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목차
열펌 이론 및 연화실기
2. 화학적 & 물리적 작용
3. 열펌의 과정
4. 베이스 크기
5. 와인딩 방향
6. 드라이(열과 수분)
7. 모발에 따른 기계 온도
8. 컬테스트
9. 중화 & 롯드아웃
디지털 모델 적용 - 2011. 12. 22
셋 팅 모델 적용 - 2011. 11. 29
2. 화학적 & 물리적 작용
3. 열펌의 과정
4. 베이스 크기
5. 와인딩 방향
6. 드라이(열과 수분)
7. 모발에 따른 기계 온도
8. 컬테스트
9. 중화 & 롯드아웃
디지털 모델 적용 - 2011. 12. 22
셋 팅 모델 적용 - 2011. 11. 29
본문내용
하여 모발을 굳게 함으로 웨이브가 고정되므로 고정된 웨이브게 다시 수분을 넣게 되면 컬이 늘어지게 되는 것이다. 열펌은 수분이 없어야 웨이브 고정력이 더 뛰어나다.
2. 화학적 & 물리적 작용
일반펌은 화학적 작용과 물리적 작용으로 설명하는데 1제의 역할이 모발의 결합을 끊는 것으로 화학적 작용을 하고 결합이 끊어진 모발에 로드가 감겨 물리적인 힘으로 작용한다. 모발이 로드에 감길 때 텐션에 의해 로드의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힘이 작용하는데 로드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로드에 감긴 모발들 중 바깥쪽으로 갈수록 양쪽으로 늘어나야 하는 범위가 크므로 결국 가장 바깥쪽에 있는 모발이 가장 큰 힘이 들어간다. 따라서 안, 밖의 힘의 차이에 의해 모발이 그림처럼 양쪽으로 펴지는 정도의 차이가 생겨 모발의 결합이 어긋나고 다시 2제의 역할인 끊어진 결합을 재결합 시키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웨이브가 형성된다. 일반펌 에서는 열처리를 할 때에도 열이 와인딩된 모발의 바깥쪽부터 닿으므로 결국 열의 역할인 1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점도 모발의 바깥쪽에 가장 강하게 작용하여 바깥쪽의 모발의 결합이 더 많이 끊기게 되어 더욱 많이 늘어나게 되 안쪽과 바깥쪽의 결합은 더욱 어긋나게 된다. 일반펌은 모발의 결합-재결합의 성질만을 가지고 웨이브를 만들어 웨이브가 형성됐더라도 결국 재결합된 모발의 성질은 처음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중력의 힘을 받아 드라이를 하고나면 늘어지는 것이다. 열펌은 가수분해로 모발의 결합을 끊는다는 초기 과정은 일반펌과 다르지 않은데 그 후 일반펌은 와인딩 할 때까지 모발의 1제를 최대한 건조시키지 않는 것이 컬의 형성에 도움이 된다면 열펌은 오히려 1제 처리 후 1제를 모두 씻어내고 모발이 마른 상태에서 와인딩을 하게된다. 이 때 약간의 수분을 주어 컬의 형성에 도움을 주긴 하지만 열펌은 섹션을 크게 타므로 텐션의 개념이 일반펌에서 보다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한다. 결국 열펌은 물리적인 힘 보다는 열의 작용이 중요한테 일반펌과는 반대로 로드에서부터 열이 가해지기 때문에 안쪽에 더 많은 열이 가게 되고 바깥쪽은 덜 한 열을 받게되어 안쪽과 바깥쪽의 열전도율이 다르다. 열을 가했을 때 모발 안쪽 부분은 가장 빨리 더 많은 열이 닿기 때문에 가장 먼저 딱딱 해져 단백질 변성이 생기는데 이를 경단백질화 된다고 하는데 이렇게 안쪽이 경단백질화 되어 딱딱하게 굳어질 동안 바깥쪽은 열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이완되어 늘어난 상태 그대로 굳어져 결국 안, 밖의 열전도율의 차이에 의한 안, 밖의 단백질 형태에 따라 웨이브가 나오는 것이다. 열펌은 일반펌에서 로드의 물리적 힘이 작용하는 부분에 열이 이용되어 웨이브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열펌은 펌 시술시 열에의해 모발이 건조되는 것이므로 물기가 있을때 오히려 컬이 늘어지고 드라이를 했을 때 컬의 탄력도가 더 높다.
가장 대표적인 힘이 로드의 힘이다. 로드가 작용했을 때에 물리적 힘은 어떤 힘에 차이냐면 외곽과 바깥쪽의 이완되는 힘의 차이이다. 안쪽은 바깥쪽은 받는 힘, 바깥쪽은 내미는 힘이므로 외곽쪽이 더 많이 늘어나게 된다. 끊겼던 부분이 늘어났던 부분이 연결이 된다. 밑에쪽도 폭이 있지만 외곽쪽의 힘이 더 크다.
가장 대표적인 힘이 바로 열의 힘이다. 외곽쪽의 힘을 먼저 받는 것이 아니라 안쪽의 수축되는 힘이 더 강하다. 힘이 안쪽으로 들어오게 된다.
3. 열펌의 과정
모발진단 & 디자인결정 ==> 샴푸 ==> 연화(Hair Sorftning) ==>
ll
∨
< = = = = = = 와인딩 <= = 드라이 (열과 수분) < = = 헹굼
ll
∨
=> 모발에 따른 기계온도 = => 컬 테스트 = => 중화 & 롯드아웃
모발진단 & 디자인결정은 모질을 파악한 후 카운슬링을 통해 디자인결정을 하는데 이 때 고객의 의견을 먼저 듣고 그대로 따라가지 말고 시술자가 먼저 판단하여 고객에게 제시를 하면서 스타일을 결정하도록 한다.웨이브 열펌에서는 15cm이상의 층이 있는 커트스타일이 펌을 했을 때에도 가장 예쁘다. 그리고 샴푸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손상을 방지한다. 연화(Hair Sorftning)작업은일반 퍼머넌트 웨이브의 경우에는 샴푸의 과정 이후에 와인딩을 실시하지만 열 퍼머넌트 웨이브의 경우에는 1제를 사용하여 연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연화의 과정은 열 퍼머넌트 웨이브의 완성과 미완성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1액의 도포에서 유의 점은 열 퍼머넌트는 볼륨을 형성 시킬 조건이 떨어지므로 일반 퍼머넌트 웨이브보다 좀 더 주의하여 두피 부분에 가까이 1액을 도포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열 퍼머넌트 웨이브에서 열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모발에서 사용하며 건강모는 20분을 기준으로 열을 사용하고 손상모는 10~15분, 극손상모는 열을 사용하지 않거나 5분 내외의 열을 사용한다. 열을 대부분의 모발에서 사용하므로 모발진단에 매우 중요하다는것을 다시 한 번 상기하여야 한다. 열을 사용하고 컬 테스트 하는 동안의 터울은 약 5분 정도 가져야 하는데 이것은 컬 테스트의 오류를 막기 위해서이다. 열처리 이후 바로 컬 테스트를 실시하면 열의 사용으로 인해 모발이 쉽게 늘어나므로 모발의 연화 상태를 제대로 알 수 없다. 따라서 모발을 어느 정도 식혀서 컬 테스트 하여야 한다. 참고로 연화설정조건은 연화는 1제 도포 후 5~20분의 시간을 보는데 이때 손상의 정도와 펌의 종류에 따라 시간을 달리한다. 디지털은 5분에 가깝게 시간을 보고 셋팅은 그 중간을 매직은 20분에 가까운 시간을 둔다. 또 손상의 정도에 따라 손상이 심할수록 5분에 가깝게 보고 건강모일 수록 20분에 가까운 시간을 둔다. 이때 디지털, 손상모는 5분에 가깝게 시간을 보는데 정확히 5분의 시간을 보라는 것이 아니라 20분 보다 적은 시간을 두어 손상을 최소화 하라는 것이다.
처음 1액 도포 후 시간을 보고 연화가 되지 않아 다시 2차를 해야 할 조건이 나왔을 때 2차도포를 하거나 2차 시간을 두는데 이 때에는 아까와 같은 조건으로 손상모에 가까울수록 5분에 가까운 시간을 두고 건강모 일수록 20분에 가까운 시간을 둔다. 연화를 하는데 어느 부분은 연화가
2. 화학적 & 물리적 작용
일반펌은 화학적 작용과 물리적 작용으로 설명하는데 1제의 역할이 모발의 결합을 끊는 것으로 화학적 작용을 하고 결합이 끊어진 모발에 로드가 감겨 물리적인 힘으로 작용한다. 모발이 로드에 감길 때 텐션에 의해 로드의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힘이 작용하는데 로드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로드에 감긴 모발들 중 바깥쪽으로 갈수록 양쪽으로 늘어나야 하는 범위가 크므로 결국 가장 바깥쪽에 있는 모발이 가장 큰 힘이 들어간다. 따라서 안, 밖의 힘의 차이에 의해 모발이 그림처럼 양쪽으로 펴지는 정도의 차이가 생겨 모발의 결합이 어긋나고 다시 2제의 역할인 끊어진 결합을 재결합 시키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웨이브가 형성된다. 일반펌 에서는 열처리를 할 때에도 열이 와인딩된 모발의 바깥쪽부터 닿으므로 결국 열의 역할인 1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점도 모발의 바깥쪽에 가장 강하게 작용하여 바깥쪽의 모발의 결합이 더 많이 끊기게 되어 더욱 많이 늘어나게 되 안쪽과 바깥쪽의 결합은 더욱 어긋나게 된다. 일반펌은 모발의 결합-재결합의 성질만을 가지고 웨이브를 만들어 웨이브가 형성됐더라도 결국 재결합된 모발의 성질은 처음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중력의 힘을 받아 드라이를 하고나면 늘어지는 것이다. 열펌은 가수분해로 모발의 결합을 끊는다는 초기 과정은 일반펌과 다르지 않은데 그 후 일반펌은 와인딩 할 때까지 모발의 1제를 최대한 건조시키지 않는 것이 컬의 형성에 도움이 된다면 열펌은 오히려 1제 처리 후 1제를 모두 씻어내고 모발이 마른 상태에서 와인딩을 하게된다. 이 때 약간의 수분을 주어 컬의 형성에 도움을 주긴 하지만 열펌은 섹션을 크게 타므로 텐션의 개념이 일반펌에서 보다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한다. 결국 열펌은 물리적인 힘 보다는 열의 작용이 중요한테 일반펌과는 반대로 로드에서부터 열이 가해지기 때문에 안쪽에 더 많은 열이 가게 되고 바깥쪽은 덜 한 열을 받게되어 안쪽과 바깥쪽의 열전도율이 다르다. 열을 가했을 때 모발 안쪽 부분은 가장 빨리 더 많은 열이 닿기 때문에 가장 먼저 딱딱 해져 단백질 변성이 생기는데 이를 경단백질화 된다고 하는데 이렇게 안쪽이 경단백질화 되어 딱딱하게 굳어질 동안 바깥쪽은 열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이완되어 늘어난 상태 그대로 굳어져 결국 안, 밖의 열전도율의 차이에 의한 안, 밖의 단백질 형태에 따라 웨이브가 나오는 것이다. 열펌은 일반펌에서 로드의 물리적 힘이 작용하는 부분에 열이 이용되어 웨이브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열펌은 펌 시술시 열에의해 모발이 건조되는 것이므로 물기가 있을때 오히려 컬이 늘어지고 드라이를 했을 때 컬의 탄력도가 더 높다.
가장 대표적인 힘이 로드의 힘이다. 로드가 작용했을 때에 물리적 힘은 어떤 힘에 차이냐면 외곽과 바깥쪽의 이완되는 힘의 차이이다. 안쪽은 바깥쪽은 받는 힘, 바깥쪽은 내미는 힘이므로 외곽쪽이 더 많이 늘어나게 된다. 끊겼던 부분이 늘어났던 부분이 연결이 된다. 밑에쪽도 폭이 있지만 외곽쪽의 힘이 더 크다.
가장 대표적인 힘이 바로 열의 힘이다. 외곽쪽의 힘을 먼저 받는 것이 아니라 안쪽의 수축되는 힘이 더 강하다. 힘이 안쪽으로 들어오게 된다.
3. 열펌의 과정
모발진단 & 디자인결정 ==> 샴푸 ==> 연화(Hair Sorftning) ==>
ll
∨
< = = = = = = 와인딩 <= = 드라이 (열과 수분) < = = 헹굼
ll
∨
=> 모발에 따른 기계온도 = => 컬 테스트 = => 중화 & 롯드아웃
모발진단 & 디자인결정은 모질을 파악한 후 카운슬링을 통해 디자인결정을 하는데 이 때 고객의 의견을 먼저 듣고 그대로 따라가지 말고 시술자가 먼저 판단하여 고객에게 제시를 하면서 스타일을 결정하도록 한다.웨이브 열펌에서는 15cm이상의 층이 있는 커트스타일이 펌을 했을 때에도 가장 예쁘다. 그리고 샴푸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손상을 방지한다. 연화(Hair Sorftning)작업은일반 퍼머넌트 웨이브의 경우에는 샴푸의 과정 이후에 와인딩을 실시하지만 열 퍼머넌트 웨이브의 경우에는 1제를 사용하여 연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연화의 과정은 열 퍼머넌트 웨이브의 완성과 미완성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1액의 도포에서 유의 점은 열 퍼머넌트는 볼륨을 형성 시킬 조건이 떨어지므로 일반 퍼머넌트 웨이브보다 좀 더 주의하여 두피 부분에 가까이 1액을 도포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열 퍼머넌트 웨이브에서 열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모발에서 사용하며 건강모는 20분을 기준으로 열을 사용하고 손상모는 10~15분, 극손상모는 열을 사용하지 않거나 5분 내외의 열을 사용한다. 열을 대부분의 모발에서 사용하므로 모발진단에 매우 중요하다는것을 다시 한 번 상기하여야 한다. 열을 사용하고 컬 테스트 하는 동안의 터울은 약 5분 정도 가져야 하는데 이것은 컬 테스트의 오류를 막기 위해서이다. 열처리 이후 바로 컬 테스트를 실시하면 열의 사용으로 인해 모발이 쉽게 늘어나므로 모발의 연화 상태를 제대로 알 수 없다. 따라서 모발을 어느 정도 식혀서 컬 테스트 하여야 한다. 참고로 연화설정조건은 연화는 1제 도포 후 5~20분의 시간을 보는데 이때 손상의 정도와 펌의 종류에 따라 시간을 달리한다. 디지털은 5분에 가깝게 시간을 보고 셋팅은 그 중간을 매직은 20분에 가까운 시간을 둔다. 또 손상의 정도에 따라 손상이 심할수록 5분에 가깝게 보고 건강모일 수록 20분에 가까운 시간을 둔다. 이때 디지털, 손상모는 5분에 가깝게 시간을 보는데 정확히 5분의 시간을 보라는 것이 아니라 20분 보다 적은 시간을 두어 손상을 최소화 하라는 것이다.
처음 1액 도포 후 시간을 보고 연화가 되지 않아 다시 2차를 해야 할 조건이 나왔을 때 2차도포를 하거나 2차 시간을 두는데 이 때에는 아까와 같은 조건으로 손상모에 가까울수록 5분에 가까운 시간을 두고 건강모 일수록 20분에 가까운 시간을 둔다. 연화를 하는데 어느 부분은 연화가
추천자료
[업스타일] 업스타일(Up Style/올림머리)의 종류와 기법 - 업스타일 용어, 디자인요소, 원리,...
퍼머넌트 웨이브) 스트레이트퍼머넌트의 이해와 적용
퍼머넌트 웨이브 (특수롯드퍼머의 이해 및 적용)
미용학습을 위한 미용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수분 함유량에 따른 세팅 퍼머넌트의 물리적 특징
수분함유량에 따른 디지털퍼머넌트의 물리적 특징
Curling Rod의 종류에 따른 Permanent wave 형성정도의 준거값 제시에 대한 연구
열기기에 의한 Permanent WaveCurl formation과 Curl duration의차 연구
여성 모발의 연령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의 형성률과 지속률의 차에 대한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