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의 전략김연철 저 ) 10 소수파를 배려하라 미얀마의 소수민족 평화협상에 나오는 내용의 소제목들을 순서대로 정리요약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협상의 전략김연철 저 ) 10 소수파를 배려하라 미얀마의 소수민족 평화협상에 나오는 내용의 소제목들을 순서대로 정리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미얀마, 민주주의를 향해 출발
2) 왜 군부는 개혁을 받아들였을까?
3) 아웅산 수치의 선택, 군부와 춤을
4) 다민족 연방국가의 꿈 ‘팡롱협정’
5) 총을 내려놓지 못하는 소수민족
6) 테인 세인 정부, 무장단체와 악수하다
7) 국경 경제, 소수민족 배려와 탄압
8) 로힝야족, 협상에 초대받지 못한 손님
9) ‘질서 있는 변화’는 가능할까?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있다. 미얀마도 다른 나라들처럼 타협을 통해 민주화 과정을 평화적으로 관리할 가능성이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군부 통치 기간에 벌어졌던 많은 인권 침해 문제를 역사적으로 어떻게 기억할 것인지가 중요한 과제이다.
정부군과 소수민족 반군 사이에 해결해야 할 과제도 아직 많이 남아있다. 평화 과정을 관리하지 못한다면 평화는 언제든지 깨질 수 있다. 샨주북부군도 2012년 1월에 정전협정을 체결했지만, 정부군이 몇 주 뒤에 반군의 진지를 공격하면서 협정이 깨져버렸다. 당시에 합의가 깨진 이유는 양쪽 통제 구역에서 상대측에게 어떤 통로를 허용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내전 안에서 일어나는 내전도 주목해야 할 변수이다. 소수민족 내부의 분열도 매우 해결하기가 어려운 과제이다. 미얀마와 소수민족의 관계는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를 결정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소수민족을 포함하는 평화로운 다민족 연방국가의 건설은 민주주의가 뒷받침되어야 가능하다. 다수결 원칙, 소수파 배려 사이의 긴장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이 모든 민족 갈등을 조정하는 민주주의의 조화로움이 절실히 필요하다.
결론
협상은 결국 사람과 사람 간에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무엇보다 사람 간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우리의 이익만을 주장해서는 안 되며, 서로가 서로에게 이득이 되도록 나아가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더불어 힘든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전화위복의 능력이 최고의 협상을 이끄는 자질이 될 수 있다.
출처 및 참고문헌
김연철, <협상의 전략> 휴머니스트. 2016.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6.03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16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