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만 3세 누리과정에 대해
본론
- 만 3세 대상 생활주제전개
- 만 3세 대상 월간계획안
- 만 3세 대상 주간보육 계획안
결론
- 주제선정이유
출처 및 참고문헌
- 만 3세 누리과정에 대해
본론
- 만 3세 대상 생활주제전개
- 만 3세 대상 월간계획안
- 만 3세 대상 주간보육 계획안
결론
- 주제선정이유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육계획안
생활주제
동식물과 자연
교육목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동물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낀다.
동물을 사랑하는 태도를 가진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식물과 즐거움을 느낀다.
식물의 아름다움을 탐구한다.
주
1주
2주
3주
4주
주제
동물과 우리의 생활
식물과 우리의 생활
등원
옷에 달린 단추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인사해요
부모님께 고개 숙여 인사해요
신체운동
2-2) 나는 동물이예요
2-16) 동물의 기분을 몸짓으로 말해요
3-4) 나뭇잎 모빌을 만들어요
3-16) 과일 카나페를 만들어 먹어요
언어
2-3) 동물과 함께라면 즐거워요
2-8) 내가 좋아하는 동물 모양 점토 만들기
2-4) 내가 만약에 동물이면
2-11) 동물과 친구가 되어요
예술
2-2) 나는 동물이예요
1-10)동물의 발자국을 따라가요
2-1) 동물이 병원에 왔어요
1-9)동물소리
사회관계
2-2) 나는 동물이예요
2-5) 동물과 함께해요
2-9) 내가 만약 동물이라면 어땠을까요?
2-11) 동물과 친구가 되어요
자연탐구
2-17) 수의사 선생님
3-3) 김치는 어떻게 만들어진 걸까요
3-4) 나뭇잎 모빌을 만들어요
3-16) 과일 카나페를 만들어 먹어요
실외놀이
3-1) 꽃밭을 만들어요
3-6) 새싹 채소를 키워요
기본생활
내 신발장에 내 신발을 올바르게 넣어요
안전교육
태풍 비상대응
신나는 텃발 안전하게 놀아요
귀가
선생님께 고개 숙여 인사해요
부모님께 ‘다녀왔습니다 인사해요
이와 같이, 만 3세 유아는 추상적인 개념보다는 직접적인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일상생활 속에서 동식물과 자연을 구체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내용이 그렇기 때문이다. 유아들이 친근한 주위의 자연들과 함께하도록 한다. 생활 주제 동식물과 자연은 독립적인 전개가 가능하지만, 다른 생활 주제들과 연계가 가능하다 독립적인 주제로 전개할 경우에는 나와 가족,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의 친구들 교육 이후에 하는 것이 좋다. 나와는 다른 생김새를 가지고 있는 동식물보다는 사람이 더 친근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관계를 원만하게 하고 다음에는 주변에 있는 동식물을 탐구하는 방향으로 교육한다. 유아에 따라서는 흥미와 능력에 따라 주제 확장 및 축소, 통합을 하여 교사 재량으로 전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아가 어느 특정한 동식물에 집중한다면 그 동식물에 대한 심층적인 탐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향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동이 지렁이에 대해 집중해서 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면 지렁이의 자연에서의 일과 지렁이에 대한 생명 존중을 가르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환형 동물 및 곤충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는 방법도 좋다. 지렁이에 대해 모두가 관심갖지는 않을 것이므로 개개인의 아이들 취향을 존중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주간 교육계획안 예시 동물과 우리의 생활
생활주제
동식물과 자연
주제
동물과 우리의 생활
목표
동물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요.
동물을 괴롭히지 않아요.
동물을 대할 때에는 안전하게 다가가요.
주변에서 보는 동물친구들과 함께해요.
요일
월
화
수
목
금
소주제
동물을 바르게 대해주세요.
동물과 함께해요
쌓기 놀이
우리 어린이 집의 초롱이 집을 지어줘요
동물농장 꾸미기
역할놀이
동물병원 수의사 선생님이 되어 봐요
내가 동물이라면 어땠을까요?
(동물 역할 놀이)
언어
동물과 함께 해요
내가 좋아하는 동물을 친구들에게 설명해요
내가 동물이라면 어땠을까요?
(동물 역할 놀이)
수학
동물에게 간식을 얼마나 주었나요?
기린의 키와 똑같이 쌓아요
동물을 사랑해요
과학
달팽이를 돌봐요
장수풍뎅이 애벌레를 관찰해요
사슴벌레 애벌레를 관찰해요
미술
내가 좋아하는 동물 점토놀이
내가 좋아하는 곤충 그리고 색칠하기
음악
여러 가지 악기와 입소리로 동물 흉내 내기
음악 집단활동
동물의 기분을 다양하게 표현해요
아침방아 찧어라 /
놀아줄게 깽깽
게임
좋아하는 동물 그림자 찾기
같은 동물 그림카드 찾기
동화/동시/연극
동시) 친구하려고
이야기 나누기
동물을 바르게 대해주세요
귀여운 아기 동물들
그 때 그 동물의 기분은 어땠을까
현장체험
동물병원 체험하기
Ⅲ. 결론 - “동식물과 자연” 주제선정의 이유
스스로 생명력을 갖고 인공적이지 않은 생명체는 영아들에게 호기심의 대상이 된다. 앞으로 살아나가면서 사람 이외의 다른 자연의 생명체들과 함께하는 데에 필요한 자세를 배우도록 에 있다. 특히 동물의 경우 움직임이 있어 영아들이 더욱 흥미를 갖는데, 개, 고양이 등의 일상에 볼 수 있는 동물들에게 대하는 옳은 태도를 알게 하여 동시에 사회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단순히 호기심을 부르는 ‘장난감’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개념의 ‘친구’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움직이는 것에 대해 더 관심을 보이는 만 3세의 영아특성이 있어서 동식물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탐색욕구의 수준이 많이 차이날 수는 있다. 하지만 식물에 대해 오감을 사용하여 느끼게 함으로서 스스로 식물에 대한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식물에 대한 이러한 경험과 교육으로 식물은 살아있는 생명체이며 함께 살아가는 존재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동식물들이 함께하는 삶의 즐거움을 알려주고 중요한 것임을 깨닫는 것이 이 “동식물과 자연” 생활주제를 선정한 이유이다. 특히 주간 보육계획표의 경우, 동식물과 자연주제에서 4가지 소주제(궁금한 동식물, 동물과 우리의 생활, 식물과 우리의 생활, 자연과 더불어 사는 우리)중에 동물과 우리의 생활주제를 정하였다. 이 생활주제는 다른 소주제보다 더욱 동물에 대해 집중하는 주제이다. 동물을 친숙하게 느끼고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삶의 즐거움과 중요함을 깨닫게 한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동물들로 동물에 대한 호기심, 그리고 생명의 소중함과 소중한 것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해야 하는지 학습한다. 이 주제를 배울 특히 만 3세 영아는 동물과 본인의 생활에서 아직 쌍방의 소통관계를 이루지 못한다. 그래서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동물을 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여치를 잡아 여치가 즐겁게 느끼게 해주기 위해 함께 물에 빠뜨려서 본의가 아니게 죽여 버린다거나 강아지가 도망가는 것을 노는 것으로 생각하고 꼬리를 잡으려고
생활주제
동식물과 자연
교육목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동물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낀다.
동물을 사랑하는 태도를 가진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식물과 즐거움을 느낀다.
식물의 아름다움을 탐구한다.
주
1주
2주
3주
4주
주제
동물과 우리의 생활
식물과 우리의 생활
등원
옷에 달린 단추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인사해요
부모님께 고개 숙여 인사해요
신체운동
2-2) 나는 동물이예요
2-16) 동물의 기분을 몸짓으로 말해요
3-4) 나뭇잎 모빌을 만들어요
3-16) 과일 카나페를 만들어 먹어요
언어
2-3) 동물과 함께라면 즐거워요
2-8) 내가 좋아하는 동물 모양 점토 만들기
2-4) 내가 만약에 동물이면
2-11) 동물과 친구가 되어요
예술
2-2) 나는 동물이예요
1-10)동물의 발자국을 따라가요
2-1) 동물이 병원에 왔어요
1-9)동물소리
사회관계
2-2) 나는 동물이예요
2-5) 동물과 함께해요
2-9) 내가 만약 동물이라면 어땠을까요?
2-11) 동물과 친구가 되어요
자연탐구
2-17) 수의사 선생님
3-3) 김치는 어떻게 만들어진 걸까요
3-4) 나뭇잎 모빌을 만들어요
3-16) 과일 카나페를 만들어 먹어요
실외놀이
3-1) 꽃밭을 만들어요
3-6) 새싹 채소를 키워요
기본생활
내 신발장에 내 신발을 올바르게 넣어요
안전교육
태풍 비상대응
신나는 텃발 안전하게 놀아요
귀가
선생님께 고개 숙여 인사해요
부모님께 ‘다녀왔습니다 인사해요
이와 같이, 만 3세 유아는 추상적인 개념보다는 직접적인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일상생활 속에서 동식물과 자연을 구체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내용이 그렇기 때문이다. 유아들이 친근한 주위의 자연들과 함께하도록 한다. 생활 주제 동식물과 자연은 독립적인 전개가 가능하지만, 다른 생활 주제들과 연계가 가능하다 독립적인 주제로 전개할 경우에는 나와 가족,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의 친구들 교육 이후에 하는 것이 좋다. 나와는 다른 생김새를 가지고 있는 동식물보다는 사람이 더 친근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관계를 원만하게 하고 다음에는 주변에 있는 동식물을 탐구하는 방향으로 교육한다. 유아에 따라서는 흥미와 능력에 따라 주제 확장 및 축소, 통합을 하여 교사 재량으로 전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아가 어느 특정한 동식물에 집중한다면 그 동식물에 대한 심층적인 탐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향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동이 지렁이에 대해 집중해서 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면 지렁이의 자연에서의 일과 지렁이에 대한 생명 존중을 가르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환형 동물 및 곤충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는 방법도 좋다. 지렁이에 대해 모두가 관심갖지는 않을 것이므로 개개인의 아이들 취향을 존중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주간 교육계획안 예시 동물과 우리의 생활
생활주제
동식물과 자연
주제
동물과 우리의 생활
목표
동물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요.
동물을 괴롭히지 않아요.
동물을 대할 때에는 안전하게 다가가요.
주변에서 보는 동물친구들과 함께해요.
요일
월
화
수
목
금
소주제
동물을 바르게 대해주세요.
동물과 함께해요
쌓기 놀이
우리 어린이 집의 초롱이 집을 지어줘요
동물농장 꾸미기
역할놀이
동물병원 수의사 선생님이 되어 봐요
내가 동물이라면 어땠을까요?
(동물 역할 놀이)
언어
동물과 함께 해요
내가 좋아하는 동물을 친구들에게 설명해요
내가 동물이라면 어땠을까요?
(동물 역할 놀이)
수학
동물에게 간식을 얼마나 주었나요?
기린의 키와 똑같이 쌓아요
동물을 사랑해요
과학
달팽이를 돌봐요
장수풍뎅이 애벌레를 관찰해요
사슴벌레 애벌레를 관찰해요
미술
내가 좋아하는 동물 점토놀이
내가 좋아하는 곤충 그리고 색칠하기
음악
여러 가지 악기와 입소리로 동물 흉내 내기
음악 집단활동
동물의 기분을 다양하게 표현해요
아침방아 찧어라 /
놀아줄게 깽깽
게임
좋아하는 동물 그림자 찾기
같은 동물 그림카드 찾기
동화/동시/연극
동시) 친구하려고
이야기 나누기
동물을 바르게 대해주세요
귀여운 아기 동물들
그 때 그 동물의 기분은 어땠을까
현장체험
동물병원 체험하기
Ⅲ. 결론 - “동식물과 자연” 주제선정의 이유
스스로 생명력을 갖고 인공적이지 않은 생명체는 영아들에게 호기심의 대상이 된다. 앞으로 살아나가면서 사람 이외의 다른 자연의 생명체들과 함께하는 데에 필요한 자세를 배우도록 에 있다. 특히 동물의 경우 움직임이 있어 영아들이 더욱 흥미를 갖는데, 개, 고양이 등의 일상에 볼 수 있는 동물들에게 대하는 옳은 태도를 알게 하여 동시에 사회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단순히 호기심을 부르는 ‘장난감’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개념의 ‘친구’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움직이는 것에 대해 더 관심을 보이는 만 3세의 영아특성이 있어서 동식물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탐색욕구의 수준이 많이 차이날 수는 있다. 하지만 식물에 대해 오감을 사용하여 느끼게 함으로서 스스로 식물에 대한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식물에 대한 이러한 경험과 교육으로 식물은 살아있는 생명체이며 함께 살아가는 존재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동식물들이 함께하는 삶의 즐거움을 알려주고 중요한 것임을 깨닫는 것이 이 “동식물과 자연” 생활주제를 선정한 이유이다. 특히 주간 보육계획표의 경우, 동식물과 자연주제에서 4가지 소주제(궁금한 동식물, 동물과 우리의 생활, 식물과 우리의 생활, 자연과 더불어 사는 우리)중에 동물과 우리의 생활주제를 정하였다. 이 생활주제는 다른 소주제보다 더욱 동물에 대해 집중하는 주제이다. 동물을 친숙하게 느끼고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삶의 즐거움과 중요함을 깨닫게 한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동물들로 동물에 대한 호기심, 그리고 생명의 소중함과 소중한 것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해야 하는지 학습한다. 이 주제를 배울 특히 만 3세 영아는 동물과 본인의 생활에서 아직 쌍방의 소통관계를 이루지 못한다. 그래서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동물을 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여치를 잡아 여치가 즐겁게 느끼게 해주기 위해 함께 물에 빠뜨려서 본의가 아니게 죽여 버린다거나 강아지가 도망가는 것을 노는 것으로 생각하고 꼬리를 잡으려고
추천자료
(교직실무 B형) 만 3세반 생활주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주제선정 이유와 주요 내용을 포...
[2019 교직실무3C] 만 5세반 생활주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주제선정이유와 주요내용을 ...
[2019 교직실무3B][출처표기] 만 3세반 생활주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주제선정이유와 주...
교직 ) 만 3세반 생활주제 교육계획안 작성
[방통대 유아교육과 3학년 교직실무 B형] 만 3세반 생활주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주제선...
[방통대 유아교육과 3학년 교직실무 C형] 만 5세반 생활주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주제선...
[교직실무 B형] 만 3세반 생활주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