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미국
II. 영국
III. 일본
* 참고문헌
II. 영국
III. 일본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경도에 있어서 현재까지의 사회복지의 종합적인 전개에 대한 중간보고서“에서 일본의 행정적인 측면에서는 처음으로 사례관리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그 필요성을 지적하였다.(古川孝順 1992:204)
그 다음 해인 1985년에 동경도사회복지협의회가 \"재가복지추진에 있어서 사례관리 수행에 시구정촌사협은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J라는 위원회보고서를 간행하여 사례관리를 시구정촌사협 역할에 맞게 수행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자질을 가진 전임 직원을 케이스 매니저로서 연수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이어 1986년 전국 사회복지협의회가 사회복지기본구상간담회에서 \"사회복지개혁의 기본구상\"을 발표하고 사례관리의 체제 확립과 인력양성을 제안하였으며, 1989년 6월 사례관리연구위원회를 발족시켜 “사례관리\"라는 책자를 간행하고 있다.
1994년 후생성(厚生省) 고령자 개호 자립지원제도연구회에서 새로운 고령자 개호지원제도 구축을 목적으로 개호보험의 창성을 제시하고, 실행체계로서 사례관리를 확립시킬 것을 제시하고, 사례관리의 기능을 위해 (1) 전문적 상담 조언 (2) 욕구의 파악과 케어 계획의 작성 (3) 서비스 이용에 결부시키는 일 (4) 적절한 서비스 이용의 계속적 확보와 사례관리 체제로서 보건 의료 복지 담당자들로 케이스 팀을 구생하여 모든 종합적인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제공하게 하였다.
1995년 노인보건복지심의회에서 \"새로운 고령자 개호제도에 있어서의 개호급부에 대하여 라는 구상을 발표하고 그 기본이념으로 (1) 고령자 개호에 대한 사회적 지원 (2) 고령자 자신의 선택을 통한 레이스 매니지먼트의 확립 (3) 종합적 일체적인 서비스 제공을 들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사례관리와 최근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중인 개호보험과 연관시키려는 의도가 강하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그 다음 해인 1985년에 동경도사회복지협의회가 \"재가복지추진에 있어서 사례관리 수행에 시구정촌사협은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J라는 위원회보고서를 간행하여 사례관리를 시구정촌사협 역할에 맞게 수행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자질을 가진 전임 직원을 케이스 매니저로서 연수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이어 1986년 전국 사회복지협의회가 사회복지기본구상간담회에서 \"사회복지개혁의 기본구상\"을 발표하고 사례관리의 체제 확립과 인력양성을 제안하였으며, 1989년 6월 사례관리연구위원회를 발족시켜 “사례관리\"라는 책자를 간행하고 있다.
1994년 후생성(厚生省) 고령자 개호 자립지원제도연구회에서 새로운 고령자 개호지원제도 구축을 목적으로 개호보험의 창성을 제시하고, 실행체계로서 사례관리를 확립시킬 것을 제시하고, 사례관리의 기능을 위해 (1) 전문적 상담 조언 (2) 욕구의 파악과 케어 계획의 작성 (3) 서비스 이용에 결부시키는 일 (4) 적절한 서비스 이용의 계속적 확보와 사례관리 체제로서 보건 의료 복지 담당자들로 케이스 팀을 구생하여 모든 종합적인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제공하게 하였다.
1995년 노인보건복지심의회에서 \"새로운 고령자 개호제도에 있어서의 개호급부에 대하여 라는 구상을 발표하고 그 기본이념으로 (1) 고령자 개호에 대한 사회적 지원 (2) 고령자 자신의 선택을 통한 레이스 매니지먼트의 확립 (3) 종합적 일체적인 서비스 제공을 들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사례관리와 최근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중인 개호보험과 연관시키려는 의도가 강하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A+레포트]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례관리와 심리치료 및 개입방법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에서의 사례관리의 필요성에 대하여 서술하고, 사례관리의 핵심적 ...
[사회복지실천론] 사례관리의 등장배경 발달과정 구성요소 등을 서술하시오 [사례관리]
사례관리가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지 서술하시오.
[사회복지실천론] 임파워먼트 모델의 개념과 등장배경, 이론적 기반, 원칙을 설명하고 자신...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사회복지사의 기술 사례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례관리의 등장배경을 서술하시오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례관리의 등장배경을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