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범 김구 선생님의 리더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범 김구 선생님의 리더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⑴백범김구선생님의 좌우명
⑵김구선생님의 일생 요약


2. 김구선생님의 리더십
⑴ 충,효,예로 보는 김구선생님의 리더십의 요건
⑵ 현대적 관점에서 보는 김구 선생님의 리더십
①현대적 관점의 리더십은 과거의 리더십과 어떻게 다른가
②현대적 관점에서의 김구선생님의 리더십
3. 김구선생님의 리더십이 현재까지 미치는 영향
⑴ 문화 리더십
⑵ 리더십 교육

본문내용

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습니다.
또한 아호를 ‘연하(蓮下)’에서 ‘백정범부(白丁凡夫)’의 줄임말인 ‘백범(白凡)’으로 바꾸기도 했는데요.
백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천하게 여겼던 백정의 ‘백(白)’자와 평범한 사람이라는 뜻의 ‘범(凡)’자를 합친 것으로 가장 낮은 사람을 뜻합니다. 신분이 높고 낮음을 떠나 모든 사람들이 나라와 겨레를 사랑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지은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어린 시절 과거에 낙방한 후 비관에서 벗어나기 위해 관상서 공부를 시작했는데요. 그런데 자신의 얼굴에는 한 군데도 귀하고 부유하고 좋은 상은 없고, 천하고 가난하고 흉한 상밖에 없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관상서의 구절 중에 ‘얼굴 좋은 것이 몸 좋은 것만 못하고, 몸 좋은 것이 마음 좋은 것만 못하다’는 글에서 자신은 마음 좋은 사람이 되겠다고 결심했습니다. 이후부터 자신을 낮추고 포용력 있는 마음가짐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백범 선생님은 자신의 소원이 ‘독립된 조국의 문지기’라고 말했던 것도 이와 같은 리더쉽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김구 선생은 평생을 나라와 겨레를 위하는 서번트 리더십의 표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둘째, 원칙 중심 리더십(Principle Centered Leadership)
이는 국민에게 목표와 비전을 제시하고 그들로 하여금 동기를 유발하게 하는 리더십인데요.
여기에서는 신뢰성이 핵심인데, 이 신뢰는 백범의 뛰어난 능력과 인격, 인품으로부터 나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미 이봉창 · 윤봉길 의사가 밝힌바 있듯이 원칙 중심의 리더인 그는
백성들로부터 신뢰를 받으며 리더십을 발휘한 것입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백범의 정치적 입장은 점점 옹색해져 갑니다.
한반도에서 하나의 정부를 수립하자는 그의 지론은 북에서는 김일성의 인민공화국이,
남에서는 대한민국 정부가 서면서 물거품이 되어버렸습니다.
자연히 대한민국 정부에 대한 그의 견해를 묻는 사람들이 늘어났습니다.
나는 이 자리에서 명백하게 말하거니와 무슨 비법적 민족통일운동을 하자는 것은 결코 아니다.
나는 어디까지나 한 애국자로서, 한 혁명가로서 개인의 사사로운 이해관계를 떠나서,
어디까지나 공명정대하게 정권욕을 떠나서 민족통일의 대업에 몸을 바치자는 결심뿐이다.
거듭 말하거니와 한국이 있어야 한국 사람이 있고, 한국 사람이 있고야 민주주의도, 공산주의도,
무슨 단체도, 무슨 정당도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자주독립적 통일정부를 수립하려는 이 중대한
시대에 당면하여 어찌 개인이나 집단의 사리사욕을 탐하여 국가민족의 백년대계를 그르칠 수 있으랴? (대조 1949년 3.4월호)
이미 한반도에 엄연히 다른 두 정권이 섰는데도
그는 여전히 남북이 하나가 될 수 있도록 애국심과 하나됨을 강조하고 있는데요.
그 후에 진전된 역사를 모두 알고 있는 지금 입장에서 보면
백범은 어리석다고 할 정도로 원칙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의 주장이 결코 비현실적인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백범은 이미 미래에 다가올 민족적 재앙을 모두 예견했는데요.
그가 암살당한지 꼭 1년이 지나고 한국전쟁이 현실로 드러나면서
민족 최대의 비극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한 번 분단된 나라는 언제 다시 하나가 될지 기약조차 없습니다.
이 모든 것을 예측했었기에 김구 선생은 그토록 분단을 막기 위해 애쓴 것입니다.
이국땅에서 겪었던 고난보다 분단된 조국에서 겪었을 마음의 고통과 절망이 훨씬 더 컸을 텐데요. 이 모습을 통해서 자주독립과 민족통일에 대한 백범의 뚜렷한 원칙과 철학을 엿볼 수 있습니다.
셋째, 가치 중심 리더십(Value Based Leadership)
가치 중심의 리더십은 오늘날처럼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가치관의 혼돈(아노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리더십인데요.
개인적 규범과 가치를 내세움으로써 가치가 충만한 조직 환경을 만들고,
개인으로 하여금 자기만족을 얻게 함으로써 조직의 경쟁력과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입니다.
이 가치 중심의 리더십 관점에서 김구 선생의 리더십을 살펴보면
나라사랑의 가치인 ‘충’, 부모사랑의 가치인 ‘효’, 겨레 사랑의 가치가 ‘예’가 바탕이 됩니다.
백범은 교육과 높은 문화의 힘을 역설하면서 충 · 효 · 예라는 인간의 보편적 가치를 실천했습니다.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의 부력(富力)은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强力)은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인류에게 부족한 것은 무력도 아니요, 경제력도 아니다. 자연과학의 힘은 아무리 많아도 좋으나, 인류 전체로 보면 현재의 자연과학만 가지고도 편안히 살아가기에 넉넉하다.
<백범일지>의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중에서도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 바로 위 구절일 텐데요.
이를 통해 선생의 활동을 테러리스트라 평가하는 이들조차 휴머니스트로의 백범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그가 진정으로 원했던 나라는 군사력이나 경제력이 아닌 문화와 예술의 힘이 높은 나라였습니다.
이렇듯 백범은 매우 선진적이면서 미래에 대한 통찰력을 갖고 계신 분이셨습니다.
망명지에서 온갖 수난을 겪고 조국 독립에 헌신해온 노(老) 애국자의 밑바탕에
이런 인도적이고 예술적인 감수성이 깔려 있었다는 게 한 편으로 놀랍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는 그런 것이 없었다면
어떻게 그 길고 모진 세월을 견딜 수 있었을까 하는 안타까움도 느껴집니다.
넷째, 카리스마 리더십(Charisma Leadership)
이는 국민에 대한 애정으로 백성들로부터 신뢰와 지지를 이끌어내는 리더십인데요.
백범은 국모의 원수를 갚기 위해 일본군 중위를 살해하고,
형무소에서 동포에 대한 애정을 보이면서 살신성인 정신의 카리스마를 직접 보여주었습니다.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 不須胡亂行(불수호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7.20
  • 저작시기201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6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