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베이직 교사에게 필요한 10가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사베이직 교사에게 필요한 10가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한 명의 교사가 살아있을 때
1. 한 교사 마인드.

2. 소명의식

소명의식 확인질문

3. 인내
4. 영성

5. 소통
학생들과 쉽게 소통할 수 있는 세 가지 방법

6. 다양성
7. 성장
8. 헌신.
9. 진짜 사랑
10. 비전: 교사세우기.
마치며..

본문내용

를 받고 바른 영성을 가지니, 영혼 사랑의 마음이 생긴 것입니다. 영성은 영혼 사랑의 마음과 직결되는 것입니다. 은혜를 체험하니까, 친구를 전도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는 것입니다.
올바른 영적 체험을 한 사람이라면, 영혼 사랑의 결과물을 만들어 냅니다.
교회에서 이른바 영성있는 사람들을 보면, 기본 신앙생활에 강합니다. 신앙의 기본은 예배, 말씀, 기도라고 생각합니다. 신앙의 기본에 충실한 교사들이 영성이 있고, 부서의 주축으로 섬기는 것을 보게 됩니다.
교사의 영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첫째, 예배를 회복하라.
교사는 은혜를 경험하지 못하면 버틸 수 없는 교회의 3D업종입니다. 교사는 봉사자, 섬기는 자 이전에 예배자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예배를 통해 내가 먼저 은혜를 체험할 때, 학생들에게 나누어줄 수 있는 영적 분량이 생기고, 학생들에게 영적 영향력을 발휘할수있게 됩니다.
둘째, 규칙적 기도시간을 가지라.
매일 기도하는 교사들에게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로 이들은 영적으로 아이들을 책임질 줄 압니다. 둘째, 이들은 내 힘으로 교사의 사명과 교회 사역을 하지 않습니다. 셋째, 이들은 교만하지 않으며, 불평하지 않습니다. 교사로써 지금 큰 힘이 필요하다면, 기도가 유일한 답입니다. 기도하지 않는 교사에게 힘이 주어지지 않스니다. “우리 부서만의 기도의 자리가 있는가? 그 기도의 자리는 사람을 사모하며, 영적인 힘을 얻는 자리인가?”라는 질문에 확실히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도하지 않은 자들이 교사를 하게 되면, 교회에 대한 불평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모든 것을 인간적인 시선으로 보며, 물리적인 잣대로 평가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기도하지 않는 교사들은 모든 것을 편협하게 보며, 이기적으로 해석합니다. 기도가 없을 때, 성령의 도우심으로 사역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기에 쉽게 좌절하게 됩니다.
반대로, 기도하는 교사들이 많아지면, 비록, 교사 수가 적고 부서 예산이 적으며, 아이들이 적어도 그 자체로 감사하며 기쁨으로 사역하게 됩니다. 기도는 내 자신에 대한 영적 눈을 뜨게 할 뿐 아니라, 교회 전체를 믿음의 눈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심어주게 됩니다. 꼭 교회학교 교사는 기도하는 분들이 맡아야 합니다. 특히 교사 라면, 일주일에 아이들을 위해 몇 시간이나 기도하고 있는지 자문자답해야합니다.
만약 지금까지 기도하지 못했다면, 오늘부터 기도하기 바랍니다. 교사가 개인적으로 기도할 때, 지치지 않는 힘이 생기며, 교사 전체가 합심하여 기도할 때, 부서 전체가 살아나는 원동력이 생기게 됩니다.
셋째, 개인 말씀묵상 시간을 확보하라.
교회학교 선생님들 가운데 자신이 묵상한 말씀을 매일 학생들에게 보내주는 선생님이 있는데, 싫어하는 사람보다 좋아하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교회학교 교사가 반드시 말씀을 사랑해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는 교사가 말씀을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말씀이 들어가야 영적인 힘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자기안에서 겪게 되는 내적 갈등이 있고, 가정과 직장 등의 외부에서 오는 갈들이 있습니다. 이때 이 모든 것을 이기는 힘은 말씀밖에 없습니다.
교사의 힘은 말씀에서 나옵니다. 지금 한국 교회 각 부서에 필요한 것은 영적인 힘입니다.
예배와 기도와 말씀을 통해 교사들이 영적으로 무장할 때, 열정적으로 교사 직분을 감당할 수 있고, 교사를 사명으로 받아들여 최선을 다하게되는 것입니다.
5. 소통
“학생들과 소통하는데 성공하게 되면, 학생들의 영적인 문제를 건드릴 수 있게 됩니다. 처음에는 학생들이 좋아하는 이슈를 가지고 접근하지만, 나중에는 그 학생에게 가장 중요한 ‘구원의 문제’를 터치하게 됩니다.
이시대 교회학교 교사들에게 필요한 능력가운데 하나가 소통입니다. ‘소통’이라는 영어 단어(C ommunication)는 라틴어 communis 에서 파생된 단어로 ‘공통의’(common)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무엇인가를 전달하려면, 교사와 학생 사이에 일반성과 공통성이 있어야만합니다. 학생들은 자기와 공통 분모가 있는 사람을 찾고 있습니다. 다른 말로 말하면, 소통을 원하는 것이빈다.
2015년 한 신문 기사를 보니, 갤럽에 의뢰한 설문에 의하면 고등학생이 좋아하는 최고의 교사는 ‘학생들에게 관심을 가져 주는 교사’(47%)였습니다. 이는 ‘잘 가르치는 교사’(28%), 진학지도 및 상담을 잘해주는 교사(8%)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신기한 결과였습니다. 학생들은 교사들이 자신에게 다가와서 소통의 창구를 열어주길 원한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이 시대 문제는 아이들에게 소통할 대상이 없다는 것입니다. 아이들이 스마트 폰이나 컴퓨터 게임과 같은 미디어 중독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소통을 할 만한 사람이 없어서 그렇다는 것입니다. 또한, 요즘 청소년들 가운데 이성에 집중하고 집착하는 아이들이 매우 많습니다. 소통할 대상이 없으니까, 이성친구에게 모든 에너지를 집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문란한 성적 행동으로 연결되기도 합니다. 지금, 우리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사람은 소통 할 수 있는 한 명입니다. 무엇이나 설교도 소통과 연관이 큽니다. 아이들 문화를 이해하고, 아이들의 현재 고민에 대해 늘 관심 갖고, 아이들 눈 높이에서 말씀을 전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소통만 이뤄지게 된다면, 교사의 나이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학생들과 쉽게 소통할 수 있는 세 가지 방법
첫째, 공부하라.
나는 아이들에게 인기 있는 영화를 가장 먼저 봅니다. 그리고 이것을 통해 아이들과 소통해 나갑니다. 대중문화에 대한 부분은 상당히 빠른 속도로 변모하기에 꾸준히 공부하고, 노력하지 않으면, 아이들과 소통하기가 힘들어집니다.
둘째, 학생들을 만나라.
만남 없이 소통은 불가능합니다. 소통에 있어 만남보다 더 큰 요소는 없습니다. 자투리시간에 만나면됩니다. 아이들은 우선순위대로 움직입니다. 좋은 우선순위가 있으면, 아이들은 언제나 바로 움직입니다.
셋째, 아이들과 놀아라.
“아이들과 많이 놀아주는게 중요해요”
함께 놀 때 소통의 파워가 극대화됩니다.
  • 가격2,9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9.11.01
  • 저작시기201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6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