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1. 일반적 정보 및 환자 간호력
2. 진단검사 및 기타자료
3. 간호과정
Ⅳ. 결론
Ⅴ.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1. 일반적 정보 및 환자 간호력
2. 진단검사 및 기타자료
3. 간호과정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대상자의 몸무게를 일정한 시간에 측정한다.
대상자의 피부상태, 점막 등을 사정한다.
대상자의 소변검사 결과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의 병인치료를 위해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2. 대상자의 진단검사를 점검하여 부족한 전해질을 보충한다.
3. 대상자의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정맥수액요법을 실시한다.
교육적 계획
1. 설사로 인한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2. 보호자에게 설사에 자극적인 음식을 먹이지 않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진단적 수행
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4시간마다 사정했다.
날짜/시간
활력징후
5/15 12:30
122-33-36.1℃
5/15 16:00
116-32-36.3℃
2. 대상자의 I/O를 사정했다.
5월 15일 21:00
Total Output
100
Urine 횟수
1
Self Voiding
100
Stool 횟수
2번
Oral Intake
경구 250
Fluid 300
+450
3. 설사의 횟수, 양상, 시작시점, 음식 섭취 유무 등을 사정했다.
5/15 8:30pm 대상자의 하루 동안의 설사 횟수를 오전, 오후로 나누어서 파악하고 설사의 양상이 watery한지, loose한지 파악하였고 피가 섞였는지 파악하였다.
4. 대상자의 몸무게를 q4hr 측정했다.
5/15 12:30
5/15 16:30
5/15 20:30
15.2kg
15.3kg
15.3kg
(몸무게 변화는 체액변화와 관련되는 지표중 하나이다.)
5. 대상자의 피부상태, 점막 등을 사정했다.
대상자의 피부를 만져본 결과 탄력성은 있었고 구강이 다소 건조했다.
6. 대상자의 소변검사 결과를 사정했다.
체액 부족으로 인한 탈수를 사정하기 위해 소변검사 결과를 살펴본 결과 요비중이 1.030으로 정상범위보다 높은 것을 관찰하였다.
치료적 수행
1. 대상자의 병인치료를 위해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했다.
대상자의 장염 증상 치료를 위해 ubactam, amikacin이 투여되었다.
2. 대상자의 진단검사를 점검하여 부족한 전해질을 보충했다.
대상자의 K(Potassium)수치가 2.9까지 저하되어 염화칼륨을 0.75A 투여하였다.
3. 대상자의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정맥수액요법을 실시했다.
잦은 설사로 인한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NS 300cc를 2시간동안 hydration이 실시되었다.
교육적 수행
1. 설사로 인한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했다.
수분섭취는 설사로 인한 수분소실과 관련된 탈수증상을 막을 수 있고 갈증, 구강건조도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 보호자에게 설사에 자극적인 음식을 먹이지 않도록 교육했다.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대상자는 감염성 설사이므로 우유나 요플레 같은 유제품은 먹이지 않는 것이 좋음을 설명하였다.(감염성설사는 유당을 소화시키기 어려움)
평가
대상자의 피부는 건조하지 않았고 살짝 잡아 보았을 때 탄력을 유지하였다.
영 역
내 용
간호사정
\"열 이따가 재시면 안 될까요? 이제 겨우 잠들었어요. 깨면 또 울어요.“
“이제 간호사 선생님이나 의사선생님만 오면 겁부터 먹어요.”
M/32개월
의사, 간호사가 다가가면 눈을 동그랗게 뜨고 싫다고 표현하며 침습적인 절차 시 몸부림을 치며 울고 보챈다.
간호진단
처치와 관련된 두려움
간호목표
대상자는 처치 시 두려움을 극복하고 의사, 간호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두려움 수준과 반응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가 안정감을 느끼는 물건을 제공한다.
2. 신뢰와 격려를 촉진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3. 대상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처치에 동참하도록 한다.
4. 대상자와의 지속적인 접촉 및 놀이로 애착을 형성한다.
5. 처치 시 대상자가 두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보호자가 동참할 수 있도록 한다.
간호수행
진단적 수행
1. 대상자의 두려움 수준과 반응을 사정한다.
깨어있을 때는 청진기나 체온계에는 피하거나 무서워하지 않으며 간호사 선생님이 방에 들어가서 주사가 보이면 굉장히 무서워하고 두려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치료적
수행
1. 대상자가 안정감을 느끼는 물건을 제공한다.
대상자는 집에서 쓰던 담요에 애착을 가지고 있으며 처치시나 아플 때 담요를 끌어안고 있으면 안정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2. 신뢰와 격려를 촉진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대상자에게 V/S을 측정할 때 체온계는 “여보세요 한번하자.”, 청진기로 심첨 맥박을 잴 때는 대상자도 들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친근하게 다가갔다.
3. 대상자와의 지속적인 접촉 및 놀이로 애착을 형성한다.
대상자의 병실에 틈틈이 가서 대상자와 함께 장난을 치고 대상자의 색칠놀이에 함께 참여하여 친근감을 형성하였다.
4. 처치 시 대상자가 두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보호자가 동참할 수 있도록 한다.
처치 시 대상자가 겁을 먹으므로 보호자가 함께 달래면서 시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
대상자의 반응을 재사정한 결과 침습적인 처치(주사)에 대한 반응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학생간호사에게 먼저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웃어주는 모습을 보였다.
Ⅳ. 결론
우선 성인간호학 실습에서도 응급실을 경험해보지 못했는데, 아동간호학 실습 과목으로 응급실을 경험해 볼 수 있어서 굉장히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한다. 사례보고서를 작성하면서 간호계획과 간호수행을 진단적, 치료적, 수행적으로 나누어서 작성한 게 좀 더 자세하고 필요한 내용만 쓸 수 있게 해준 것 같아서 잘 썼다고 느껴지고, 응급실이라 환자에 대한 추후 자료가 부족했던 것이 아쉽기도 하다. 응급실 실습을 하며 응급실에 대한 인식이 굉장히 많이 바뀌었고, 좋게 바뀌었다. 간호사로 근무를 하게 되면 응급실에 갈 의향이 생겼다.
Ⅴ. 참고문헌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병원 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원종순 외, 현문사
영아와 아동을 위한 아동간호학 Ⅱ, 홍경자 외, 수문사
홍창의 소아과학 제 10판, 미래엔, 안효섭 편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 김정해 저
약학정보원
대상자의 몸무게를 일정한 시간에 측정한다.
대상자의 피부상태, 점막 등을 사정한다.
대상자의 소변검사 결과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의 병인치료를 위해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2. 대상자의 진단검사를 점검하여 부족한 전해질을 보충한다.
3. 대상자의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정맥수액요법을 실시한다.
교육적 계획
1. 설사로 인한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2. 보호자에게 설사에 자극적인 음식을 먹이지 않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진단적 수행
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4시간마다 사정했다.
날짜/시간
활력징후
5/15 12:30
122-33-36.1℃
5/15 16:00
116-32-36.3℃
2. 대상자의 I/O를 사정했다.
5월 15일 21:00
Total Output
100
Urine 횟수
1
Self Voiding
100
Stool 횟수
2번
Oral Intake
경구 250
Fluid 300
+450
3. 설사의 횟수, 양상, 시작시점, 음식 섭취 유무 등을 사정했다.
5/15 8:30pm 대상자의 하루 동안의 설사 횟수를 오전, 오후로 나누어서 파악하고 설사의 양상이 watery한지, loose한지 파악하였고 피가 섞였는지 파악하였다.
4. 대상자의 몸무게를 q4hr 측정했다.
5/15 12:30
5/15 16:30
5/15 20:30
15.2kg
15.3kg
15.3kg
(몸무게 변화는 체액변화와 관련되는 지표중 하나이다.)
5. 대상자의 피부상태, 점막 등을 사정했다.
대상자의 피부를 만져본 결과 탄력성은 있었고 구강이 다소 건조했다.
6. 대상자의 소변검사 결과를 사정했다.
체액 부족으로 인한 탈수를 사정하기 위해 소변검사 결과를 살펴본 결과 요비중이 1.030으로 정상범위보다 높은 것을 관찰하였다.
치료적 수행
1. 대상자의 병인치료를 위해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했다.
대상자의 장염 증상 치료를 위해 ubactam, amikacin이 투여되었다.
2. 대상자의 진단검사를 점검하여 부족한 전해질을 보충했다.
대상자의 K(Potassium)수치가 2.9까지 저하되어 염화칼륨을 0.75A 투여하였다.
3. 대상자의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정맥수액요법을 실시했다.
잦은 설사로 인한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NS 300cc를 2시간동안 hydration이 실시되었다.
교육적 수행
1. 설사로 인한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했다.
수분섭취는 설사로 인한 수분소실과 관련된 탈수증상을 막을 수 있고 갈증, 구강건조도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 보호자에게 설사에 자극적인 음식을 먹이지 않도록 교육했다.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대상자는 감염성 설사이므로 우유나 요플레 같은 유제품은 먹이지 않는 것이 좋음을 설명하였다.(감염성설사는 유당을 소화시키기 어려움)
평가
대상자의 피부는 건조하지 않았고 살짝 잡아 보았을 때 탄력을 유지하였다.
영 역
내 용
간호사정
\"열 이따가 재시면 안 될까요? 이제 겨우 잠들었어요. 깨면 또 울어요.“
“이제 간호사 선생님이나 의사선생님만 오면 겁부터 먹어요.”
M/32개월
의사, 간호사가 다가가면 눈을 동그랗게 뜨고 싫다고 표현하며 침습적인 절차 시 몸부림을 치며 울고 보챈다.
간호진단
처치와 관련된 두려움
간호목표
대상자는 처치 시 두려움을 극복하고 의사, 간호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두려움 수준과 반응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가 안정감을 느끼는 물건을 제공한다.
2. 신뢰와 격려를 촉진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3. 대상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처치에 동참하도록 한다.
4. 대상자와의 지속적인 접촉 및 놀이로 애착을 형성한다.
5. 처치 시 대상자가 두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보호자가 동참할 수 있도록 한다.
간호수행
진단적 수행
1. 대상자의 두려움 수준과 반응을 사정한다.
깨어있을 때는 청진기나 체온계에는 피하거나 무서워하지 않으며 간호사 선생님이 방에 들어가서 주사가 보이면 굉장히 무서워하고 두려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치료적
수행
1. 대상자가 안정감을 느끼는 물건을 제공한다.
대상자는 집에서 쓰던 담요에 애착을 가지고 있으며 처치시나 아플 때 담요를 끌어안고 있으면 안정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2. 신뢰와 격려를 촉진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대상자에게 V/S을 측정할 때 체온계는 “여보세요 한번하자.”, 청진기로 심첨 맥박을 잴 때는 대상자도 들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친근하게 다가갔다.
3. 대상자와의 지속적인 접촉 및 놀이로 애착을 형성한다.
대상자의 병실에 틈틈이 가서 대상자와 함께 장난을 치고 대상자의 색칠놀이에 함께 참여하여 친근감을 형성하였다.
4. 처치 시 대상자가 두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보호자가 동참할 수 있도록 한다.
처치 시 대상자가 겁을 먹으므로 보호자가 함께 달래면서 시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
대상자의 반응을 재사정한 결과 침습적인 처치(주사)에 대한 반응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학생간호사에게 먼저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웃어주는 모습을 보였다.
Ⅳ. 결론
우선 성인간호학 실습에서도 응급실을 경험해보지 못했는데, 아동간호학 실습 과목으로 응급실을 경험해 볼 수 있어서 굉장히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한다. 사례보고서를 작성하면서 간호계획과 간호수행을 진단적, 치료적, 수행적으로 나누어서 작성한 게 좀 더 자세하고 필요한 내용만 쓸 수 있게 해준 것 같아서 잘 썼다고 느껴지고, 응급실이라 환자에 대한 추후 자료가 부족했던 것이 아쉽기도 하다. 응급실 실습을 하며 응급실에 대한 인식이 굉장히 많이 바뀌었고, 좋게 바뀌었다. 간호사로 근무를 하게 되면 응급실에 갈 의향이 생겼다.
Ⅴ. 참고문헌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병원 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원종순 외, 현문사
영아와 아동을 위한 아동간호학 Ⅱ, 홍경자 외, 수문사
홍창의 소아과학 제 10판, 미래엔, 안효섭 편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 김정해 저
약학정보원
추천자료
[아동간호학]급성위장염(AGE), 급성인후두염(APT) case study
아동 AGE ; acute gastroenteritis (급성위장염)
아동간호학 AGE case study (급성위장염)
소아당뇨 IDDM type 1 diabetes mellitus case study
소아과 실습 급성 위장염(AGE), 구내염(stomatits)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 급성위장염 케이스 [AGE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뇌수막염 meningitis case study
(A+받음) 노인간호학실습 dimentia case study
(A+받음) 아동간호학실습 influenza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