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의미 변화의 유형
1. 의미의 확대
2. 의미의 축소
3. 의미의 전이
Ⅱ.본문 -의미 변화의 원인
1. 언어적 원인
2. 역사적 원인
3. 사회적 원인
4. 심리적 원인
Ⅲ.결론
Ⅳ.참고문헌
1. 의미의 확대
2. 의미의 축소
3. 의미의 전이
Ⅱ.본문 -의미 변화의 원인
1. 언어적 원인
2. 역사적 원인
3. 사회적 원인
4. 심리적 원인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유형 중 다른 의미로 바뀐 경우는 원래의 의미(또는 중심적 의미)에서 비유적 의미(또는 주변적 의미)로 번져 쓰이다가 원래의 의미가 소멸되고 비유적 의미가 원래의 의미처럼 되는 현상이 몇 번 반복되는 결과로 생긴다고 볼 수 있다.
예) <외도> - ‘불교 이외의 다른 종교’ --> 바람을 피우다
--> 올바른 길을 가지 않다
<호스테스> - ‘손님을 접대하는 여자 주인’ --> 술집의 여자종업원
<마누라> - (조선시대) ‘귀인의 존칭’ --> (오늘날) ‘부인의 비칭’
<계집> - (중세 한국어) ‘여자의 통칭’ --> (오늘날) ‘여성을 경멸하는 의미’
<어리석다> - (중세 한국어) ‘어리다’ --> (오늘날) ‘어리석다’
<어엿브다> - (중세 한국어) ‘불쌍하다’ --> (오늘날) 예쁘다‘
Ⅱ.본문
의미 변화의 원인
1. 언어적 원인
첫째, 동의 관계의 단어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동의 경쟁을 들 수 있다.
예) (중세 국어) - < 힘 [力], [筋]>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자어 ‘근육’과는 부분적 동의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한자어 ‘근육’이 활발하게 쓰이면서 ‘근[筋]’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또 국어의 남부방언에서 “형이 동생을
예) <외도> - ‘불교 이외의 다른 종교’ --> 바람을 피우다
--> 올바른 길을 가지 않다
<호스테스> - ‘손님을 접대하는 여자 주인’ --> 술집의 여자종업원
<마누라> - (조선시대) ‘귀인의 존칭’ --> (오늘날) ‘부인의 비칭’
<계집> - (중세 한국어) ‘여자의 통칭’ --> (오늘날) ‘여성을 경멸하는 의미’
<어리석다> - (중세 한국어) ‘어리다’ --> (오늘날) ‘어리석다’
<어엿브다> - (중세 한국어) ‘불쌍하다’ --> (오늘날) 예쁘다‘
Ⅱ.본문
의미 변화의 원인
1. 언어적 원인
첫째, 동의 관계의 단어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동의 경쟁을 들 수 있다.
예) (중세 국어) - < 힘 [力], [筋]>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자어 ‘근육’과는 부분적 동의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한자어 ‘근육’이 활발하게 쓰이면서 ‘근[筋]’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또 국어의 남부방언에서 “형이 동생을
추천자료
[체언+용언] 꼴의 연어 구성에 대한 연구
조음장애의 개념과 원인 및 조음장애를 중심으로 언어치료
한국어 발음이 영어 발음에 끼치는 영향
인도네시아어를 중심으로 한 제 3국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상의 오류와 수정 방안
[교재]교재의 개념, 교재의 특성, 교재의 기능, 교재의 구성, 교재의 연구, 교재와 신문, 교...
[간호학과] [기초간호학 공통] 1.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하고, 염증...
[기초간호학 공통] 1.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하고, 염증의 형태적 분...
(한국어교육론 공통) 1. 한국어의 단모음과 이중모음을 기술하고(8점), 단모음을 분류하는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 )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