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게슈탈트치료] 게슈탈트상담기법
I. 언어표현 바꾸기
II. 신체 행동을 통한 자각
III. 신체 활동을 통한 자각 확장
1. 과장하기
2. 순회하기
3. 시연
IV. 책임지기
V. 대화하기
VI. 빈 의자 기법
VII. 환상기법
VIII. 역전기법
IX. 꿈 작업
* 참고문헌
I. 언어표현 바꾸기
II. 신체 행동을 통한 자각
III. 신체 활동을 통한 자각 확장
1. 과장하기
2. 순회하기
3. 시연
IV. 책임지기
V. 대화하기
VI. 빈 의자 기법
VII. 환상기법
VIII. 역전기법
IX. 꿈 작업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마치 좋아하는 사람이 현재 있는 것처럼) 지금-여기 입장에서 말한다. 그러나 한 개인이 실생활에서 이런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사실상 그렇게 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
환상은 부끄러움과 죄책감을 표현하고, 탐색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나는 비밀이 하나 있어요. \"라는 식으로 리더는 구성원의 잘 지켜진 비밀에 대해 상상해 보도록 한다. 그들은 집단에서 실제로 비밀을 폭로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에게 그 비밀이 노출된 것을 스스로 상상하고 나서 그에 대한 느낌을 탐색한다.
환상은 집단에서 일어나는 구성원들의 두려움을 탐색하는 안전하고 유용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구성원은 집단에서 일어나는 가장 두려운 것을 상상한다. 그래서 구성원들은 마치 그들이 상상했던 사람이 된 것처럼 집단에서 행동하도록 요청받을 수도 있다. 만일 실험이 성공적이라면, 구성원들은 실생활에서 새로운 행동을 시도해 보려는 느낌을 갖는다.
VIII. 역전기법
어떤 증상과 행동은 잠재적인 충동의 역전으로 나타난다. 역전기법은 구성원들이 거의/혹은 결코 표현하지 않았던 면들이 되는 것을 요청하는데 그 이유는 구성원들이 그것을 보고, 수용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기법 사용의 기초이론은 통합인데 그것은 내담자가 불안을 일으키는 것들 속으로 자신을 밀어 넣을 때, 침몰해 버리고 부정된 그들의 일부에 직면할 때 가능하다. 집단은 역전기법을 사용할 적절한 기회들을 제공한다.
빈 의자 기법은 구성원들에게 내부의 반대세력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일 기회를 준다. 그래서 숨겨져 있는 차원을 표현하는 실험은 창조적인 양극성의 통합으로 이끌기도 한다.
IX. 꿈 작업
게슈탈트 접근은 꿈을 해석하고 분석하지 않는다. 대신 일상 속으로 꿈을 가지고 와서 그것이 마치 지금 일어난 것인 양 재창조하고 재생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구성원들은 과거시제로 그들의 꿈을 보고하지 않고, 현재 시제로 그것들을 재생하고 행동화 하며, 꿈의 주요 요소를 대화로 변화시키고, 꿈의 일부분이 된다. 펄스는 꿈의 각 부분은 자신에 대한 투사이며 모든 상이한 부분은 자신과 정반대이거나 불일치한 면이라고 가정했다.
그래서 꿈은 실존적 메시지를 내포한다. 그것들은 우리의 갈등이나 희망, 생의 핵심적 주제를 나타낸다. 꿈의 모든 세부 사항(기억나는 사람이나 사건, 분위기)들의 목록을 작성하여 가능한 한 전적으로 이런 부분이 되어 보고, 자신의 감정과 반대되는 면을 서서히 자각해 보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 개인은 내적 불일치를 평가 및 수용하고 그러한 갈등보다 깊은 동화와 통합을 이루도록 꿈 작업의 조각들을 통합한다.
꿈의 분석과 해석을 피하고, 대신 그러한 모든 부분이 되어 보고 경험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은 내담자가 꿈의 실존적 메시지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게 도와준다. 프로이트가 꿈은 무의식에 이르는 왕도라고 했다면, 펄스는 \"꿈은 통합에 이르는 왕도다.\"라고 했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환상은 부끄러움과 죄책감을 표현하고, 탐색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나는 비밀이 하나 있어요. \"라는 식으로 리더는 구성원의 잘 지켜진 비밀에 대해 상상해 보도록 한다. 그들은 집단에서 실제로 비밀을 폭로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에게 그 비밀이 노출된 것을 스스로 상상하고 나서 그에 대한 느낌을 탐색한다.
환상은 집단에서 일어나는 구성원들의 두려움을 탐색하는 안전하고 유용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구성원은 집단에서 일어나는 가장 두려운 것을 상상한다. 그래서 구성원들은 마치 그들이 상상했던 사람이 된 것처럼 집단에서 행동하도록 요청받을 수도 있다. 만일 실험이 성공적이라면, 구성원들은 실생활에서 새로운 행동을 시도해 보려는 느낌을 갖는다.
VIII. 역전기법
어떤 증상과 행동은 잠재적인 충동의 역전으로 나타난다. 역전기법은 구성원들이 거의/혹은 결코 표현하지 않았던 면들이 되는 것을 요청하는데 그 이유는 구성원들이 그것을 보고, 수용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기법 사용의 기초이론은 통합인데 그것은 내담자가 불안을 일으키는 것들 속으로 자신을 밀어 넣을 때, 침몰해 버리고 부정된 그들의 일부에 직면할 때 가능하다. 집단은 역전기법을 사용할 적절한 기회들을 제공한다.
빈 의자 기법은 구성원들에게 내부의 반대세력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일 기회를 준다. 그래서 숨겨져 있는 차원을 표현하는 실험은 창조적인 양극성의 통합으로 이끌기도 한다.
IX. 꿈 작업
게슈탈트 접근은 꿈을 해석하고 분석하지 않는다. 대신 일상 속으로 꿈을 가지고 와서 그것이 마치 지금 일어난 것인 양 재창조하고 재생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구성원들은 과거시제로 그들의 꿈을 보고하지 않고, 현재 시제로 그것들을 재생하고 행동화 하며, 꿈의 주요 요소를 대화로 변화시키고, 꿈의 일부분이 된다. 펄스는 꿈의 각 부분은 자신에 대한 투사이며 모든 상이한 부분은 자신과 정반대이거나 불일치한 면이라고 가정했다.
그래서 꿈은 실존적 메시지를 내포한다. 그것들은 우리의 갈등이나 희망, 생의 핵심적 주제를 나타낸다. 꿈의 모든 세부 사항(기억나는 사람이나 사건, 분위기)들의 목록을 작성하여 가능한 한 전적으로 이런 부분이 되어 보고, 자신의 감정과 반대되는 면을 서서히 자각해 보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 개인은 내적 불일치를 평가 및 수용하고 그러한 갈등보다 깊은 동화와 통합을 이루도록 꿈 작업의 조각들을 통합한다.
꿈의 분석과 해석을 피하고, 대신 그러한 모든 부분이 되어 보고 경험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은 내담자가 꿈의 실존적 메시지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게 도와준다. 프로이트가 꿈은 무의식에 이르는 왕도라고 했다면, 펄스는 \"꿈은 통합에 이르는 왕도다.\"라고 했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