기준점을 통해 한반도의 기후를 분류 시킨 것을 보니 분명 가능한 최소화 시켜서 분류를 했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다양한 기후 지역으로 분류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기후가 가진 가변성, 다양성에 대해서 다시 느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군집 분석은 10개의 기후요소로 각각 유형화된 결과물 전체를 GIS에 의해 중첩 시킨 다음에 997개 지역에 나타내었다. 물론 한반도가 4계절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기후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연구 과정이 복잡할 것이라는 예상은 했지만 실제로 논문을 읽어보니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방대한 자료를 통해 분류 과정을 거친 것이 놀라웠다.
일기의 평균 정보량인 일기 엔트로피를 활용하여 이를 측도로 하여 한반도 기후 환경의 지역별 일기 대표성과 범위를 설정했다. 이에 따라 최소 일기 엔트로피가 출현한 것에 따라서 8개형의 지형이 나타났으며 주성분 분석에 의해서 연 변화에 따른 일기 엔트로피는 16개형의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모두 종합해보면 남한의 지역은 총 31개의 지역으로 분류가 된다고 한다. 더불어 강수일에 따른 분류는 총 41개의 지역으로 구분되었고 강수량에 따른 분류는 총 16지역으로 구분 되었다. 최종적으로 남한의 기후 환경을 대구분시 8개 기후지역, 중구분시 26개 기후지역, 소구분시 48개 기후 지역으로 유형화 시키는데 성공했다. 이처럼 다양한 기준점을 통해 한반도의 기후를 분류 시킨 것을 보니 분명 가능한 최소화 시켜서 분류를 했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다양한 기후 지역으로 분류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기후가 가진 가변성, 다양성에 대해서 다시 느낄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