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과 생명공학의 융합 활용등에 대해서 - 낙농과 생명공학이 융합된 케이스나 융합된 낙농과 생명공학의 발전가능성 활용가능한것 정도를 중점적으로 작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낙농과 생명공학의 융합 활용등에 대해서 - 낙농과 생명공학이 융합된 케이스나 융합된 낙농과 생명공학의 발전가능성 활용가능한것 정도를 중점적으로 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3) LD-based approaches, 그리고 4) population differentiation based method가 있다. 1)은 집단 내에서 개체들의 유전자 코딩에 위치하고 있는 synonymous와 non-synonymous가 바뀐 비율을 가지고 선발 신호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2)은 서로 다른 DNA 서열의 평균 개수를 기반으로 하여 선발을 할수록 DNA 서열이 바뀐다는 것을 탐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는 유전자에 끼친 영향이 어떤 것인지는 구별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3)은 EHH의 값을 사용하여 선택될 확률이 큰 선발 신호 지역을 찾은 후, 이 중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특정 염색체들의 서열을 탐색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4)는 집단 간 대립 유전자 빈도 변화를 통하여 유전체의 선발 신호를 탐색하는 방법으로 상관관계에 따라 0~1로 나누어 0일 경우는 집단이 서로 동인할 유전적 구성을 지닌다는 것, 1일 경우는 집단이 서로 완전히 다른 유전적 구성을 지닌다는 해석을 통해 선발 신호를 탐색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탐색과 선발 방식을 이용하여 유전적 개량을 연구할 경우, 집단에 대하여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수정란을 선발할 때 조금 더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현재 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3. 결론
낙농학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생명공학과 낙농학의 융합은 필수적이다. 낙농학은 젖소에게 우유를 생산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젖소가 어떠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지, 또는 어떠한 방식으로 젖소를 길러야 하는지, 그리고 더 나아가 유류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젖소를 어떻게 개량해야 하며 전달 과정은 어떻게 효율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도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과정을 연구하기에 앞서 젖소의 유전적 과정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필수이며, 대량생산 또는 고품질의 젖소와 유류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개량 또는 인공수정 과정은 계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오길, (1997). 생물의 세계-양 ‘돌리’의 탄생, The sci. and tech. 30(5)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7). 생명체복제 - 현황과 문제점, The sci. and tech. 30(6)
이광전, (1995). 우리나라 젖소개량의 현실적 문제점과 개선방향, 건국대학교 낙농학과
이준호, (2005). 젖소의 항병성 개량을 위한 Butyrophilin 유전자와 BoLa-DRB3 유전자위간의 연관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낙농학과
이기환, (2007). Holstein종 젖소의 선형형질에 대한 유전모수추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정경용, (2010). 젖소에 있어서 인공수정과 수정란 이식에 의한 번식효율에 관한 요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김용호, (2005). 고능력 젖소의 체내수정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백성용, (2019). 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한우, 젖소, 제주흑우 종에서 선발신호 탐색, 영남대학교 대학원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2.13
  • 저작시기2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43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