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자원연결 기능
II. 정책 점검과 수정 및 지지 기능
III. 사례관리 기능
IV. 업무량 관리 기능
V. 직원의 전문성 촉진 기능
VI. 인간 서비스 조직에서 정책, 서비스,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며 수행하는 기능
VII. 이익집단 동원과 참여 기능
* 참고문헌
II. 정책 점검과 수정 및 지지 기능
III. 사례관리 기능
IV. 업무량 관리 기능
V. 직원의 전문성 촉진 기능
VI. 인간 서비스 조직에서 정책, 서비스,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며 수행하는 기능
VII. 이익집단 동원과 참여 기능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복지사는 기관 정책을 수행하고 그 프로그램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사회복지사는 자신에게 주어진 정책, 서비스, 프로그램 등을 실행해야 할 책임이 있다.
기관의 이사회나 운영자와 행정 보직자는 이미 기관의 목적을 규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행정적 지침을 만들었으며 그 지침에 의해 기관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할당하고 있다.
조직의 규모와 복잡성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행정 보직자나 조직 내에서 의사결정을 하는 지위에 있는 사회복지사는 정책, 서비스,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며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VII. 이익집단 동원과 참여 기능
사회복지사는 서비스 이용자를 위해 환경과 사회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때, 사회변화를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문제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경향을 분석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종합해야 하고, 의사결정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결과를 보고해야 한다. 문제에 관한 개인적인 이해를 사회 변화 노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관심 있는 개인, 집단, 그리고 조직을 동원하고 활기를 불어넣어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는 구조적 불평등과 억압을 행하는 이를 포함하여 기존의 구조적 블평등과 억압에 반대해야 한다.
사회복지적 개입을 다루는 이론과 양식의 새로운 방향은 지금까지 그래 왔던 것보다는 좀 더 전체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실친의 복잡성을 해결해야 한다. 사회복지사는 서비스 이용자가 살고 있는 불확실하고 난해한 세계를 다루고 사회적으로 소외된 사람의 일상생활 속에서 사회정의를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이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관여해야 한다. 이는 우리에게 인권과 사회정의의 기본틀 내에서 실천을 위한 적극적인 시민권의 기초를 제공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기관의 이사회나 운영자와 행정 보직자는 이미 기관의 목적을 규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행정적 지침을 만들었으며 그 지침에 의해 기관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할당하고 있다.
조직의 규모와 복잡성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행정 보직자나 조직 내에서 의사결정을 하는 지위에 있는 사회복지사는 정책, 서비스,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며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VII. 이익집단 동원과 참여 기능
사회복지사는 서비스 이용자를 위해 환경과 사회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때, 사회변화를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문제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경향을 분석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종합해야 하고, 의사결정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결과를 보고해야 한다. 문제에 관한 개인적인 이해를 사회 변화 노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관심 있는 개인, 집단, 그리고 조직을 동원하고 활기를 불어넣어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는 구조적 불평등과 억압을 행하는 이를 포함하여 기존의 구조적 블평등과 억압에 반대해야 한다.
사회복지적 개입을 다루는 이론과 양식의 새로운 방향은 지금까지 그래 왔던 것보다는 좀 더 전체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실친의 복잡성을 해결해야 한다. 사회복지사는 서비스 이용자가 살고 있는 불확실하고 난해한 세계를 다루고 사회적으로 소외된 사람의 일상생활 속에서 사회정의를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이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관여해야 한다. 이는 우리에게 인권과 사회정의의 기본틀 내에서 실천을 위한 적극적인 시민권의 기초를 제공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그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다양한 역할 중 옹호자...
성폭력피해자 및 가족을 위한 위기개입 및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사회복지사 역할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무척 다양하게 설명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설명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그 역할 중 1개를 선택...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그 역할 중 1개를 선택하여 자신의 생각은...
일반적인 사회복지사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설명하고 그 중 본인의 강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소개하고 특징을 설명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실천론] 거시(macro)수준의 사회복지실천 현장 중 1곳을 선택하여 사회복지사의 역...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그 기능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