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난민의 정의
2. 난민지위인정 요건
3. 난민의 종류
4. 난민의 발생과 국제사회의 노력
5. 나라별 난민수용 실태연구
6. 우리나라의 난민수용 찬반논란
(1) 찬성입장 정리
(2) 반대입장 정리
7. 난민문제 해결방안 제시
2. 난민지위인정 요건
3. 난민의 종류
4. 난민의 발생과 국제사회의 노력
5. 나라별 난민수용 실태연구
6. 우리나라의 난민수용 찬반논란
(1) 찬성입장 정리
(2) 반대입장 정리
7. 난민문제 해결방안 제시
본문내용
난민문제
실태와 해결방안
INDEX
1. 난민의 정의
2. 난민지위인정 요건
3. 난민의 종류
4. 난민의 발생과 국제사회의 노력
5. 나라별 난민수용 실태연구
6. 우리나라의 난민수용 찬반논란
(1) 찬성입장 정리
(2) 반대입장 정리
7. 난민문제 해결방안 제시
1. 난민의 정의
난민의 일반적 의미는 생활이 곤궁한 궁민, 전쟁이나 천재지변으로 곤궁에 빠진 이재민을 말하며, 국제적인 난민의 의미는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규정된, \"인종, 종교, 국적, 정치적 견해, 특정 사회단체 참여 등의 이유로 인한 박해의 공포를 피해 조국을 떠난 후, 귀환하지 못하거나 귀환하려 하지 않는 사람\"을 말한다.
2. 난민지위인정 요건
난민협약 제1조 A항 2)에 의하면, 난민이 되기 위해서는 네 가지 기본요건으로 비호신청인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 있어야 한다.
난민은
i) 자신의 출신국 밖에 있어야 하고
ii)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는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a well-founded fear of persecution)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iii)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집단에 소속 및 정치적 의견에 근거한 사유로,
iv) 박해의 공포로 인하여, 그 국가의 보호를 받거나, 그 국가로 돌아가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원하지 않는 자라야 한다.
적용배제 조항은 난민인정 기준에는 부합되지만, 보호가 필요하지 않거나 보호를 받을 가치가 없는 자에게는 협약을 적용하지 않으며(난민협약 제1조 D, E, F), 적용정지 조항은 예컨대 출신국의 정치적 상황이 근본적인 변화가 있어서 난민이 다시 그곳에서 거주할 수 있게 되면, 그는 더 이상 난민으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난민협약상의 개념정의로는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난민을 모두 포함할 수는 없으며, 이 협약을 채택했던 전권회의의 최종의정서에 포함된 권고 E는 “회의는 난민협약이 그 표면상의 범위를 초과하여 하나의 표본으로서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며 모든 국가는 협약의 규정상 대상이 되지 않는 자들에게 가능한 한 난민의 지위를 부여함에 있어서 본 협약을 지침으로 할 것이라는 희망을 표명한다”고 규정함으로써, 각국이 난민협약상의 ‘난민’의 용어 정의를 완전히 충족하지 않는 자에게도 가능한 한 난민지위를 부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3. 난민의 종류
(1) 협약난민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의하면 인종,종교,민족,특정사회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받을 우려가 있다는 합리적 이유가 있는 공포로인하여 자신의 국적국(또는 종전의 상주국)밖에 있는자로서 국적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공포로 인하여 국적국의 보호를 받는 것을 원하지 아니하는 자를 난민으로 정의하고 있다.
(2) 위임난민
당사국에 의하여 보호를 받는 여부와 관계 없이, UNHCR에 위임된 권한에
근거하여 UNHCR이 인정하고 보호하는 난민이다. 그러나 이들이 협약 당사국에 의하여 난민으로 인정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협약상 난민에게 부여되는 권리보호는 받지 못한다.
(3) 기타난민
- 사실상 난민(de facto refugee)
- 국내실향민(IDP internal displaced person)
- 현지난민(refugee sur place)
- 경제난민
- 환경난민
- 궤도난민(refugee of orbit)
- 감정난민(refugee of transit)
4. 난민의 발생과 국제사회의 노력
난민문제가 국제사회에서 본
실태와 해결방안
INDEX
1. 난민의 정의
2. 난민지위인정 요건
3. 난민의 종류
4. 난민의 발생과 국제사회의 노력
5. 나라별 난민수용 실태연구
6. 우리나라의 난민수용 찬반논란
(1) 찬성입장 정리
(2) 반대입장 정리
7. 난민문제 해결방안 제시
1. 난민의 정의
난민의 일반적 의미는 생활이 곤궁한 궁민, 전쟁이나 천재지변으로 곤궁에 빠진 이재민을 말하며, 국제적인 난민의 의미는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규정된, \"인종, 종교, 국적, 정치적 견해, 특정 사회단체 참여 등의 이유로 인한 박해의 공포를 피해 조국을 떠난 후, 귀환하지 못하거나 귀환하려 하지 않는 사람\"을 말한다.
2. 난민지위인정 요건
난민협약 제1조 A항 2)에 의하면, 난민이 되기 위해서는 네 가지 기본요건으로 비호신청인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 있어야 한다.
난민은
i) 자신의 출신국 밖에 있어야 하고
ii)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는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a well-founded fear of persecution)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iii)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집단에 소속 및 정치적 의견에 근거한 사유로,
iv) 박해의 공포로 인하여, 그 국가의 보호를 받거나, 그 국가로 돌아가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원하지 않는 자라야 한다.
적용배제 조항은 난민인정 기준에는 부합되지만, 보호가 필요하지 않거나 보호를 받을 가치가 없는 자에게는 협약을 적용하지 않으며(난민협약 제1조 D, E, F), 적용정지 조항은 예컨대 출신국의 정치적 상황이 근본적인 변화가 있어서 난민이 다시 그곳에서 거주할 수 있게 되면, 그는 더 이상 난민으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난민협약상의 개념정의로는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난민을 모두 포함할 수는 없으며, 이 협약을 채택했던 전권회의의 최종의정서에 포함된 권고 E는 “회의는 난민협약이 그 표면상의 범위를 초과하여 하나의 표본으로서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며 모든 국가는 협약의 규정상 대상이 되지 않는 자들에게 가능한 한 난민의 지위를 부여함에 있어서 본 협약을 지침으로 할 것이라는 희망을 표명한다”고 규정함으로써, 각국이 난민협약상의 ‘난민’의 용어 정의를 완전히 충족하지 않는 자에게도 가능한 한 난민지위를 부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3. 난민의 종류
(1) 협약난민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의하면 인종,종교,민족,특정사회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받을 우려가 있다는 합리적 이유가 있는 공포로인하여 자신의 국적국(또는 종전의 상주국)밖에 있는자로서 국적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공포로 인하여 국적국의 보호를 받는 것을 원하지 아니하는 자를 난민으로 정의하고 있다.
(2) 위임난민
당사국에 의하여 보호를 받는 여부와 관계 없이, UNHCR에 위임된 권한에
근거하여 UNHCR이 인정하고 보호하는 난민이다. 그러나 이들이 협약 당사국에 의하여 난민으로 인정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협약상 난민에게 부여되는 권리보호는 받지 못한다.
(3) 기타난민
- 사실상 난민(de facto refugee)
- 국내실향민(IDP internal displaced person)
- 현지난민(refugee sur place)
- 경제난민
- 환경난민
- 궤도난민(refugee of orbit)
- 감정난민(refugee of transit)
4. 난민의 발생과 국제사회의 노력
난민문제가 국제사회에서 본
추천자료
양심적병역거부에 관한 고찰(논문으로 2004년에 본인이 직접통과한 자료입니다)
[탈북자][새터민]탈북자(북한이탈주민, 새터민) 발생원인,현황, 탈북(북한이탈주민, 새터민) ...
(국제법E)조약의 유보에 대하여
[학교체벌금지] 학교체벌금지에 대한 찬반입장과 나의 견해-체벌 전면금지장점단점, 학교체벌...
[행정사례연구 3공통]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갈등사례를 선택하여 사례일...
난민의 정의와 발생원인및 난민수용에 대한 찬성반대의견정리및 난민문제 해결방안연구및 나...
[방통대 2018년 2학기 중간과제물 제3세계의역사와문화] 현재 제주 예멘 난민수용문제가 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