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약물
4)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5) 특수치료 및 처치
6) 간호과정
6) 간호과정 적용
7) 참고문헌
2) 간호사정
3) 약물
4)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5) 특수치료 및 처치
6) 간호과정
6) 간호과정 적용
7) 참고문헌
본문내용
atelet 의 감소와 MCV, MCH 의 증가로 빈혈이 있음을 예상 할 수 있는데, 빈혈의 종류는 용혈성 빈혈과 vit B12 빈혈으로 예상 할 수 있다. (처음 검사 당시와 비교해 봤을때 HB와 Hct의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 것으로 보아 용혈성 빈혈은 치료가 잘되가고 있다고 예상 할 수 있다.)
(2) 응급 검사
2014년 8월 6일
검사명
결과치
정상치
단위
해석
AST
65 ▲
5~40
IU/L
증가: 급/만성 간염(특히 급성 간염시 현저하게 증가), 간암, 간경화, 담낭염, 심근경색증 의 질병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ALT
29
5~40
IU/L
LD (LDH)
293 ▲
135~250
U/L
증가: 급/만성간염, 악성종양, 간괴사, 뇌혈관장애, 대아구성 빈혈심근경색, 용혈, 백혈병, 신장질환, 폐색전증, 심근염, 근육질환, Shock 의 질병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ALP
463 ▲
40~129
IU/L
증가: 급성간염, 간암, 단도암, 골질환 의 질환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CK
402 ▲
38~160
IU/L
증가: 갑상선 저하증, 뇌혈관 질환, 근골격계 질환 의 질환이 있을 때 수치가 상승하게 된다.
GGT
71 ▲
8~69
IU/L
증가: 폐쇄성 간질환, 알콜성 간장애(지방간), 만성 간질환, 간암 의 질병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Protein, total
6.9
6.0~8.3
g/dL
Albumin
2.7 ▼
3.2~5.2
g/dL
감소: 선천성 간질환, 알부민혈증, 염증성질환, 신증후군, 영양불량, 탈수증, 흡수력 장애, 출혈, 신장염 의 질병이 있을 때 수치가 감소 하게 된다.
Cholesterol
126
120~220
mg/dL
Triglyceride
51
40~194
mg/dL
Glucose
372 ▲
70~110
mg/dL
증가: 간질환, 갑상선 기능항진증, 요독증 의 질병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Bilirubin, total
1.3
0.2~1.4
mg/dL
Bilirubin
( direct)
0.7 ▲
0.0~0.5
mg/dL
증가: 간암, 급성간염, 전격성 간염, 급성지방간, 비대상성간경변, 원발성담즙성간경변, 원발성경화성담관염, 폐쇄성황달 의 질병이 있을 경우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BUN
7.4
5~23
mg/dL
Creatinine
0.87
0.5~1.20
mg/dL
Na
137
135~145
mmol/L
K
4.5
3.5~5.5
mmol/L
Cl
105
96~111
mmol/L
total Co2
24
24~31
mmol/L
종합의의: AST, LD, ALP, GGT, Glucose, Bilirubin(direct) 의 증가와 Albumin의 감소로 이 대상자는 간질환이 있으며 그정도가 심각 하다는 것을 예상 할 수 있고, 간질환의 종류는 급/만성간염, 지방간, 간경화, 간암 등이 있음을 예상 할 수 있다.
2014년 10월 30일
검사명
결과치
정상치
단위
해석
AST
36
5~40
IU/L
ALT
23
5~40
IU/L
LD
196
135~250
U/L
ALP
153 ▲
40~129
IU/L
증가: 급성간염, 간암, 단도암, 골질환 의 질환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CK
52
38~160
IU/L
GGT
49
8~69
IU/L
Protein, total
6.4
6.0~8.3
g/dL
Albumin
2.5 ▼
3.2~5.2
g/dL
감소: 선천성 간질환, 알부민혈증, 염증성질환, 신증후군, 영양불량, 탈수증, 흡수력 장애, 출혈, 신장염 의 질병이 있을 때 수치가 감소 하게 된다.
Cholesterol
109 ▼
120~220
mg/dL
감소: 수치가 증가할땐 문제가 있지만, 감소할땐 아무런 의미도 없다.
Triglyceride
59
40~194
mg/dL
Glucose
92
70~110
mg/dL
Bilirubin
(total)
2.2 ▲
0.2~1.4
mg/dL
증가: 간질환, 폐쇄성황달, 용혈성빈혈 의 질병이 있을 경우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Bilirubin
(direct)
1.1 ▲
0.0~0.5
mg/dL
증가: 간암, 급성간염, 전격성 간염, 급성지방간, 비대상성간경변, 원발성담즙성간경변, 원발성경화성담관염, 폐쇄성황달 의 질병이 있을 경우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BUN
6.3
5~23
mg/dL
Creatinine
0.98
0.5~1.20
mg/dL
Na
139
135~145
mmol/L
K
3.9
3.5~5.5
mmol/L
Cl
105
96~111
mmol/L
total Co2
27
24~31
mmol/L
종합의의: ALP, Bilirubin(total), Bilirubin(direct) 의 증가와 Albumin의 감소로 이 대상자는 간질환이 있으며 그정도가 심각 하다는 것을 예상 할 수 있고, 간질환의 종류는 급성간염, 간암 으로 예상 할 수 있다. (처음 검사당시와 비교 해 봤을때 지방간, 간경화 는 치료가 되었지만, 간암은 아직 진행중이라고 할 수 있다.)
(3) CT 촬영
종류
복부,골반(컴퓨터 단층촬영-CT)
날짜
2014년 8월 21일 (11:16)
목적
CT는 단순 X선 촬영에 비해 구조물이 겹쳐지는 것이 적어 구조물 및 병변을 좀 더 명확히 보기위해 시행된다.
대부분의 장기 및 질환에서 병변이 의심되고 정밀검사를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기본이 되는 검사법이다.
(이 환자의 경우 간암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 결과
1. LC with splenomegaly
Several lipiodol uptake nodules of the liver, Rt.lobe
-Previous MR에서 Hcc로 의심되었던 lesion 들에 lipiodol uptake가 있고 일부 Rt,anterior segment dome portion의 lesion은 partial uptake가 된 것으로 생각함
Small hepatic cysts
2. No partal V. thrombosis
3. Scanty amount of fluid collection in pelvic cavity
검사 결과(해석)
1. 간경화와 비장 비대증
간의 오른후엽에서
(2) 응급 검사
2014년 8월 6일
검사명
결과치
정상치
단위
해석
AST
65 ▲
5~40
IU/L
증가: 급/만성 간염(특히 급성 간염시 현저하게 증가), 간암, 간경화, 담낭염, 심근경색증 의 질병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ALT
29
5~40
IU/L
LD (LDH)
293 ▲
135~250
U/L
증가: 급/만성간염, 악성종양, 간괴사, 뇌혈관장애, 대아구성 빈혈심근경색, 용혈, 백혈병, 신장질환, 폐색전증, 심근염, 근육질환, Shock 의 질병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ALP
463 ▲
40~129
IU/L
증가: 급성간염, 간암, 단도암, 골질환 의 질환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CK
402 ▲
38~160
IU/L
증가: 갑상선 저하증, 뇌혈관 질환, 근골격계 질환 의 질환이 있을 때 수치가 상승하게 된다.
GGT
71 ▲
8~69
IU/L
증가: 폐쇄성 간질환, 알콜성 간장애(지방간), 만성 간질환, 간암 의 질병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Protein, total
6.9
6.0~8.3
g/dL
Albumin
2.7 ▼
3.2~5.2
g/dL
감소: 선천성 간질환, 알부민혈증, 염증성질환, 신증후군, 영양불량, 탈수증, 흡수력 장애, 출혈, 신장염 의 질병이 있을 때 수치가 감소 하게 된다.
Cholesterol
126
120~220
mg/dL
Triglyceride
51
40~194
mg/dL
Glucose
372 ▲
70~110
mg/dL
증가: 간질환, 갑상선 기능항진증, 요독증 의 질병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Bilirubin, total
1.3
0.2~1.4
mg/dL
Bilirubin
( direct)
0.7 ▲
0.0~0.5
mg/dL
증가: 간암, 급성간염, 전격성 간염, 급성지방간, 비대상성간경변, 원발성담즙성간경변, 원발성경화성담관염, 폐쇄성황달 의 질병이 있을 경우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BUN
7.4
5~23
mg/dL
Creatinine
0.87
0.5~1.20
mg/dL
Na
137
135~145
mmol/L
K
4.5
3.5~5.5
mmol/L
Cl
105
96~111
mmol/L
total Co2
24
24~31
mmol/L
종합의의: AST, LD, ALP, GGT, Glucose, Bilirubin(direct) 의 증가와 Albumin의 감소로 이 대상자는 간질환이 있으며 그정도가 심각 하다는 것을 예상 할 수 있고, 간질환의 종류는 급/만성간염, 지방간, 간경화, 간암 등이 있음을 예상 할 수 있다.
2014년 10월 30일
검사명
결과치
정상치
단위
해석
AST
36
5~40
IU/L
ALT
23
5~40
IU/L
LD
196
135~250
U/L
ALP
153 ▲
40~129
IU/L
증가: 급성간염, 간암, 단도암, 골질환 의 질환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CK
52
38~160
IU/L
GGT
49
8~69
IU/L
Protein, total
6.4
6.0~8.3
g/dL
Albumin
2.5 ▼
3.2~5.2
g/dL
감소: 선천성 간질환, 알부민혈증, 염증성질환, 신증후군, 영양불량, 탈수증, 흡수력 장애, 출혈, 신장염 의 질병이 있을 때 수치가 감소 하게 된다.
Cholesterol
109 ▼
120~220
mg/dL
감소: 수치가 증가할땐 문제가 있지만, 감소할땐 아무런 의미도 없다.
Triglyceride
59
40~194
mg/dL
Glucose
92
70~110
mg/dL
Bilirubin
(total)
2.2 ▲
0.2~1.4
mg/dL
증가: 간질환, 폐쇄성황달, 용혈성빈혈 의 질병이 있을 경우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Bilirubin
(direct)
1.1 ▲
0.0~0.5
mg/dL
증가: 간암, 급성간염, 전격성 간염, 급성지방간, 비대상성간경변, 원발성담즙성간경변, 원발성경화성담관염, 폐쇄성황달 의 질병이 있을 경우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BUN
6.3
5~23
mg/dL
Creatinine
0.98
0.5~1.20
mg/dL
Na
139
135~145
mmol/L
K
3.9
3.5~5.5
mmol/L
Cl
105
96~111
mmol/L
total Co2
27
24~31
mmol/L
종합의의: ALP, Bilirubin(total), Bilirubin(direct) 의 증가와 Albumin의 감소로 이 대상자는 간질환이 있으며 그정도가 심각 하다는 것을 예상 할 수 있고, 간질환의 종류는 급성간염, 간암 으로 예상 할 수 있다. (처음 검사당시와 비교 해 봤을때 지방간, 간경화 는 치료가 되었지만, 간암은 아직 진행중이라고 할 수 있다.)
(3) CT 촬영
종류
복부,골반(컴퓨터 단층촬영-CT)
날짜
2014년 8월 21일 (11:16)
목적
CT는 단순 X선 촬영에 비해 구조물이 겹쳐지는 것이 적어 구조물 및 병변을 좀 더 명확히 보기위해 시행된다.
대부분의 장기 및 질환에서 병변이 의심되고 정밀검사를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기본이 되는 검사법이다.
(이 환자의 경우 간암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 결과
1. LC with splenomegaly
Several lipiodol uptake nodules of the liver, Rt.lobe
-Previous MR에서 Hcc로 의심되었던 lesion 들에 lipiodol uptake가 있고 일부 Rt,anterior segment dome portion의 lesion은 partial uptake가 된 것으로 생각함
Small hepatic cysts
2. No partal V. thrombosis
3. Scanty amount of fluid collection in pelvic cavity
검사 결과(해석)
1. 간경화와 비장 비대증
간의 오른후엽에서
키워드
추천자료
간장질환
암 (한글 레포트)
간암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위암][구강암][폐암][식도암][대장암][유방암][자궁암][전립선암][간암]위암의 원인, 구강암...
간경화(Liver Cirrhosis), 정맥류성 정맥(Varicose veins),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
간세포암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 A형간염, B형간염, C형간염, 간경변증 구분
케이스 스터디 - 간세포 암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알코올성 간경변 Alcoholic LC ...
[전염병 관리방법] 소화기계 전염병(장티푸스,콜레라,세균성 식중독), 호흡기계 전염병(감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