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목차
간호관리
제1장 간호관리의 이해
제2장 기획
제3장 조직
제4장 인사(인적자원관리)
제5장 지휘
제1장 간호관리의 이해
제2장 기획
제3장 조직
제4장 인사(인적자원관리)
제5장 지휘
본문내용
의★★
-간호 관리는 투입을 산출로 바꾸는 전환과정
-간호조직이 추구하는 목적을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수단
-간호대상자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간호사들이 알고 또 행해야 할 지식과 기법
과정인 동시에 기능(기술). 즉 과정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을 모두 고려
-투입, 과정, 산출에 이르는 체계이론, 관리과정 및 관리지원기능을 통합하여 설명 가능
-환자에게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간호직원들의 노력과 필요한 모든 자원의 활용을 기획, 조직, 인사, 지휘, 통제하는 과정과 기능
-간호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간호조직원들의 집단 활동.
-간호 관리자가 간호부서나 간호병동에서의 간호활동을 기획, 조직, 인사, 지휘, 평가(통제)하는 과정
(5)간호 관리의 학문적 성격(특성)★
-통합성: 인간의 행위를 여러 학문으로부터 통합하는 종합 과학적 관점의 연구 분야, 인간과 조직 행위를 이해하고 응용하는 체계 내로 통합
-인간중심적: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인간중심적 성향을 띠고 연구하는 학문 분야(RN의 자기계발, 개인적 성장, 자아실현 욕구 충족)
-성과지향성: 조직성과(조직유효성)을 높이려는 성과 지향적 측면이 있다.
-상황적합성: 간호조직에서 간호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식과 기법을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원리로 제시하는 것.
-과학적 방법론: 이론구성이나 문제해결에서 엄격한 과학적 방법론 채택.
3.간호관리체계모형
(1)간호 관리의 과정적 측면★
-굴릭: 기획-조직-인사-지휘-조정-보고-예산
(POSDCoRB) 7단계
(3)간호 관리 체계모형★★
간호 관리는 간호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을 기획, 조직, 인사, 지휘, 통제하는 과정이자 기능.
1)투입요소-산출요소★★★★★
구분
생산자(간호사, 병원 측면)
소비자(환자)측면
투입요소
인적측면: 간호인력, 간호직원의 기술, 경험, 교육훈련, 간호업무량, 간호사의 환자에 대한 태도 등
물적 측면: 물자(시설, 장비, 장치, 공급품, 소모품, 약품 등), 건물설계(건물 디자인, 건물 크기 등), 자금(재정), 정보, 기술, 시간 등
환자상태(중증도), 환자분류, 간호요구도, 간호소비자의 특성, 환자의 간호사에 대한 태도
산출요소
간호사의 성장과 만족, 이직률, 인력개발, 간호연구, 간호교육, 간호생산성, 조직개발, 조직의 활성화, 직무만족도, 결근율, 간호원가, 비용편익
환자재원일수, 환자간호시간, 직접간호시간, 환자 만족도, 환자 간호 상태, 사망률, 질병발생률, 합병증 발생률
2)전환과정(간호 관리의 과정)★★★★★
1.기획: 조직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방안을 선택하는 과정
2. 조직: 조직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업무, 권한, 자원 등을 할당하는 과정. 내용은 조직표, 직무분석(평가), 조직구조, 조직문화, 조직변화, 환자간호전달체계 등이다.
3.인사(인적자원관리): 조직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조달, 유지, 개발, 활용하는 과정. 내용-확보, 개발, 보상, 유지관리, 경력개발, 노사협상, 직무관리 등
4.지휘: 조직 목표달성 위해 업무를 지시, 감독, 조정하는 과정.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리더십을 발휘하고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과정. 내용: 리더십(권력형성), 동기부여, 갈등관리,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 교류분석, 주장행동, 스트레스관리
5.통제: 조직목표달성을 위한 활동이 계획대로 진행되는지 확인하고 피드백을 통해 교정하는 과정. 내용- 간호서비스 질 관리, 훈육, 간호표준 설정, 업무수행평가, 정보관리, 환자안전관리
4.간호 관리의 목표 ★
관리, 간호 관리의 최종목표는 ‘생산성’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간호관리체계모형에서 산출의 기준 또한 ‘생산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생산성은 개인과 조직의 업무성과측정에 있어 효과성과 효율성을 내포하고 있다. 한편, 산출의 기준으로는 만족, 조직의 활성화 등이 있다.
(1)생산성의 개념
생산성은 사용된 투입자원에 대해 얼마나 생산을 이루었는지 경영성과를 측정하는 지표. 생산성은 조직목표 성취의 측정치이면서 일정기간 동안의 투입과 산출의 비율을 뜻하는데, 효과성과 효율성을 둘 다 내포하고 있다.
생산성=산출/투입
★효과성과 효율성은 상호대체적인 개념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개념
(2)효과성의 개념★
-관리자가 달성해야 할 조직의 목적이 적합한지, 조직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했는지 측정하는 개념
-조직의 목적달성과 관련된 개념으로, 결과를 극대화 할 때 상승
-목적의 의미를 강조하는 가치추구 개념
-조직은 관리자가 적합한 목적을 선정하고, 그 목적을 달성했을 때 효과적이다.
(3)효율성의 개념★★★★★
-투입 대 산출의 비를 의미하는 것으로,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자원을 얼마나 잘 사용했는지에 대한 경제성(능률성)의 개념을 나타냄
-자원이용(자원 활용) 및 수단과 관련된 개념★
-관리자가 투입인력이나 투입비용을 최소화하거나 제품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때 효율적
(4)효과성과 효율성 비교
1)효과성과 효율성의 차이점★★★
효과성
효율성
조직의 목적이 적합한지, 조직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하였는지를 측정하는 가치추구의 개념
조직의 목적달성을 위해 자원을 잘 사용했는지에 대한 투입과 산출의 관계를 의미하는 경제성의 개념
목적과 관련된 개념(목적 관련성)
수단과 관련된 개념(수단관련성)
결과, 대상을 의미
과정, 방법을 의미
올바른 일을 함
일을 올바르게 함
조직목적이 달성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개념
투입(제 자원)에 대한 산출의 비율
조직과 그것을 둘러싼 환경 간의 관계의 질을 측정하는 개념(대외 지향적 개념)
기술의 수행에 관련되는, 업적의 질에 대한 측정치(대내 지향적 개념)
목적달성에 관련된 개념
최소한의 자원으로 목적을 달성함에 관련된 개념
장기적 측정치
단기적 측정치
의도된 바의 산출물을 생산하는 과정의 정도
투입물의 양과 질, 산출물의 양과 질 간의 비례관계
2)효과성과 효율성의 4가지 유형★
관리에 있어서는 목표달성의 효과성뿐만 아니라, 자원 활용에 있어서도 최대한 효율성을 추구해야 하는 것이 중요.
목표달성
자원 활용
효과적
비효과적
효율적
자원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조직
-간호 관리는 투입을 산출로 바꾸는 전환과정
-간호조직이 추구하는 목적을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수단
-간호대상자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간호사들이 알고 또 행해야 할 지식과 기법
과정인 동시에 기능(기술). 즉 과정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을 모두 고려
-투입, 과정, 산출에 이르는 체계이론, 관리과정 및 관리지원기능을 통합하여 설명 가능
-환자에게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간호직원들의 노력과 필요한 모든 자원의 활용을 기획, 조직, 인사, 지휘, 통제하는 과정과 기능
-간호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간호조직원들의 집단 활동.
-간호 관리자가 간호부서나 간호병동에서의 간호활동을 기획, 조직, 인사, 지휘, 평가(통제)하는 과정
(5)간호 관리의 학문적 성격(특성)★
-통합성: 인간의 행위를 여러 학문으로부터 통합하는 종합 과학적 관점의 연구 분야, 인간과 조직 행위를 이해하고 응용하는 체계 내로 통합
-인간중심적: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인간중심적 성향을 띠고 연구하는 학문 분야(RN의 자기계발, 개인적 성장, 자아실현 욕구 충족)
-성과지향성: 조직성과(조직유효성)을 높이려는 성과 지향적 측면이 있다.
-상황적합성: 간호조직에서 간호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식과 기법을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원리로 제시하는 것.
-과학적 방법론: 이론구성이나 문제해결에서 엄격한 과학적 방법론 채택.
3.간호관리체계모형
(1)간호 관리의 과정적 측면★
-굴릭: 기획-조직-인사-지휘-조정-보고-예산
(POSDCoRB) 7단계
(3)간호 관리 체계모형★★
간호 관리는 간호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을 기획, 조직, 인사, 지휘, 통제하는 과정이자 기능.
1)투입요소-산출요소★★★★★
구분
생산자(간호사, 병원 측면)
소비자(환자)측면
투입요소
인적측면: 간호인력, 간호직원의 기술, 경험, 교육훈련, 간호업무량, 간호사의 환자에 대한 태도 등
물적 측면: 물자(시설, 장비, 장치, 공급품, 소모품, 약품 등), 건물설계(건물 디자인, 건물 크기 등), 자금(재정), 정보, 기술, 시간 등
환자상태(중증도), 환자분류, 간호요구도, 간호소비자의 특성, 환자의 간호사에 대한 태도
산출요소
간호사의 성장과 만족, 이직률, 인력개발, 간호연구, 간호교육, 간호생산성, 조직개발, 조직의 활성화, 직무만족도, 결근율, 간호원가, 비용편익
환자재원일수, 환자간호시간, 직접간호시간, 환자 만족도, 환자 간호 상태, 사망률, 질병발생률, 합병증 발생률
2)전환과정(간호 관리의 과정)★★★★★
1.기획: 조직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방안을 선택하는 과정
2. 조직: 조직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업무, 권한, 자원 등을 할당하는 과정. 내용은 조직표, 직무분석(평가), 조직구조, 조직문화, 조직변화, 환자간호전달체계 등이다.
3.인사(인적자원관리): 조직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조달, 유지, 개발, 활용하는 과정. 내용-확보, 개발, 보상, 유지관리, 경력개발, 노사협상, 직무관리 등
4.지휘: 조직 목표달성 위해 업무를 지시, 감독, 조정하는 과정.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리더십을 발휘하고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과정. 내용: 리더십(권력형성), 동기부여, 갈등관리,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 교류분석, 주장행동, 스트레스관리
5.통제: 조직목표달성을 위한 활동이 계획대로 진행되는지 확인하고 피드백을 통해 교정하는 과정. 내용- 간호서비스 질 관리, 훈육, 간호표준 설정, 업무수행평가, 정보관리, 환자안전관리
4.간호 관리의 목표 ★
관리, 간호 관리의 최종목표는 ‘생산성’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간호관리체계모형에서 산출의 기준 또한 ‘생산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생산성은 개인과 조직의 업무성과측정에 있어 효과성과 효율성을 내포하고 있다. 한편, 산출의 기준으로는 만족, 조직의 활성화 등이 있다.
(1)생산성의 개념
생산성은 사용된 투입자원에 대해 얼마나 생산을 이루었는지 경영성과를 측정하는 지표. 생산성은 조직목표 성취의 측정치이면서 일정기간 동안의 투입과 산출의 비율을 뜻하는데, 효과성과 효율성을 둘 다 내포하고 있다.
생산성=산출/투입
★효과성과 효율성은 상호대체적인 개념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개념
(2)효과성의 개념★
-관리자가 달성해야 할 조직의 목적이 적합한지, 조직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했는지 측정하는 개념
-조직의 목적달성과 관련된 개념으로, 결과를 극대화 할 때 상승
-목적의 의미를 강조하는 가치추구 개념
-조직은 관리자가 적합한 목적을 선정하고, 그 목적을 달성했을 때 효과적이다.
(3)효율성의 개념★★★★★
-투입 대 산출의 비를 의미하는 것으로,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자원을 얼마나 잘 사용했는지에 대한 경제성(능률성)의 개념을 나타냄
-자원이용(자원 활용) 및 수단과 관련된 개념★
-관리자가 투입인력이나 투입비용을 최소화하거나 제품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때 효율적
(4)효과성과 효율성 비교
1)효과성과 효율성의 차이점★★★
효과성
효율성
조직의 목적이 적합한지, 조직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하였는지를 측정하는 가치추구의 개념
조직의 목적달성을 위해 자원을 잘 사용했는지에 대한 투입과 산출의 관계를 의미하는 경제성의 개념
목적과 관련된 개념(목적 관련성)
수단과 관련된 개념(수단관련성)
결과, 대상을 의미
과정, 방법을 의미
올바른 일을 함
일을 올바르게 함
조직목적이 달성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개념
투입(제 자원)에 대한 산출의 비율
조직과 그것을 둘러싼 환경 간의 관계의 질을 측정하는 개념(대외 지향적 개념)
기술의 수행에 관련되는, 업적의 질에 대한 측정치(대내 지향적 개념)
목적달성에 관련된 개념
최소한의 자원으로 목적을 달성함에 관련된 개념
장기적 측정치
단기적 측정치
의도된 바의 산출물을 생산하는 과정의 정도
투입물의 양과 질, 산출물의 양과 질 간의 비례관계
2)효과성과 효율성의 4가지 유형★
관리에 있어서는 목표달성의 효과성뿐만 아니라, 자원 활용에 있어서도 최대한 효율성을 추구해야 하는 것이 중요.
목표달성
자원 활용
효과적
비효과적
효율적
자원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조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