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시한 검사명, 검사 일시와 장소
2. 해당 검사를 선택한 이유
3. 검사실시 방법
4. 검사결과 요약
5. 검사를 통해 자신에 대해 알게 된 점, 느낀 점, 향후 계획
2. 해당 검사를 선택한 이유
3. 검사실시 방법
4. 검사결과 요약
5. 검사를 통해 자신에 대해 알게 된 점, 느낀 점, 향후 계획
본문내용
맡기려는 성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상의 부담스러운 선택을 타인에게 의지하여 점수가 같이 올라가는 경우가 많은데 나의 점수는 60점으로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내가 의지할 대상이 항상 있기를 원하고 있는 상태라고 한다.
타인에 대한 불신과 추측이나 경계심에 대한 의심의 백분위 점수는 55점으로 관계속에서 경계심을 가지고 있지만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정도이며 높은 경우는 타인에 대한 경계심 의심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원망과 복수심 및 억울함, 타인은 나를 공격하는 대상이라는 생각과 수동 공격성에 대한 척도를 평가하는 공격성은 타인에 대한 직접/수동적인 공격성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으로 생활 속 무의식에서 튀어나올 수 있는 확률이 높지만 직접 행동했는가 보다는 마음 속 안에 그런 부분들이 있는지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50점의 경우 공격적인 생각들이 종종 있지만 그 정도가 심각하지 않은 정도라고 한다.
개인 성향은 내향과 외향으로 나누어 백분위수가 나왔는데 내향은 내면에 대한 관심정도로 독립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소수 관계를 원하지만 사람을 싫어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외향은 관심이 외부에 대한 것으로 관계 중심의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관계를 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혼자가 두려운 상태인 것은 아니다.
나는 내향이 82점, 외향은 17점으로 나타났다. 높은 점수를 가진 쪽이 내가 가진 성향이라고 할 수 있으며 내향의 경우 사람들과의 관계보다는 혼자서 하기를 원하고 즐기는 편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한다. 혼자 있을 공간과 시간을 갖는 것을 필요로 하고 좋아하지만 타인과의 관계를 꼭 싫어한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외향의 성향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실시한 검사에 대한 신뢰성은 0.25로 점수가 0.80에서 1.00 사이로 높으면 나의 문제를 숨기려고 하고 건강한 상태의 사람으로 보이고 싶은 욕구들이 영향을 줄 수 있는 점수라고 한다.
최종적인 결과에 대한 상담사의 의견을 정리해보면 겉으론 들어나지 않지만 우울감과 자존감, 대인관계에 대한 불편함이 가장 큰 문제로 보인다고 말한다. 우울감이나 무기력한 상태와 부정적인 생각이 높은 수준이고, 자존감이 낮은 상태여서 무기력하거나 희망을 갖기 어려운 침체된 기분을 느끼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혼자가 편한 내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관계에 신경을 쓰지 않는 편은 아니라 대인관계에서 불편하거나 갈등상황이 생길 경우 회피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어 혼자 버티기 힘들어도 타인에게 힘을 얻고자 하거나 도움을 받는 것이 쉽지 않고, 타인에게 의지하고 싶은 마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천으로 옮기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상태라고 이야기했다.
물론 이런 나 스스로에 대해 더 잘할 수 있고 더 건강한 상태가 되기를 닦달하거나 강요하기보다는 지금까지의 나를 칭친하고 앞으로 더 잘해낼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타인의 시선에 따라 나를 맞추는 것이 아니라 내가 할 수 있는 수준에 맞춰 작은 것부터 시작하면 지금의 상태가 좀 더 개선될 수 있다고 봤다.
5) 검사를 통해 자신에 대해 알게 된 점, 느낀 점, 향후 계획
내가 평소에 제대로 인지하고 있지 못했던 나의 상황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받고, 내가 가진 문제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생각보다 우울감이 높고 자존감이 상당히 낮은 편이라는 점에서 나를 좀 더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고 내가 좀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평소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나의 성향에 대해서도 다시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됐고, 그동안 나의 인간관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
타인에 대한 불신과 추측이나 경계심에 대한 의심의 백분위 점수는 55점으로 관계속에서 경계심을 가지고 있지만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정도이며 높은 경우는 타인에 대한 경계심 의심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원망과 복수심 및 억울함, 타인은 나를 공격하는 대상이라는 생각과 수동 공격성에 대한 척도를 평가하는 공격성은 타인에 대한 직접/수동적인 공격성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으로 생활 속 무의식에서 튀어나올 수 있는 확률이 높지만 직접 행동했는가 보다는 마음 속 안에 그런 부분들이 있는지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50점의 경우 공격적인 생각들이 종종 있지만 그 정도가 심각하지 않은 정도라고 한다.
개인 성향은 내향과 외향으로 나누어 백분위수가 나왔는데 내향은 내면에 대한 관심정도로 독립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소수 관계를 원하지만 사람을 싫어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외향은 관심이 외부에 대한 것으로 관계 중심의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관계를 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혼자가 두려운 상태인 것은 아니다.
나는 내향이 82점, 외향은 17점으로 나타났다. 높은 점수를 가진 쪽이 내가 가진 성향이라고 할 수 있으며 내향의 경우 사람들과의 관계보다는 혼자서 하기를 원하고 즐기는 편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한다. 혼자 있을 공간과 시간을 갖는 것을 필요로 하고 좋아하지만 타인과의 관계를 꼭 싫어한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외향의 성향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실시한 검사에 대한 신뢰성은 0.25로 점수가 0.80에서 1.00 사이로 높으면 나의 문제를 숨기려고 하고 건강한 상태의 사람으로 보이고 싶은 욕구들이 영향을 줄 수 있는 점수라고 한다.
최종적인 결과에 대한 상담사의 의견을 정리해보면 겉으론 들어나지 않지만 우울감과 자존감, 대인관계에 대한 불편함이 가장 큰 문제로 보인다고 말한다. 우울감이나 무기력한 상태와 부정적인 생각이 높은 수준이고, 자존감이 낮은 상태여서 무기력하거나 희망을 갖기 어려운 침체된 기분을 느끼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혼자가 편한 내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관계에 신경을 쓰지 않는 편은 아니라 대인관계에서 불편하거나 갈등상황이 생길 경우 회피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어 혼자 버티기 힘들어도 타인에게 힘을 얻고자 하거나 도움을 받는 것이 쉽지 않고, 타인에게 의지하고 싶은 마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천으로 옮기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상태라고 이야기했다.
물론 이런 나 스스로에 대해 더 잘할 수 있고 더 건강한 상태가 되기를 닦달하거나 강요하기보다는 지금까지의 나를 칭친하고 앞으로 더 잘해낼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타인의 시선에 따라 나를 맞추는 것이 아니라 내가 할 수 있는 수준에 맞춰 작은 것부터 시작하면 지금의 상태가 좀 더 개선될 수 있다고 봤다.
5) 검사를 통해 자신에 대해 알게 된 점, 느낀 점, 향후 계획
내가 평소에 제대로 인지하고 있지 못했던 나의 상황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받고, 내가 가진 문제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생각보다 우울감이 높고 자존감이 상당히 낮은 편이라는 점에서 나를 좀 더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고 내가 좀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평소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나의 성향에 대해서도 다시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됐고, 그동안 나의 인간관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