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2선식 배선
-3선식 배선
-2선식 배선과 3선식 배선의 차이점
Ⅲ. 결론
Ⅳ.참고문헌
Ⅱ. 본론
-2선식 배선
-3선식 배선
-2선식 배선과 3선식 배선의 차이점
Ⅲ. 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상 충전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3선식 배선은 정전이 발생했을 때에도 예비 전원에 의해서 자동으로 점등이 된다.
그리고 3선식 배선의 경우에는 화재, 정전, 자동 소화 설비가 동작 할 때 자동 점등 및 수동 점등 두 가지가 모두 가능하다.
Ⅲ. 결론
본론에서는 유도등과 유도 장치를 결선하는 2선식 배선과 3선식 배선의 개념과 차이점 등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유도등은 건물이나 시설물 등의 안전을 위해서 필수적인 장치라고 할 수 있다. 2선식 배선과 3선식 배선은 항상 점등, 필요시 점등이라는 큰 차이점 한 가지로 인해 명확하게 다른 장단점을 갖는다. 2선식 배선은 전력이 낭비되고 잦은 고장이 일어나지만 유도등으로서의 역할은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반면 3선식 배선은 필요할 때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지만 문제 발생 시 외관상으로 구별이 되지 않아 진짜로 유도등이 필요한 상황에서 제 기능을 못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2선식 배선과 3선식 배선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합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의 유도등 결선 방법에 대해서 고안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Ⅳ.참고문헌
김현우, 소방전기시설론, 상학당, 2006
그리고 3선식 배선의 경우에는 화재, 정전, 자동 소화 설비가 동작 할 때 자동 점등 및 수동 점등 두 가지가 모두 가능하다.
Ⅲ. 결론
본론에서는 유도등과 유도 장치를 결선하는 2선식 배선과 3선식 배선의 개념과 차이점 등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유도등은 건물이나 시설물 등의 안전을 위해서 필수적인 장치라고 할 수 있다. 2선식 배선과 3선식 배선은 항상 점등, 필요시 점등이라는 큰 차이점 한 가지로 인해 명확하게 다른 장단점을 갖는다. 2선식 배선은 전력이 낭비되고 잦은 고장이 일어나지만 유도등으로서의 역할은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반면 3선식 배선은 필요할 때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지만 문제 발생 시 외관상으로 구별이 되지 않아 진짜로 유도등이 필요한 상황에서 제 기능을 못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2선식 배선과 3선식 배선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합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의 유도등 결선 방법에 대해서 고안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Ⅳ.참고문헌
김현우, 소방전기시설론, 상학당,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