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 LEGO 기업분석과 SWOT분석 및 레고 마케팅 사례분석과 레고 미래전략제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레고 LEGO 기업분석과 SWOT분석 및 레고 마케팅 사례분석과 레고 미래전략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레고 LEGO 기업소개

2. LEGO 기업 내부역량 분석
(1) 제품역량
(2) 품질역량
(3) CEO의 역량

3. 레고 LEGO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레고 LEGO 마케팅전략 사례
(1) 브랜드마케팅
(2) 이벤트마케팅
(3) 성인타겟 마케팅
(4) 광고홍보전략
(5) 컨텐츠마케팅

5. 레고 미래전략 제시
(1) 국가별 현지화 전략제언
(2) 한국시장 전략제언

본문내용

해 기존 고객들에게 신선함을 제공하여 구매욕구를 자극한다.
재생산이 가능하다. 다른 장난감처럼 소비재가 아닌 소비자가 레고블럭의 조합을 통해 다시 새로운 놀이형태를 생산할 수 있는 형태이다.레고의 거의 모든 블록들이 호환이 되어 조립이 가능하다.비슷한 크기의 브릭뿐만 아니라 유아를 위해 출시한 라인인 ‘레고 듀플로’와 일반 제품의 조합도 가능하다.
레고는 교육적으로도 용이하다. 아이들에게 창의력을 길러준다. 레고의 주제들은 구체적 사례를 기반으로 하는 문제해결 과제이다. 따라서 아이들의 명확한 분석과 상황에 대한 접근을 필요로 한다. 아이들은 현실세계와 연결된 주제를 탐구하면서 복잡한 문제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키우게 된다.
(2) Weakness
처음 구매할 때 느끼는 정도가 비싼 편이다.
흥미를 일으키는 성향이 약하다. 레고블럭은 능동적인 제품이기 때문에 아이의 성취도에 따라 흥미의 정도가 다르며 경우에 따라 자칫 지루할 수 있다.
구성요소품의 분실이 쉽다. 피스가 여러 조각이라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장난감부품을 유지하기 힘들다. 아이들이 삼킬 수 있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며 정리정돈이 번거롭다.
무리한 비관련 다각화를 통해 특유의 완구스러움을 잃어버렸다는 평을 받으며 비핵심사업을 정리하였다.
(3) Opportunity
완구시장은 대부분 남자아이를 대상으로 한 장난감위주로 형성되어있다. 여자아이를 위한 완구시장은 바비인형을 제외하고는 눈에 띄는 제품이 존재하지 않았다. 레고는 이 기회를 포착하고 2012년 여자아이를 타겟으로 출시한 제품라인인 ‘레고 프렌즈’를 출시하여 큰 이익을 거두어들였다.
레고가 어린아이들의 것이라는 사고를 벗어나 성인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레고는 로봇형태의 레고인 마인드스톰스의 구동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해킹하여 여러가지 기능들을 할 수 있게 만든 해킹범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지만, 그를 고발하는 대신 프로그램을 오픈소스로 전환하여 누구든지 프로그래밍할 수 있게 하였다. 이 ‘마인드스톰스’사건으로 레고가 어린아이들의 것이라는 사고방식이 어른들도 참여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바뀌었다.
타겟층을 넓힐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완구시장의 고객을 나이대별로 세분화하여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이것을 통하여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한 ‘4주니어’, 성인이 주 고객층인 ‘레고 아키텍처’, 온가족을 대상으로 출시하였고 보드게임인 ‘레고 게임즈’등으로 새로운 고객층을 공략하였다.
중국의 장난감 시장을 보면 비디오 게임보다 전통적이거나 보통의 장난감과 게임이 더 큰 인기를 얻으며 꾸준히 큰 성장을 보이고 있다.
전자기기의 도래로 아이들의 놀이에 대한 우려를 가진 부모들이 늘어나고 있다.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레고 장난감으로 교육적인 장난감에 대한 갈증을 해소 시켜 줄 수 있다.특히 최근 중국시장에서 이러한 레고의 특성으로 인한 구매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저출산화로 인해 1인 자녀가구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부모들은 우리아이만큼은 건강하고 더 특별하게 키우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른 레고는 다른 장난감과 다르게 전자파가 나오지 않는 안전하고 건강한 장난감 고급화적인 이미지를 갖고 판매할 수 있다.
(4) Threat
다양한 놀이거리의 증가가 대체재의 위협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일본의 유명 게임회사인 닌텐도에서 기존의 게임보이 어드밴스의 신형 모델 \"게임보이 어드밴스 SP\"를 발표했다. 또한 X-Box게임기 등 놀이거리 시장의 경쟁이 더 심화되고 있다.
비디오게임 시장의 활성화에 의해 완구시장의 입지가 작아지고 있다. 비디오게임과 완구시장의 타겟층은 어린아이들로 같다. 어린아이들과 부모들이 비디오시장으로 유입됨에 따라 완구 시장의 성장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비슷한 형태의 저렴한 제품이 많다. 중국에는 LEBQ, DECOOL,SY 등 다양한 모방 메이커들이 있다. 간단하게 사용할 것이라면 레고보다 더 싼 가격이 흥미를 끈다. 우리나라에는 옥스포드라는 퍼즐형식의 브릭이 있는데 레고 가격의 3분의 2정도의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옥스포드는 중국메이커들보다 질이 훨씬 좋다.
4. 레고 LEGO 마케팅전략 사례
(1) 브랜드마케팅
1) 브랜드 네이밍
레고라는 이름은 \"잘 놀다\"는 의미의 덴마크 단어 \"leg godt\"의 약어이다. LEGO라는 말이 라틴어로 \'나는 모은다.\', \'나는 조립한다.\' 등의 의미가 있다. 정작 레고라는 이름을 지을 때는 이 사실을 몰랐다고 하는데 우연이지만 레고라는 이름 자체가 브랜드의 제품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
2) 브랜드 심볼
레고의 브랜드 심볼은 원색적인 빨간색, 노란색, 흰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밝고 역동적인 색으로 이루어진 레고의 심볼은 어린이들을 위한 완구 회사라는 정체성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3) 브랜드 슬로건
레고사의 슬로건은 “Just imagine! : 상상해보라! 그것은 이루어진다.”이다. 레고와 함께라면 상상하는 무엇이듯 이룰 수 있다는 자신감을 읽을 수 있는 슬로건이다. 또한 아이들의 상상력을 키워주려면 레고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로도 볼 수 있다.
(2) 이벤트마케팅
1) 신제품 체험 이벤트
- 신제품 ‘닌자고’ 온오프라인 이벤트
- 온라인 게임 진행 후 응모 이벤트 & 마트 신제품 체험 후 선물 증정 이벤트
2) 레고 신제품 쇼케이스 진행
- 레고 매니아 , 파워 블로거 등 100명 초청하여 행사 진행.
- 소비자와의 대면 접촉 이벤트로서 충성도 높이고 관심 유도함.
- 파워블로거의 리뷰를 통해 바이럴 마케팅 효과 노림.
3) 시티 파이어 쇼
- 초대형 소방차와 거인 소방관 아저씨를 기본 블럭만으로 조립.
- 아이들과 어른 모두 참여하여 레고 블록을 이용하여 조립.
- 대형 레고 소방관 및 대형 레고 트럭을 레고 마스터 빌더와 같이 조립함.
(3) 성인타겟 마케팅
레고는 조립을 기반으로 다양한 고객층을 공략한다. 기존에는 어린이를 타겟으로 제품을 만들었지만, 현재에는 기존 고객층인 어린이뿐만이 아니라 청소년, 성인 등 새로운 사용층을 공략하기 위한 제품을 전략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레고는 ‘루카
  • 가격4,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9.09.18
  • 저작시기201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23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