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최근 아동학대의 실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복지론) 최근 아동학대의 실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아동학대의 개념
2.2. 아동학대의 발생원인
2.3. 언론을 통해 본 아동학대의 실태
1) 우리나라 아동학대의 전반적 실태
2) 가정 내 아동학대 실태
3) 교육 및 보육시설 내 아동학대 실태
2.4. 아동학대 예방 방안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2014년 전국 아동학대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피학대아동은 원가정보호가 73%, 분리보호가 26%로, 대부분 원가정에서 보호된다. 원가정보호의 장점도 있지만 재학대발생 측면에서는 위험성이 크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정규석, 위의 논문, p.19
한편 적절한 인력과 재정의 확보는 아동보호체계를 확립해 나가는 데 중요한 기본 틀로써 인력 및 재정에 제한이 있다면 이들의 역량 또한 제한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아동학대 예방 최전선에 있는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들이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어 인적 인프라 구축에 어려움이 크다는 기사가 나왔다. SBS, 아동학대 신고는 느는데…상담원 1명이 1만 명꼴 담당, 2018.5.5.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에 따르면 상담원 1명당 아동 9천 725명을 담당하는 정도의 수준이라고 한다. 상담원들의 살인적인 업무가 개선돼야 한다.
3. 결론
아동학대로 사망한 사례가 평균 매달 1건씩 이를 정도로 우리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아동학대는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이지만 그동안 그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크지 않았다. 아동학대는 가정 내에서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발견되기 어렵다는 속성과 아동 스스로가 인권을 주장하고 방어할 수 없기 때문에 심각성이 크게 인식되지 않았다.
아동학대의 결과는 단순히 육체적인 고통에 그치지 않고 정신적, 발달적 피해를 야기하고 쉽게 치료될 수 없다는 측면에서 그 심각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아이들이 정신 및 신체발달 과정에서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고 자라났을 때,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들을 야기했던 사례를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우리 사회는 더 이상 아동학대 문제를 보고도 모른 척 하거나 침묵해서는 안 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보건복지부, “2017년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아동관리과, 2018
정규석,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효과적 방안\", 여성우리/-(55), 2016., 17-21,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최근 기사(인용순)>
1. 매일경제, [사설] 해마다 증가하는 아동 학대 이대론 안 된다, 2019.5.6.
2. 베이비타임즈, [안전칼럼] 아동학대의 정의 및 유형 (1), 2019.5.20.
3. 동아일보, 늘어나는 아동학대… 가해자 중 ‘부모’가 가장 많은 이유는?, 2019.5.5.
4. 아시아경제, 때리고, 굶기고, 아동학대 하루 60건…5년 새 3배 이상 늘었다, 2019.5.14.
5. 세계일보,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비일비재…형사처벌 강화 vs 보육교사 근로여건 개선, 2019.5.15. 6. YTN, 끊이지 않는 아동학대...대책은 없나, 2019.1.30.
7. 파이낸스투데이, 남인순 \"지난해 아동학대로 30명 사망...5년간 134명 사망\", 2019.5.5.
8. 국민일보, 친부·친모네 전전하다…우리는 왜 12살 소녀를 못 지켰나(인터뷰), 2019.5.4.
9.경기신문, 매년 늘어나는 유치원·어린이집 아동학대, 2018.9.16.
10. SBS, 아동학대 신고는 느는데…상담원 1명이 1만 명꼴 담당, 2018.5.5.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11.13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7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