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원칙1 : 지식경영을 위해서는 투자가 필요하다.
II. 원칙2 : 효과적인 지식경영을 위해 인간과 기술의 조화가 요구된다.
III. 원칙3 : 지식경영은 정치적이다.
IV. 원칙4 : 지식경영을 하려면 지식관리자가 필요하다.
V. 원칙5 : 지식경영의 계통도가 필요하다.
VI. 원칙6 : 지식공유를 위해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VII. 원칙7 : 지식경영은 지식업무 프로세스의 향상이다.
VIII. 원칙8 : 지식접근은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
IX. 원칙9 : 지식경영은 끝이 없다.
X. 원칙10 : 지식경영은 지식계약을 필요로 한다.
* 참고문헌
II. 원칙2 : 효과적인 지식경영을 위해 인간과 기술의 조화가 요구된다.
III. 원칙3 : 지식경영은 정치적이다.
IV. 원칙4 : 지식경영을 하려면 지식관리자가 필요하다.
V. 원칙5 : 지식경영의 계통도가 필요하다.
VI. 원칙6 : 지식공유를 위해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VII. 원칙7 : 지식경영은 지식업무 프로세스의 향상이다.
VIII. 원칙8 : 지식접근은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
IX. 원칙9 : 지식경영은 끝이 없다.
X. 원칙10 : 지식경영은 지식계약을 필요로 한다.
*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식접근은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
지식접근이 충분하다면, 많은 사람들이 지식을 얻기 위해 기다릴 수 있을 것이다.
지식에 대한 접근 가능성은 지식경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성공적인 지식경영을 위해서는 지식경영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관심은 정보화시대에서 통용되는 화폐라고 할 수 있다. 지식 소비자들은 지식의 수동적인 수령자 이상의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지식에 대한 능동적인 참여는 지식 제공자들과의 긴밀한 상호행위를 통해서 성취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수령되어야 할 지식이 암묵지일 때 매우 중요하다.
IX. 원칙9 : 지식경영은 끝이 없다.
지식관리자들은 조직이 지식을 통제할 수 있게 되면 자신들의 역할이 끝났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식경영의 업무는 끝이 없다. 인적자원관리나 재무관리처럼 지식이 충분히 관리되는 시대는 도래하지 않는다. 지식경영이 끝이 없는 이유는 필요한 지식의 범주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기술, 경영 접근방법, 법적 이슈 및 고객관심 등이 항상 발생하고, 기업의 전략, 조직구조,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초점이 변하기 때문이다. 또한 경영자와 전문가들이 지식에 해한 새로운 니즈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X. 원칙10 : 지식경영은 지식계약을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조직에서는 누가 직원들의 지식을 소유하고 이용할 권리를 가지고 있는지 불분명하다. 직원들의 지식은 소유되거나 빌려줄 수 있는 대상인지 여부와 직원들의 두뇌 속에 있는 모든 지식은 고용주의 자산으로 간주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문제점을 다루는 회사는 거의 없다.
일반적으로 많은 기업들은 업무시간에 개발된 직원들의 지식을 기업의 자산으로 간주해왔다.
그러나 최근 사회적 변화의 가장 큰 흐름은 직원들이 새로운 직종이나 조직으로 옮기는 주기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경쟁력 있는 지식근로자들은 언제라도 다른 회사로 옮길 수 있다.
더구나 개인주의가 만연해 가는 사회에서 이 같은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따라서 이들을 붙잡아 둘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인센티브나 고용에 대한 법적 계약을 철저히 해두어야 한다. 만약 지식이 조직 내에서 중요한 자산임을 인정한다면 지식경영의 법적 정당성인 지적재산권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지식접근이 충분하다면, 많은 사람들이 지식을 얻기 위해 기다릴 수 있을 것이다.
지식에 대한 접근 가능성은 지식경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성공적인 지식경영을 위해서는 지식경영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관심은 정보화시대에서 통용되는 화폐라고 할 수 있다. 지식 소비자들은 지식의 수동적인 수령자 이상의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지식에 대한 능동적인 참여는 지식 제공자들과의 긴밀한 상호행위를 통해서 성취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수령되어야 할 지식이 암묵지일 때 매우 중요하다.
IX. 원칙9 : 지식경영은 끝이 없다.
지식관리자들은 조직이 지식을 통제할 수 있게 되면 자신들의 역할이 끝났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식경영의 업무는 끝이 없다. 인적자원관리나 재무관리처럼 지식이 충분히 관리되는 시대는 도래하지 않는다. 지식경영이 끝이 없는 이유는 필요한 지식의 범주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기술, 경영 접근방법, 법적 이슈 및 고객관심 등이 항상 발생하고, 기업의 전략, 조직구조,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초점이 변하기 때문이다. 또한 경영자와 전문가들이 지식에 해한 새로운 니즈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X. 원칙10 : 지식경영은 지식계약을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조직에서는 누가 직원들의 지식을 소유하고 이용할 권리를 가지고 있는지 불분명하다. 직원들의 지식은 소유되거나 빌려줄 수 있는 대상인지 여부와 직원들의 두뇌 속에 있는 모든 지식은 고용주의 자산으로 간주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문제점을 다루는 회사는 거의 없다.
일반적으로 많은 기업들은 업무시간에 개발된 직원들의 지식을 기업의 자산으로 간주해왔다.
그러나 최근 사회적 변화의 가장 큰 흐름은 직원들이 새로운 직종이나 조직으로 옮기는 주기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경쟁력 있는 지식근로자들은 언제라도 다른 회사로 옮길 수 있다.
더구나 개인주의가 만연해 가는 사회에서 이 같은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따라서 이들을 붙잡아 둘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인센티브나 고용에 대한 법적 계약을 철저히 해두어야 한다. 만약 지식이 조직 내에서 중요한 자산임을 인정한다면 지식경영의 법적 정당성인 지적재산권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