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t Give Up 포기하지마(카일아이들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on’t Give Up 포기하지마(카일아이들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예수그리스도에 대한 확신과 끝까지 달려갈 용기를 주는 믿음”

들어가며..


프롤로그/ 용기를 주는 목소리


1. 허다한 증인들에게 들어라.

2. 무거운 짐을 벗어버려라.


너는 행복할 자격이 있어!


3. 자신 앞의 경주를 하라.


에필로그/ 멈출수도 없고 멈추지도 않겠다!

마치며..

본문내용

무엇이든 벗어버린다. 상하의 운동복 때문에 기록이 0.0002초 느려질수있다는 주장에 다들동의할 것이다. 선수들은 시합을 앞두고, 매우 구체적인 준비를 한다.
심리학자 로버트 리히는 불안을 벗다라는 책에서 “오늘날 평균적인 아이의 불안 정도는 190년대 평균적인 정신 질환자 수준이다”라고 지적한 바있다. 불안의 징후는 대개 두려움, 신경질, 조급증, 수면장애, 중압감으로 묘사된다. 하지만, 이것이 다가 아니다. 호홉 장애, 가슴통증, 집중력 장애, 소화 불량, 두통, 불면증, 근육 경직, 에너지 저하 그리고 혼란을 일으키고 집착하게 하는 생각, 금전적 손실, 망각까지 일으킬 수 있다. 불안은 정서에 큰 영향을 미칠 수있다. 불안은 뇌의 세로토닌과 도파민 분비 체계를 어지럽힐 수 있다. 불안은 동요, 분노, 일반적으로 짜증으로 나타날 수 있고, 침울하게 외롭게, 슬프게, 우울하게 만들기도한다. 불안은 불쾌한 냄새나 탈모, 과도한 땀 분비등으로도 나타난다.
불안은 다양한 신체 증상으로 나타난다. 불안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는 친구들이 있다. 그러나, 불안이 몸의 각종 통증이나, 마비의 진짜 원인일 수 있다. 불안은 혈액순환장애, 호르몬 불균형, 고혈압, 편두통, 체중 증가, 체중 감소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무엇이든 않좋은 것을 예로들어보라. 불안이 그 원인일 수 있다.
리히 박사는 우리에게 만연한 불안에 대한 관한 연구를 발표한 후에 이렇게 결론을 내렸다.
“우리는 불안의 시대를 산다. 우리는 신경 쇠약의 나라 국민이 되었다.”
“네 염려를 하나님께 맡기라”
나는 베드로의 편지에서 맡겨라(cast)라는 단어가 나오면 곧 바로 고기잡이와 연결한다. 베드로는 어부이다. 그렇지 않은가? 베드로는 자신의 직업과 관련된 용어를 사용해서 우리가 불안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설명한다. 때로 사람들은 당신의 불안과 염려를 놓아 버리라고 말한다. 손을 펴서 불안을 놓으라. 그러나 체육관 기구에 누워 역기를 들고있다면, 당장 역기를 놓으라는 것은 그대로 떨어져 당신을 해치기에 좋은 조언이 아니다. 베드로는 단순히 염려나 불안을 내려 놓으라고 말하지 않는다. ‘옮기라’고 말한다. 당신을 붙잡고 주저 앉히는 짐을 하나님이 지고 가시게 하라는 것이다.
우리의 불안이 누군가의 거짓말에 근거한다면 어떻게 되는가? 2017년에 ‘가짜 뉴스’라는 말이 대중화되었다. 페이스북은 가짜 뉴스를 적절히 검증하고 제재하지 않았다는 비난을 숱하게 받았다. 사람들이 읽은 가짜 뉴스와 헤드라인만 보더라도 가관이다. 그러나 우리가 가짜 뉴스를 믿는다면, 불안은 생생한 현실이 될 것이다.
“나는 내가 느끼는 불안을 어떻게 처리하는가??”
스콧 스토셀은 “끈질긴 불안”이라는 글에서 자신이 불안을 처리한 여정을 들려준다.
지금껏 불안을 해결하려고 숱한 시도를했다. 개인 심리치료, 가족치료, 집단 치료, 인지행동치료,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수용전념치료, 최면, 명상, 역할극, 노출치료, 마사지 치료, 자기계발서, 기도, 침술, 요가, 스토아 철학, 늦은 밤 TV 광고를 보고 주문한 테이프, 수 많은 항 우울제 약물치료, 이게 다가 아니다. 많은 종류의 술, 그러나 아무 효과가 없었다.
불안이 크게 자리한 사람들에게는 이런 것들이 적절하다. 그러나 우리 불안과 염려를 하나님께 맡겨야 할 때, 갈수록 약물이나 술이나 푸로노나 쇼핑을 응급조치로 택하는 것같아 걱정스럽다.
조셉 칼리파노는 상류사회라는 책에서 이와 관련된 생각을 제시한다. 그는이 책을 쓸 때, 컬럼비아 대학교 부설 중독 및 약물 남용 연구소의 소장이었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화학물질이 이 나라에서 가장 큰 종교의 자리를 놓고, 기독교를 뒤
  • 가격2,9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7.23
  • 저작시기201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6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