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닌저 생화학 제7판 1, 2장 요약,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레닌저 생화학 제7판 1, 2장 요약,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르발스 반지름이 있으며, 그것은 원자가 다른 원자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거리의 척도가 된다.
(8) 약한 상호작용은 거대 분자의 구조와 기능에 중요하다
- 비공유결합성 상호작용(수소결합, 이온결합, 소수성, 반데르발스 상호작용)은 공유결합보다 훨씬 약하다.
- 4가지 형태의 결합은 개별적으로는 공유결합에 비하면 약하지만 그 수가 많기 때문에 단백질과 핵산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
(9) 용질은 수용성 용액의 총괄성 특성에 영향을 준다
- 총괄성(“함께 결합한”) 특성: 용매인 물의 수증기압, 끓는점, 녹는점(어는점), 삼투압의 물리적 특성
- 물의 총괄성 특성에 대한 용질의 농도의 효과는 용질의 화학적 특성과 관계없고 오로지 주어진 양의 물에서 용질 입자(분자, 이온)의 숫자에 좌우된다.
- 삼투압 (i: 반트호프 계수, 용질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이온으로 해리되는 정도)
- 오스몰농도(osmolarity): ic
- 삼투(osmosis): 삼투압의 차이로 인해 반투과막을 통과하는 물의 이동
- 등장액(isotonic): 동일한 오스몰 농도의 용액
- 고장액(hypertonic) 속에서 세포는 물이 흘러 나감에 따라 쪼그라든다.
- 저장액(hypotonic) 속에서는 세포가 부풀어 터지고 만다.
- 세균과 식물은 매우 단단하면서 팽창하지 않는 세포벽이 삼투압을 막을 수 있는 강도로 원형질막을 둘러싸고 있어서 삼투성 용해를 방지한다.
1.2 물, 약산 그리고 약염기의 이온화
(1) 순수한 물은 약하게 이온화된다
-
- 물에서 형성된 수소이온은 즉시 하이드로늄 이온(hydronium ion, )으로 수화된다.
- 평형상수
- 평형상수는 특정한 온도에서 일정하며 어떤 화학 반응에 대해서도 고유하다. 또한 반응물과 생성물의 초기 양에 관계없이 그 반응의 최종 평형 혼합물의 조성을 결정하게 된다.
(2) 물의 이온화는 평형상수로 나타낸다
-
- (: 25℃에서 물의 이온곱)
(3) pH 값은 과 농도를 나타낸다
-
- pH는 산술적이 아니라 대수적이라는 점에 특히 주의를 해야 한다.
- 정상 혈장 pH: 7.4
(4) 약산과 약염기는 특징적인 해리 상수를 가지고 있다
- 산은 양성자 주개, 염기는 양성자 받개라고 정의한다. 어떤 양성자 주개와 그것에 대응하는 양성자 받개는 짝산-염기쌍(conjugate acid-base pair)을 구성한다.
-
- : 이온화 상수 또는 산 해리 상수
- 양성자를 해리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산은 강해지고 그 는 작아진다.
(5) 적정곡선은 약산의 를 나타낸다
- 적정: 어떤 용액에 들어있는 산의 양을 정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 일정 양의 산을 농도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강염기, 일반적으로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한다.
- 적정곡선(titration curve): 중화점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된 의 양에 따르는 용액의 pH를 표시한 그림, 이 곡선으로부터 약산의 를 알 수 있다.
2.3 생물계의 pH 변화에 대한 완충 작용
(1) 완충액은 약산과 그 짝염기의 혼합물이다
- 완충액(buffer): 소량의 산() 또는 염기()가 첨가되었을 때 pH 변화에 저항하는 경향을 가진 수용액
- 완충 영역: 약산의 범위, 적정곡선에서 비교적 평탄한 기울기를 갖는 영역
(2) 헨더슨-하셀발흐식은 pH, 그리고 완충제 농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 모든 약산의 적정곡선은 헨더슨-하셀발흐식에 의해서 표현된다.
-
- 헨더슨-하셀발흐식으로,
① 주어진 pH와 양성자 주개와 양성자 받개의 몰 비로부터 값을 계산할 수 있고,
② 주어진 와 양성자 주개와 양성자 받개의 몰 비로부터 pH를 계산할 수 있으며,
③ 주어진 pH와 로부터 양성자 주개와 양성자 받개의 몰 비를 계산할 수 있다.
(3) 약산 또는 약염기는 pH 변화에 대해서 세포와 조직에 완충 작용을 한다
- 2가지의 특별히 중요한 생물학적 완충계는 인산염과 중탄산염계이다.
① 인산염 완충계: 모든 세포의 세포질에서 작용한다.
-
- 의 6.86에 가까운 pH에서 최대의 완충능을 나타낸다. (5.9~7.9)
② 중탄산염계: 혈장의 주요한 완충계
-
-
-
- pH 7.4 근처에서 효과적인 생리적 완충작용을 갖는다.
(4) 당뇨병을 방치하면 치명적인 산증을 일으킨다
- 사람 혈장은 정상적으로 pH가 7.35에서 7.45를 갖는데, 혈액의 많은 효소들은 이 영역 내에서 최대 활성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었다. (효소는 최적 pH에서 최대 촉매활성을 나타낸다.)
- 치료되지 않은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부족 혹은 인슐린 저항성으로 혈액으로부터 조직으로 포도당을 흡수하는 데 장해가 생기고 조직이 저장된 지방에 의존한다. 그 결과, 고농도의 두 카복실산인 -하이드록시부틸산과 아세토아세트산이 축적된다. 이 산들의 해리는 혈장의 pH를 7.35 미만으로 떨어뜨려 산증을 유발한다.
- 금식과 기아는 저장된 지방산을 쓰게 만들어 당뇨병과 같은 결과를 낸다. 매우 심한 운동, 신부전, 폐질환 등도 산증을 유발할 수 있다.
2.4 반응물로 작용하는 물
- 물은 세포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위한 용매로서만 아니라, 흔히 직접적인 반응 참여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ex. 축합 반응(condensation reaction), 가수분해 반응(hydrolysis reaction), 산화-환원 반응
2.5 생물을 위한 물 환경의 적합성
- 물의 높은 비열은 세포와 조직에 매우 유용하다. 물이 “열의 완충액”으로 작용하여 체온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 물의 높은 기화열이 땀을 통한 과잉 체열의 방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 액체인 물에서 수소결합에 의하여 생긴 고도의 내부 응집력은 식물의 증산과정을 통해서 용해된 영양물을 뿌리에서 잎으로 운반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 얼음은 액체인 물보다 밀도가 낮다. 연못은 위에서부터 밑으로 얼어가고 위쪽의 얼음 층은 아래쪽의 물을 찬 외기로부터 차단해서 그 연못이 고체 상태로 어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 세포의 거대분자, 특히 단백질과 핵산에 있는 여러 중요한 물리학적이고 생물학적인 성질이, 주위의 매질인 물 분자와의 상호작용으로부터 파생된다.

키워드

생화학,   레닌저,   제7판,   1장,   2장,   요약,   정리,   의대,   약대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0.03.13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6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