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Pathophysiology
2. Chest tube insertion
3. Chest bottle
1) one bottle system
2) TWO bottle system
3) three bottle system
4. Chest bottle 관리 및 주의 사항
2. Chest tube insertion
3. Chest bottle
1) one bottle system
2) TWO bottle system
3) three bottle system
4. Chest bottle 관리 및 주의 사항
본문내용
***Pathophysiology
종격동을 중심으로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뉘며, 오른쪽 폐는 상엽, 중엽 및 하엽 으로, 왼쪽 폐는 상엽 및 하엽 으로 구성되어 있다.
Pleura (흉막 또는 늑막)
:폐를 감싸고 있는 얇은 막.
Parietal pleura (벽측 흉막)
Visceral pleura (장측 흉막)
Pleural space (흉막강)
-Pleural pressure
약 -5mmHg 정도로 유지. (음압)
흡기시 약 -8mmHg
호기시 약 -3mmHg
***Management to CTD
환자 운동시에 bottle이 절대 흉관삽입구보다 위로 가면 안됨.
-물이 증발하기 때문에 멸균증류수를 첨가함으로써 항상 적절한 물의 높이(water level) 가 유지되도록 한다.
-환자가 호흡할 때 또는 기침이나 재채기 시 seal bottle의 물 표면이 오르내리는 움직임이 있는지 관찰한다. (흉강내압의 변화) 공기방울이나 오르내리는 움직임이 없다는 것은 폐가 완전히 재팽창 되어 더 이상 흉관배액이 필요하지않거나, 흉관이 꼬였거나 막혀서 drainage system이 제대로 작동하지않는 것을 의미한다.
-manometer bottle에는 지속적으로 공기방울이 있는 것이 정상이며 이것을 통해 흡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Manometer bottle 에 공기방울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흡인할 공기나 체액이 없거나 누출이 있기 때문에 흡인이 충분히 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환자 이송 중에도 흉관을 잠그지 않도록 한다. 단, 흉관 제거 전 공기나 체액의 재축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4시간 동안 흉 을 잠글 수 있다.
- 처방된 지시에 따라 수집병 안에 있는 체액의 양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배액량이나 배액된 체액의 변화가 있을 경우 즉시 보고한다.
종격동을 중심으로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뉘며, 오른쪽 폐는 상엽, 중엽 및 하엽 으로, 왼쪽 폐는 상엽 및 하엽 으로 구성되어 있다.
Pleura (흉막 또는 늑막)
:폐를 감싸고 있는 얇은 막.
Parietal pleura (벽측 흉막)
Visceral pleura (장측 흉막)
Pleural space (흉막강)
-Pleural pressure
약 -5mmHg 정도로 유지. (음압)
흡기시 약 -8mmHg
호기시 약 -3mmHg
***Management to CTD
환자 운동시에 bottle이 절대 흉관삽입구보다 위로 가면 안됨.
-물이 증발하기 때문에 멸균증류수를 첨가함으로써 항상 적절한 물의 높이(water level) 가 유지되도록 한다.
-환자가 호흡할 때 또는 기침이나 재채기 시 seal bottle의 물 표면이 오르내리는 움직임이 있는지 관찰한다. (흉강내압의 변화) 공기방울이나 오르내리는 움직임이 없다는 것은 폐가 완전히 재팽창 되어 더 이상 흉관배액이 필요하지않거나, 흉관이 꼬였거나 막혀서 drainage system이 제대로 작동하지않는 것을 의미한다.
-manometer bottle에는 지속적으로 공기방울이 있는 것이 정상이며 이것을 통해 흡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Manometer bottle 에 공기방울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흡인할 공기나 체액이 없거나 누출이 있기 때문에 흡인이 충분히 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환자 이송 중에도 흉관을 잠그지 않도록 한다. 단, 흉관 제거 전 공기나 체액의 재축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4시간 동안 흉 을 잠글 수 있다.
- 처방된 지시에 따라 수집병 안에 있는 체액의 양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배액량이나 배액된 체액의 변화가 있을 경우 즉시 보고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