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검사도구를 만드는 이유와 목적, 특징
(2) 검사도구의 방법과 절차
(3) 검사문항
(4) 기존 검사도구와의 차별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검사도구를 만드는 이유와 목적, 특징
(2) 검사도구의 방법과 절차
(3) 검사문항
(4) 기존 검사도구와의 차별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유아를 인계받고 실험 절차에 대해 유아에게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 준다. 이 때 유아와 대화하듯 유형에 대해 이야기해주고 검사의 시작을 알려준다. 유아는 총 세 개의 유형을 각각 최대 5분씩 지시에 따라 검사재료를 활용하여 산출물을 만든다. 검사자는 유아가 산출물을 만드는 동안 그 과정을 관찰한다. 만약 5분의 시간을 다 사용했음에도 유아가 더 만들기를 원한다면 1분의 추가 시간을 줄 수 있다. 산출물을 다 만들었으면 완성 여부를 확인하고 산출물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 이 과정에서 제목을 물어보거나 설명을 유도하는 등 각 유형별로 정해진 검사문항을 확인하기 위해 이야기를 나눈다. 그리고 산출물을 사진 촬영한다. 한 유형에 대해 질문과 설명을 주고받고 나면 다음 유형 검사를 진행한다. 모든 검사가 끝나면 유아를 돌아가게 한다.
검사문항에 대한 평가는 문항을 만족시켰을 경우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중에 각 문항이 해당하는 요소에 1점을 부여하고, 만족시키지 못했을 경우 0점을 부여한다. 유형 1은 유창성 문항 1개, 독창성 문항 5개, 정교성 문항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유형 2는 유창성 문항 1개 독창성 문항 5개, 정교성 문항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유형 3은 유창성 문항 1개 독창성 문항 2개, 정교성 문항 3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창성 문항은 총 3개, 독창성 문항은 총 12개, 정교성 문항은 총 5개이다. 모든 문항에 대해 확인하고 나면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별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3) 검사문항
유형 1: 숫자 3을 블록으로 표현하기
1) 숫자 3을 가리키는 결과물을 만들었는가? (유창성)
2) 결과물의 제목을 정할 수 있는가? (독창성)
3) 숫자 3 외의 다른 개념을 사용하여 결과물에 반영하였는가? (독창성)
4)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때 독특한 방향이나 다른 관점으로 보고 있는가? (독창성)
5)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때 감정적인 표현을 사용하였는가? (독창성)
6)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때 움직임을 표현하였는가? (예: 춤추다, 달리다 등) (독창성)
7) 다양한 재료를 통해 패턴이 나타나거나 특이한 표현을 하였는가? (나무막대, 색깔 스티커 등) (정교성)
유형 2: 블록을 이용하여 \'행복\'을 표현하기
1) 행복을 표현한 결과물을 만들었는가? (유창성)
2) 결과물의 제목을 \'행복\' 이외에 다른 것으로 정할 수 있는가? (독창성)
3)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때 독특한 방향이나 다른 관점으로 보고 있는가? (독창성)
4)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때 \'행복\' 외에 다른 감정표현을 사용하였는가? (독창성)
5) 일상적 경험이 아닌 상상을 통한 생각을 표현하였는가? (독창성)
6)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때 움직임을 표현하였는가? (예: 춤추다, 달리다 등) (독창성)
7)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패턴이 나타나거나 독특한 결과물을 만들었는가? (나무막대, 색깔 스티커 등) (정교성)
유형 3: 블록을 이용하여 강을 건너는 방법 고안하기
1) 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하였는가? (유창성)
2)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검사문항에 대한 평가는 문항을 만족시켰을 경우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중에 각 문항이 해당하는 요소에 1점을 부여하고, 만족시키지 못했을 경우 0점을 부여한다. 유형 1은 유창성 문항 1개, 독창성 문항 5개, 정교성 문항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유형 2는 유창성 문항 1개 독창성 문항 5개, 정교성 문항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유형 3은 유창성 문항 1개 독창성 문항 2개, 정교성 문항 3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창성 문항은 총 3개, 독창성 문항은 총 12개, 정교성 문항은 총 5개이다. 모든 문항에 대해 확인하고 나면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별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3) 검사문항
유형 1: 숫자 3을 블록으로 표현하기
1) 숫자 3을 가리키는 결과물을 만들었는가? (유창성)
2) 결과물의 제목을 정할 수 있는가? (독창성)
3) 숫자 3 외의 다른 개념을 사용하여 결과물에 반영하였는가? (독창성)
4)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때 독특한 방향이나 다른 관점으로 보고 있는가? (독창성)
5)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때 감정적인 표현을 사용하였는가? (독창성)
6)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때 움직임을 표현하였는가? (예: 춤추다, 달리다 등) (독창성)
7) 다양한 재료를 통해 패턴이 나타나거나 특이한 표현을 하였는가? (나무막대, 색깔 스티커 등) (정교성)
유형 2: 블록을 이용하여 \'행복\'을 표현하기
1) 행복을 표현한 결과물을 만들었는가? (유창성)
2) 결과물의 제목을 \'행복\' 이외에 다른 것으로 정할 수 있는가? (독창성)
3)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때 독특한 방향이나 다른 관점으로 보고 있는가? (독창성)
4)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때 \'행복\' 외에 다른 감정표현을 사용하였는가? (독창성)
5) 일상적 경험이 아닌 상상을 통한 생각을 표현하였는가? (독창성)
6)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때 움직임을 표현하였는가? (예: 춤추다, 달리다 등) (독창성)
7)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패턴이 나타나거나 독특한 결과물을 만들었는가? (나무막대, 색깔 스티커 등) (정교성)
유형 3: 블록을 이용하여 강을 건너는 방법 고안하기
1) 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하였는가? (유창성)
2) 결과물에 대해 설명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