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델마와루이스 감상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델마와루이스 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홍종두, 그는 단지 공주를 사랑할 뿐이다! ‘강간=사랑’ 이게 남성의 잘못된 성과 사랑에 대한 편견이라고? 천만에 말씀, 사랑 없는 섹스도 존재한다. 강간으로 시작된 사랑이라고 해도 사랑 그 자체를 부정할 수는 없다.
종두의 정체성 추구가 비교적 이해하기 쉽고 안정된 주체성의 틀 안에서 이루어진다면, 공주의 정체성 추구는 불확실하고 파열적이며, 유동적인 틀 안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영화는 종두를 중심으로 구성되어지고 이에 비해 공주의 훨씬 단편적이고 에피소드적이다. 빈번한 생략구조에 놓이는 공주는 종두로부터 성폭력을 당했을 때 얼마나 치욕스럽고 분노가 치밀어 오르는지를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얻지 못한다. 혹은 어떻게 성폭력 치유의 과정을 겪으며 종두와 애인관계로 발전하게 되는지 우리는 전혀 알 수가 없다. 경찰서에서 “넌 저 애를 보면 솔직히 성욕이 생기냐.” 라며 들으라는 듯이 내뱉는 경찰관의 말을 들으며 또한 어떤 모욕감이 생기는지 또한, 카메라는 공주를 잡지 않는다. 종두가 밤길을 걷는 여성들을 협박하여 휴대폰을 뺏는 장면은 또한 어떠한가. 철저히 종두의 시각으로 이해되고 전개되는 장면은 일상적인 폭력과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여성들의 입장을 모두 생략한다. 이러한 남성 중심적 내러티브는 중립적인 척 속임수를 써서 관객을 침묵하게
*참고문헌
『여성문화연구소』,「여성세상 주제토론-우리는 오아시스를 버린다.」, 여성해방연, 2003.05.23
『여성권에 기반한 성적 차이의 윤리』
『서평: 후기 근대의 페미니즘 담론』, 이수자 著, 한국여성학 20권 2호 pp.247~250, 한국여성학회, 2004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0.01.09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22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