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1. 연구의 범위 2
2. 연구의 방법 2
제2장 유통환경의 변화 3
제1절 소비자 환경 변화 3
제2절 유통 인프라 환경 변화 4
제3장 유통기업의 유형 및 현황 5
제1절 대형마트 5
1. 국내 대형마트의 도입과 역사 5
2. 대형마트 점포수 및 매출액 6
3. 대형마트의 온라인몰 진출 7
제2절 기업형 슈퍼마켓 (SSM) 11
1. 국내 SSM의 역사 및 점포 수 11
2. SSM의 유통구조 12
3. SSM의 현황 12
제3절 편의점 13
1. 국내 편의점의 도입과 현황 13
2. 편의점의 고속 성장 16
제 4 절 소셜커머스 17
1. 소셜커머스의 정의 17
2. 소셜커머스의 등장과 성장 원인 19
제 5 절 마켓컬리 22
1. 마켓컬리의 등장 22
2. 마켓컬리로 보는 온라인 전문식품몰의 성장 23
제4장 유통기업의 식품 유통 현황 24
제1절 대형마트 24
1. 식품유통기업으로서의 대형마트 24
2. PB상품의 고품질 가성비화 26
제2절 기업형 슈퍼마켓 (SSM) 27
1. 식품유통기업으로서의 SSM 27
제3절 편의점 28
1. 편의점 성장의 이유 및 간편식의 증가 28
2. 간편식 증가에 따른 편의점 공간의 변화 31
제 4 절 소셜커머스 33
1. 소셜커머스의 신선식품 진출 33
2. 소셜커머스 신선식품 시장 현황 36
제 5 절 마켓컬리 37
1. 온라인 식품 전문 쇼핑몰의 성장 37
제5장 중국 식품유통기업 현황 39
제1절 중국 유통시장의 발전 39
제2절 중국 유통환경 변화 40
제3절 중국 식품유통기업의 업태별 현황 41
1.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대형마트의 움직임 42
2. 온라인 시장의 움직임 45
제6장 결 론 48
참 고 문 헌 49
<표 목 차>
<표 3-1> 각 사 매출액, 당기순이익 추이 14
<표 5-1> 중산층(중국 소득 최상위 10%)의 1인당 소비 지출 40
<표 5-2> 중국 연간 프랜차이즈 유통기업 상품 매출액 41
<표 5-3> 중국 대형마트 카테고리별 매출액 비교 44
[그림목차]
[그림 3-1] 연도별 대형마트 시장 규모 및 성장률 5
[그림 3-2] 연도별 대형마트 주요업체 점포수 현황 6
[그림 3-3] 온라인 쇼핑 매출 추이 8
[그림 3-4] 대형마트 온라인몰 매출비중 8
[그림 3-5] 대형마트-이마트몰 모바일 매출비중 9
[그림 3-6] 대형마트-홈플러스 온라인 매출 9
[그림 3-7] 주요 SSM 영업이익 추이 13
[그림 3-8] 국내 편의점 시장 규모 및 주요 3사 영업이익 15
[그림 3-9] 소매유통 업태별 판매액 성장률 16
[그림 3-10] 소셜커머스 3사 직매입 매출액 추이 18
[그림 3-11] 쿠팡의 다양한 유통망 19
[그림 3-12] 소셜커머스 2017년 경영실적 20
[그림 3-13] 마켓컬리 성장률 & 샛별배송 23
[그림 4-1] 가정간편식 시장 성장률 29
[그림 4-2] 편의점 PB브랜드 매출 현황 30
[그림 4-3] 세븐일레븐 도시락 카페 / 카페형 편의점 더랩 4.0 32
[그림 4-4] 쿠팡의 로켓배송, 샛별배송 34
[그림 4-5] 티몬의 슈퍼예약 배송 35
[그림 4-6] 위메프의 신선식품 직배송 ‘신선생’ 36
[그림 4-7] 마켓컬리의 식품 라벨 분류 38
[그림 5-1] 월마트가 인수한 이하오디엔 / RT마트의 페이뉴 42
[그림 5-2] 영휘마트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타사 비교 성장률 43
[그림 5-3] 중국의 온라인 식품유통 시장 변화 45
[그림 5-4] 중국의 주요 온라인 식품유통 업체 46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1. 연구의 범위 2
2. 연구의 방법 2
제2장 유통환경의 변화 3
제1절 소비자 환경 변화 3
제2절 유통 인프라 환경 변화 4
제3장 유통기업의 유형 및 현황 5
제1절 대형마트 5
1. 국내 대형마트의 도입과 역사 5
2. 대형마트 점포수 및 매출액 6
3. 대형마트의 온라인몰 진출 7
제2절 기업형 슈퍼마켓 (SSM) 11
1. 국내 SSM의 역사 및 점포 수 11
2. SSM의 유통구조 12
3. SSM의 현황 12
제3절 편의점 13
1. 국내 편의점의 도입과 현황 13
2. 편의점의 고속 성장 16
제 4 절 소셜커머스 17
1. 소셜커머스의 정의 17
2. 소셜커머스의 등장과 성장 원인 19
제 5 절 마켓컬리 22
1. 마켓컬리의 등장 22
2. 마켓컬리로 보는 온라인 전문식품몰의 성장 23
제4장 유통기업의 식품 유통 현황 24
제1절 대형마트 24
1. 식품유통기업으로서의 대형마트 24
2. PB상품의 고품질 가성비화 26
제2절 기업형 슈퍼마켓 (SSM) 27
1. 식품유통기업으로서의 SSM 27
제3절 편의점 28
1. 편의점 성장의 이유 및 간편식의 증가 28
2. 간편식 증가에 따른 편의점 공간의 변화 31
제 4 절 소셜커머스 33
1. 소셜커머스의 신선식품 진출 33
2. 소셜커머스 신선식품 시장 현황 36
제 5 절 마켓컬리 37
1. 온라인 식품 전문 쇼핑몰의 성장 37
제5장 중국 식품유통기업 현황 39
제1절 중국 유통시장의 발전 39
제2절 중국 유통환경 변화 40
제3절 중국 식품유통기업의 업태별 현황 41
1.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대형마트의 움직임 42
2. 온라인 시장의 움직임 45
제6장 결 론 48
참 고 문 헌 49
<표 목 차>
<표 3-1> 각 사 매출액, 당기순이익 추이 14
<표 5-1> 중산층(중국 소득 최상위 10%)의 1인당 소비 지출 40
<표 5-2> 중국 연간 프랜차이즈 유통기업 상품 매출액 41
<표 5-3> 중국 대형마트 카테고리별 매출액 비교 44
[그림목차]
[그림 3-1] 연도별 대형마트 시장 규모 및 성장률 5
[그림 3-2] 연도별 대형마트 주요업체 점포수 현황 6
[그림 3-3] 온라인 쇼핑 매출 추이 8
[그림 3-4] 대형마트 온라인몰 매출비중 8
[그림 3-5] 대형마트-이마트몰 모바일 매출비중 9
[그림 3-6] 대형마트-홈플러스 온라인 매출 9
[그림 3-7] 주요 SSM 영업이익 추이 13
[그림 3-8] 국내 편의점 시장 규모 및 주요 3사 영업이익 15
[그림 3-9] 소매유통 업태별 판매액 성장률 16
[그림 3-10] 소셜커머스 3사 직매입 매출액 추이 18
[그림 3-11] 쿠팡의 다양한 유통망 19
[그림 3-12] 소셜커머스 2017년 경영실적 20
[그림 3-13] 마켓컬리 성장률 & 샛별배송 23
[그림 4-1] 가정간편식 시장 성장률 29
[그림 4-2] 편의점 PB브랜드 매출 현황 30
[그림 4-3] 세븐일레븐 도시락 카페 / 카페형 편의점 더랩 4.0 32
[그림 4-4] 쿠팡의 로켓배송, 샛별배송 34
[그림 4-5] 티몬의 슈퍼예약 배송 35
[그림 4-6] 위메프의 신선식품 직배송 ‘신선생’ 36
[그림 4-7] 마켓컬리의 식품 라벨 분류 38
[그림 5-1] 월마트가 인수한 이하오디엔 / RT마트의 페이뉴 42
[그림 5-2] 영휘마트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타사 비교 성장률 43
[그림 5-3] 중국의 온라인 식품유통 시장 변화 45
[그림 5-4] 중국의 주요 온라인 식품유통 업체 46
본문내용
, 쿠팡, 위메프 같은 소셜커머스가 있다. 과거부터 전자상거래의 대표로 자리 잡았던 오픈 마켓은 현재 소셜커머스의 성장에 쫓기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오픈마켓의 사업특성에 기인하는데, 오픈마켓은 중개사업 특성상 상품 품목이 매우 다양하고 양이 방대하다. 또한 PC 웹 기반으로 디자인이 되어 스마트폰 보급과 함께 시작된 모바일 전환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소셜커머스는 서비스 시작부터 모바일, 스마트폰 서비스에 맞춰 디자인과 앱의 편의성이 디자인 됐기 때문에 모바일 환경에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소셜커머스는 성장을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서비스적 요인과 함께 현재 소셜커머스의 성장을 견인한 것은 물류 배송 혁신이다. 바로 당일 배송과 같은 배송시간 단축을 말한다. 2014년 쿠팡은 24시간 내 배송을 걸고 직접 배송으로 ‘로켓배송’을 실시하고 있고, 이와 비슷하게 티몬은 아웃소싱 형태로 ‘슈퍼배송’을 실시하고 있다. 위메프는 당일 배송 시스템인 ‘위메프 플러스’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렇게 3사 모두 빠른 배송 시간을 강점으로 내걸고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소셜커머스 3사간 경쟁에서 배송이 화두로 떠오른 이유는 2014년 쿠팡의 ‘로켓배송’ 때문이다. 쿠팡이 육아 카테고리 내 로켓배송을 실시한 이후 유아용품에서 로켓배송의 장점이 소비자들에게 SNS를 통해 전파되면서 육아용품은 쿠팡이라는 인식이 생기면서 쿠팡 매출은 증가 했다.
쿠팡의 로켓배송을 이용하는 주 고객층은 장보기가 어려운, 유아용품이나 생활필수품을 주로 구매하는 20~30대 여성이다. 육아용품 특성상 한번에 많은 양을 주문하는데 집 앞까지 배송해주는 쿠팡의 로켓배송이 육아하는 여성들의 짐을 덜어줘 각광을 받았다. 실제로 현재 기저귀, 분유와 같은 육아용품의 매출은 쿠팡 전체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로켓배송’이라는 물류 배송 혁신을 통해 쿠팡은 소셜커머스 업체 중 1위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고, 최근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 손정의에게 2조원의 대규모 투자를 받으며 계속해서 외형 성장에 집중하고 있다.
제5절 마켓컬리
1. 마켓컬리의 등장
마켓컬리는 2015년 5월에 설립된 식품 온라인 쇼핑몰로, 현재 소셜커머스와 대형마트가 따라가고자 하는 새벽배송의 시작을 만든 온라인 식품 쇼핑몰이다. 마켓컬리는 70여가지의 자체 기준을 두고 신선식품, 해외식료품, 가정간편식 등을 판매하는 온라인 식품 큐레이션 전문몰이다. 온라인 쇼핑몰로써 국내에 없었던 새로운 신선식품 배송시스템인 ‘샛별배송’을 만들었는데, ‘샛별배송’은 당일 밤 11시까지 주문 시 다음날 오전 7시 이전에 배송을 완료하는 배송이다.
이러한 샛별배송이 가능했던 이유는 상품 입고에서 배송까지 식품유통에 관여하는 전 과정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기술 풀콜드체인(Full Cold-Chain) 시스템을 구축했기 때문인데, 마켓컬리는 처음부터 식품을 유통하고자 하면서, 식품 유통에 반드시 필요한 콜드체인 유통 시스템을 스스로 구축했다. 이를 통해 주문 즉시 다음날 새벽에 배송하는 ‘샛별배송’ 시스템이 가능했으며, 이러한 샛별배송은 낮에 장보기가 어려운 맞벌이부부, 1인가구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어 마켓컬리는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획기적인 시스템을 통해 마켓컬리는 2015년 매출 29억, 2016년 매출 174억, 2017년 매출 465억원으로 콜드체인이 완성된 이후 더욱 더 급격히 성장 중이다.
[그림 3-13] 마켓컬리 성장률 & 샛별배송
출처 : 한국경제, “[마켓인사이트] 2개월 스타트업에 50억 베팅한 VC… 마켓컬리 \'식품배송 혁신\' 밑거름”, 2018.04.23 & 마켓컬리 공식 홈페이지
2. 마켓컬리로 보는 온라인 전문식품몰의 성장
마켓컬리는 설립된지 4년차인 스타트업이지만, 매출액이 올해 1,600억원을 예상하며 급성장하고 있다. 마켓컬리의 성장요인은 앞서 말했듯이 새로운 유통형태를 만들어냈다는 점이다. 기존의 국내 식품 유통은 당일배송이 가장 빠른 서비스였다. 하지만 당일배송도 24시간내 배송이기 때문에 주문 후 익일 오후에 도착하거나 지역에 따라 2일이 걸리기도 한다. 이러한 유통 시스템 속에서는 신선식품 유통이 어려웠다. 그래서 마켓컬리는 풀콜드체인 시스템을 직접 만들었고, 이를 활용해 국내 최초로 새벽배송 ‘샛별배송’ 서비스를 개시했다. 이러한 샛별배송은 낮에 장보기가 어려운 맞벌이부부, 1인가구 뿐만 아니라 장보러 가기가 힘들거나, 귀찮은 주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켰다. 그 결과, 매출액은 급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새벽배송 서비스와 함께, 마켓컬리가 성장한 이유는 바로 ‘상품‘이다. 식품 유통 기업으로 마켓컬리 자체 70개 기준을 통과한 ’좋은 상품‘을 선보인다. 대표적인 예가 한국에서는 소비 경험이 적은 스테이크인 ‘토마호크’ 출시이다.
국내에서는 흔히 볼 수 없었던 스테이크로 해외에서 판매되는 스테이크를 국내에 상품을 만들어 제공한 것이다. 이와 함께, 월별 가격등락 폭이 큰 상추를 24시간 내 배달했다. 이러한 자사만의 상품과 샛별배송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가입자수를 확보하고, 충성고객을 다지고 있어 앞으로 신선식품 유통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통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제4장 유통기업의 식품 유통 현황
제1절 대형마트
1. 식품유통기업으로서의 대형마트
이마트가 창동에 1호점을 내며 국내 대형마트 시장의 시작을 알린 후부터 2000년대 대형마트 성장의 성숙기가 올 때까지 대형마트 내 식품 매출 비중은 70%에 육박했다. 대형마트 기업들은 국내 대형마트 시장이 점차 포화됨에 따라 시장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고급화, 전문화와 같은 새로운 방식으로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이러한 대형마트 기업경영 방식은 식품 매출 비중을 70%에서 50%~60% 사이로 감소시켰다. 식품 매출 비중 자체는 줄어들었으나 대형마트의 총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였고 식품 매출액도 증가하였다. 전체 식품 매출 비중에서 신선식품의 경우 총 매출의 30%를 차지하고 20%는 가공식품이 차지하고 있다.
대형마트의 식품유통기업으로서 역할에서 PB상품은
이는 오픈마켓의 사업특성에 기인하는데, 오픈마켓은 중개사업 특성상 상품 품목이 매우 다양하고 양이 방대하다. 또한 PC 웹 기반으로 디자인이 되어 스마트폰 보급과 함께 시작된 모바일 전환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소셜커머스는 서비스 시작부터 모바일, 스마트폰 서비스에 맞춰 디자인과 앱의 편의성이 디자인 됐기 때문에 모바일 환경에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소셜커머스는 성장을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서비스적 요인과 함께 현재 소셜커머스의 성장을 견인한 것은 물류 배송 혁신이다. 바로 당일 배송과 같은 배송시간 단축을 말한다. 2014년 쿠팡은 24시간 내 배송을 걸고 직접 배송으로 ‘로켓배송’을 실시하고 있고, 이와 비슷하게 티몬은 아웃소싱 형태로 ‘슈퍼배송’을 실시하고 있다. 위메프는 당일 배송 시스템인 ‘위메프 플러스’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렇게 3사 모두 빠른 배송 시간을 강점으로 내걸고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소셜커머스 3사간 경쟁에서 배송이 화두로 떠오른 이유는 2014년 쿠팡의 ‘로켓배송’ 때문이다. 쿠팡이 육아 카테고리 내 로켓배송을 실시한 이후 유아용품에서 로켓배송의 장점이 소비자들에게 SNS를 통해 전파되면서 육아용품은 쿠팡이라는 인식이 생기면서 쿠팡 매출은 증가 했다.
쿠팡의 로켓배송을 이용하는 주 고객층은 장보기가 어려운, 유아용품이나 생활필수품을 주로 구매하는 20~30대 여성이다. 육아용품 특성상 한번에 많은 양을 주문하는데 집 앞까지 배송해주는 쿠팡의 로켓배송이 육아하는 여성들의 짐을 덜어줘 각광을 받았다. 실제로 현재 기저귀, 분유와 같은 육아용품의 매출은 쿠팡 전체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로켓배송’이라는 물류 배송 혁신을 통해 쿠팡은 소셜커머스 업체 중 1위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고, 최근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 손정의에게 2조원의 대규모 투자를 받으며 계속해서 외형 성장에 집중하고 있다.
제5절 마켓컬리
1. 마켓컬리의 등장
마켓컬리는 2015년 5월에 설립된 식품 온라인 쇼핑몰로, 현재 소셜커머스와 대형마트가 따라가고자 하는 새벽배송의 시작을 만든 온라인 식품 쇼핑몰이다. 마켓컬리는 70여가지의 자체 기준을 두고 신선식품, 해외식료품, 가정간편식 등을 판매하는 온라인 식품 큐레이션 전문몰이다. 온라인 쇼핑몰로써 국내에 없었던 새로운 신선식품 배송시스템인 ‘샛별배송’을 만들었는데, ‘샛별배송’은 당일 밤 11시까지 주문 시 다음날 오전 7시 이전에 배송을 완료하는 배송이다.
이러한 샛별배송이 가능했던 이유는 상품 입고에서 배송까지 식품유통에 관여하는 전 과정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기술 풀콜드체인(Full Cold-Chain) 시스템을 구축했기 때문인데, 마켓컬리는 처음부터 식품을 유통하고자 하면서, 식품 유통에 반드시 필요한 콜드체인 유통 시스템을 스스로 구축했다. 이를 통해 주문 즉시 다음날 새벽에 배송하는 ‘샛별배송’ 시스템이 가능했으며, 이러한 샛별배송은 낮에 장보기가 어려운 맞벌이부부, 1인가구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어 마켓컬리는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획기적인 시스템을 통해 마켓컬리는 2015년 매출 29억, 2016년 매출 174억, 2017년 매출 465억원으로 콜드체인이 완성된 이후 더욱 더 급격히 성장 중이다.
[그림 3-13] 마켓컬리 성장률 & 샛별배송
출처 : 한국경제, “[마켓인사이트] 2개월 스타트업에 50억 베팅한 VC… 마켓컬리 \'식품배송 혁신\' 밑거름”, 2018.04.23 & 마켓컬리 공식 홈페이지
2. 마켓컬리로 보는 온라인 전문식품몰의 성장
마켓컬리는 설립된지 4년차인 스타트업이지만, 매출액이 올해 1,600억원을 예상하며 급성장하고 있다. 마켓컬리의 성장요인은 앞서 말했듯이 새로운 유통형태를 만들어냈다는 점이다. 기존의 국내 식품 유통은 당일배송이 가장 빠른 서비스였다. 하지만 당일배송도 24시간내 배송이기 때문에 주문 후 익일 오후에 도착하거나 지역에 따라 2일이 걸리기도 한다. 이러한 유통 시스템 속에서는 신선식품 유통이 어려웠다. 그래서 마켓컬리는 풀콜드체인 시스템을 직접 만들었고, 이를 활용해 국내 최초로 새벽배송 ‘샛별배송’ 서비스를 개시했다. 이러한 샛별배송은 낮에 장보기가 어려운 맞벌이부부, 1인가구 뿐만 아니라 장보러 가기가 힘들거나, 귀찮은 주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켰다. 그 결과, 매출액은 급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새벽배송 서비스와 함께, 마켓컬리가 성장한 이유는 바로 ‘상품‘이다. 식품 유통 기업으로 마켓컬리 자체 70개 기준을 통과한 ’좋은 상품‘을 선보인다. 대표적인 예가 한국에서는 소비 경험이 적은 스테이크인 ‘토마호크’ 출시이다.
국내에서는 흔히 볼 수 없었던 스테이크로 해외에서 판매되는 스테이크를 국내에 상품을 만들어 제공한 것이다. 이와 함께, 월별 가격등락 폭이 큰 상추를 24시간 내 배달했다. 이러한 자사만의 상품과 샛별배송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가입자수를 확보하고, 충성고객을 다지고 있어 앞으로 신선식품 유통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통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제4장 유통기업의 식품 유통 현황
제1절 대형마트
1. 식품유통기업으로서의 대형마트
이마트가 창동에 1호점을 내며 국내 대형마트 시장의 시작을 알린 후부터 2000년대 대형마트 성장의 성숙기가 올 때까지 대형마트 내 식품 매출 비중은 70%에 육박했다. 대형마트 기업들은 국내 대형마트 시장이 점차 포화됨에 따라 시장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고급화, 전문화와 같은 새로운 방식으로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이러한 대형마트 기업경영 방식은 식품 매출 비중을 70%에서 50%~60% 사이로 감소시켰다. 식품 매출 비중 자체는 줄어들었으나 대형마트의 총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였고 식품 매출액도 증가하였다. 전체 식품 매출 비중에서 신선식품의 경우 총 매출의 30%를 차지하고 20%는 가공식품이 차지하고 있다.
대형마트의 식품유통기업으로서 역할에서 PB상품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