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간과 자연에 대한 서양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현대기술의 발달
1) 기술, 현대기술의 개념
2) 현대기술발달의 전개
(1) 1차 산업혁명 시대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
(2) 2차 산업혁명 시대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3) 정보 혁명 시대 (20세기 중, 후반)
(4) 디지털, 유비쿼터스 혁명 시대 (20세기 후반∼현재)
(5) 4차 산업혁명 (현재~미래)
2. 포스트휴먼의 개요
1) 포스트휴먼의 개념
2) 포스트휴먼의 등장배경
3) 포스트휴먼의 두 갈래
(1) 낙관적 포스트휴먼 - 트랜스휴머니즘
(2) 부정적 포스트휴먼
3.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의 의의와 한계
1)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의 의의
2)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의 한계
Ⅲ. 결론
【 참고자료 】
Ⅱ. 본론
1. 인간과 자연에 대한 서양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현대기술의 발달
1) 기술, 현대기술의 개념
2) 현대기술발달의 전개
(1) 1차 산업혁명 시대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
(2) 2차 산업혁명 시대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3) 정보 혁명 시대 (20세기 중, 후반)
(4) 디지털, 유비쿼터스 혁명 시대 (20세기 후반∼현재)
(5) 4차 산업혁명 (현재~미래)
2. 포스트휴먼의 개요
1) 포스트휴먼의 개념
2) 포스트휴먼의 등장배경
3) 포스트휴먼의 두 갈래
(1) 낙관적 포스트휴먼 - 트랜스휴머니즘
(2) 부정적 포스트휴먼
3.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의 의의와 한계
1)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의 의의
2)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의 한계
Ⅲ. 결론
【 참고자료 】
본문내용
다. 행위는 그것이 속한 맥락 안에서만 의미를 가지며, 따라서 일상세계에서의 행위를 맥락으로부터 떼어내어 객관화, 형식화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드레이퍼스의 AI 비판의 요체는 다음과 같다. 기계는 신체를 지니고 있지 않으며, 그것은 상황 및 맥락에서 독립되어 있고, 인간과 동일한 욕구를 지니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런 토대 위에서 인공지능 연구가 지닌 생물학적, 심리학적, 인식론적, 존재론적 가정을 비판한다. 드레이퍼스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근거하여, 우리가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세계에 살게 되면 우리 존재를 정의해 주고, 인간을 인간으로 구성해주는 가능성을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말하자면 우리와 관련된 정보를 발견하기 위한 신뢰할만한 방식, 기능획득의 능력(전문 기예의 중요성), 현실의식, 그리고 의미 있는 삶을 일구어내는 가능성을 잃게 될 것이라고 한다. 강학순(2015)「현대 기술융합 담론과 하이데거 철학 수용의 문제」현대유럽철학연구 제39집
⑤ 사이버네틱스의 문제
최근 기술공학은 ‘과학에 대한 방법의 승리’가 그 극단적인 가능성에서 실현되고 있는 학문인 사이버네틱스(정보조정학, 인공두뇌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사이버네틱스는 정보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과 기계의 관계가 기능상 서로 대응하는 관계임이 드러나고, 인간의 뇌와 전자계산기의 기능이 닮은 작용을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인간을 일종의 정보 처리 기계로 여기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모든 것이 정보로 처리됨으로서 그것이 지닌 역사성과 고유성이 제거된 무차별적 평준화로 변질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역사와 전승이 다양한 정보를 동일한 형태로 저장해 놓은 그런 장소에서 평균화됨으로서 결국은 마음대로 조정 가능한, 인류가 필요로 하는 불가피한 계획을 위해서 평균화된 정보로서 이용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인간에게는 셈하는 계산적 사유능력 외에도 존재의 진리에 응답하며 존재 현현의 사건에서 존재의 의미를 읽어낼 수 있는 ‘숙고적 사유’도 있다. 우리가 갖고 있는 숙고의 사유능력을 포기하고 기계-인간으로 만족하는 것은 인간으로서의 고유한 본질을 포기해버리는 가장 위험한 직무유기에 해당할 것이다. 이기상(2001)「존재역운으로서의 기술: 사이버시대의 인간의 사명」한국하이데거학회
Ⅲ. 결론
자크 엘륄은 현대의 모든 인간 활동을 기술영역 내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의미의 기술 영역을 인간 본성의 일반적 결과라기보다는 “현대”라고 하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의 결과로 본다. 엘륄은 ‘기술 그 자체’를 강조한다는 것이다.
오늘날 인간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역사상 유래 없는 물질적 풍요 속에서 과거에는 상상도 하지 못할 문명의 편의를 누리고 있다. 수송수단의 첨단화는 일반인들도 지구를 벗어나 우주여행을 할 경지에 이르렀고, 각종 난치병이나 불치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술들에 대한 연구도 그 결실이 맺어지고 있다.
현대기술발달의 전개는 첫째, 1차 산업혁명 시대, 둘째, 2차 산업혁명 시대, 셋째, 정보 혁명 시대, 넷째, 디지털, 유비쿼터스 혁명 시대, 다섯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이다.
포스트휴먼은 인간 ‘이후의’ 인간, ‘탈(脫)인간’ 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 포스트휴먼이 새로운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임과 동시에 이때의 인간이 우리가 생각하는 기존의 인간 개념과는 같지 않으리라는 것을 드러낸다.
포스트휴먼을 바라보는 시선은 낙관론과 비관론으로 양분된다. 낙관적인 관점은 인간의 약점을 극복하고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그 자체를 지향점으로 보고 있으며, 기술약물이식 등에 의해 강화된 신체 혹은 우생학적 존재로 파악한다. 반면에 비관적인 시각은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의 모호한 지점을 혼란과 공포의 눈길로 보는, 다시 말해 인간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인간의 정체성’을 상실하게 할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관점이다.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① 기술의 복합적 활용이 두드러질 것이다. ② 제4차 산업혁명과 새로운 일자리 등장, ③ 포스트휴먼은 인간과 비인간 형태가 공유하는 파트너십이자 둘 사이의 경계에 도전하는 과정이다. ④ 포스트휴먼은 오랜 시간 전 세계를 지배한 이러한 보편적인 휴머니즘의 폭력성과 모순을 드러내면서 인간, 그리고 자연과 문명의 관계를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게 한다.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① 인간의 부품(Bestand)화, 즉 기능화와 획일화이다. ② 인간의 직업이 사라질 수 있다. ③ 현대기술이 엄청난 규모로 확장됨에 따라, 한 개인이나 집단이 특정 기술의 발전 과정에 대해 완전히 파악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④ 인간의 행위는 객관화, 형식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⑤ 사이버네틱스의 문제이다.
【 참고자료 】
강학순(2015)「현대 기술융합 담론과 하이데거 철학 수용의 문제」현대유럽철학연구 제39집
김종선(2008)「현대 기술의 변화와 인텔리전트 웨어에 관한 연구」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8권1호
김진하(2016)「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김태경(2016)「그림책의 포스트휴먼 인물 탐구」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손화철(2007)「인간 통제 벗어난 현대의 기술발전」과학과기술
손화철(2016)「4차 산업혁명과 인문학」한국직업능력개발원
신상희(2007)「하이데거와 신」철학과현실사
이기상(2001)「존재역운으로서의 기술: 사이버시대의 인간의 사명」한국하이데거학회, 존재론 연구 제6집
이화인문과학원(2013)「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전혜숙(2015)「포스트휴먼 시대의 미술」아카넷
정현(2018)「영화에 나타난 주체로서의 포스트휴먼 연구」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경희(2007)「現代技術社會와 敎會의 文化危機에 관한 硏究(자크 엘루의 ‘기술의 역사’ 중심으로)」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경엽(2017)「미래교사의 역할 및 교수역량 구인 타당화」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Rosi Braidotti, The Posthuman, 이경란 역(2015)「포스트휴먼」아카넷
⑤ 사이버네틱스의 문제
최근 기술공학은 ‘과학에 대한 방법의 승리’가 그 극단적인 가능성에서 실현되고 있는 학문인 사이버네틱스(정보조정학, 인공두뇌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사이버네틱스는 정보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과 기계의 관계가 기능상 서로 대응하는 관계임이 드러나고, 인간의 뇌와 전자계산기의 기능이 닮은 작용을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인간을 일종의 정보 처리 기계로 여기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모든 것이 정보로 처리됨으로서 그것이 지닌 역사성과 고유성이 제거된 무차별적 평준화로 변질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역사와 전승이 다양한 정보를 동일한 형태로 저장해 놓은 그런 장소에서 평균화됨으로서 결국은 마음대로 조정 가능한, 인류가 필요로 하는 불가피한 계획을 위해서 평균화된 정보로서 이용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인간에게는 셈하는 계산적 사유능력 외에도 존재의 진리에 응답하며 존재 현현의 사건에서 존재의 의미를 읽어낼 수 있는 ‘숙고적 사유’도 있다. 우리가 갖고 있는 숙고의 사유능력을 포기하고 기계-인간으로 만족하는 것은 인간으로서의 고유한 본질을 포기해버리는 가장 위험한 직무유기에 해당할 것이다. 이기상(2001)「존재역운으로서의 기술: 사이버시대의 인간의 사명」한국하이데거학회
Ⅲ. 결론
자크 엘륄은 현대의 모든 인간 활동을 기술영역 내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의미의 기술 영역을 인간 본성의 일반적 결과라기보다는 “현대”라고 하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의 결과로 본다. 엘륄은 ‘기술 그 자체’를 강조한다는 것이다.
오늘날 인간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역사상 유래 없는 물질적 풍요 속에서 과거에는 상상도 하지 못할 문명의 편의를 누리고 있다. 수송수단의 첨단화는 일반인들도 지구를 벗어나 우주여행을 할 경지에 이르렀고, 각종 난치병이나 불치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술들에 대한 연구도 그 결실이 맺어지고 있다.
현대기술발달의 전개는 첫째, 1차 산업혁명 시대, 둘째, 2차 산업혁명 시대, 셋째, 정보 혁명 시대, 넷째, 디지털, 유비쿼터스 혁명 시대, 다섯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이다.
포스트휴먼은 인간 ‘이후의’ 인간, ‘탈(脫)인간’ 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 포스트휴먼이 새로운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임과 동시에 이때의 인간이 우리가 생각하는 기존의 인간 개념과는 같지 않으리라는 것을 드러낸다.
포스트휴먼을 바라보는 시선은 낙관론과 비관론으로 양분된다. 낙관적인 관점은 인간의 약점을 극복하고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그 자체를 지향점으로 보고 있으며, 기술약물이식 등에 의해 강화된 신체 혹은 우생학적 존재로 파악한다. 반면에 비관적인 시각은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의 모호한 지점을 혼란과 공포의 눈길로 보는, 다시 말해 인간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인간의 정체성’을 상실하게 할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관점이다.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① 기술의 복합적 활용이 두드러질 것이다. ② 제4차 산업혁명과 새로운 일자리 등장, ③ 포스트휴먼은 인간과 비인간 형태가 공유하는 파트너십이자 둘 사이의 경계에 도전하는 과정이다. ④ 포스트휴먼은 오랜 시간 전 세계를 지배한 이러한 보편적인 휴머니즘의 폭력성과 모순을 드러내면서 인간, 그리고 자연과 문명의 관계를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게 한다.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① 인간의 부품(Bestand)화, 즉 기능화와 획일화이다. ② 인간의 직업이 사라질 수 있다. ③ 현대기술이 엄청난 규모로 확장됨에 따라, 한 개인이나 집단이 특정 기술의 발전 과정에 대해 완전히 파악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④ 인간의 행위는 객관화, 형식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⑤ 사이버네틱스의 문제이다.
【 참고자료 】
강학순(2015)「현대 기술융합 담론과 하이데거 철학 수용의 문제」현대유럽철학연구 제39집
김종선(2008)「현대 기술의 변화와 인텔리전트 웨어에 관한 연구」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8권1호
김진하(2016)「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김태경(2016)「그림책의 포스트휴먼 인물 탐구」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손화철(2007)「인간 통제 벗어난 현대의 기술발전」과학과기술
손화철(2016)「4차 산업혁명과 인문학」한국직업능력개발원
신상희(2007)「하이데거와 신」철학과현실사
이기상(2001)「존재역운으로서의 기술: 사이버시대의 인간의 사명」한국하이데거학회, 존재론 연구 제6집
이화인문과학원(2013)「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전혜숙(2015)「포스트휴먼 시대의 미술」아카넷
정현(2018)「영화에 나타난 주체로서의 포스트휴먼 연구」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경희(2007)「現代技術社會와 敎會의 文化危機에 관한 硏究(자크 엘루의 ‘기술의 역사’ 중심으로)」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경엽(2017)「미래교사의 역할 및 교수역량 구인 타당화」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Rosi Braidotti, The Posthuman, 이경란 역(2015)「포스트휴먼」아카넷
추천자료
- 교육의 철학적 기초(연구의의, 이론, 사상)
- 크루즈산업
- 대학교양강좌(대학교양강의)의 의의, 대학교양강좌(대학교양강의)의 서양문학교육과 교양국어...
- 교육행정학의 이론(고전이론, 인간관계론, 행동과학론, 체제이론, 해석이론, 대안적 이론)
- 방송대 중간과제 현대의서양문화 c형 현대기술의 발달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서양의 이해를 ...
- (방통대 현대의서양문화4C형)현대기술의 발달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서양의 이해를 바탕으로 ...
- 2019년 2학기 현대의서양문화 중간시험과제물 C형(현대기술의 발달)
- [현대의서양문화C형] 현대기술의 발달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서양의 이해를 바탕 최근 기술의...
- [방통대 공통학과 4학년 현대의 서양문화 C형] 현대기술의 발달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서양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