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북한의 언어관과 언어 정책
1) 북한의 언어관
2) 북한의 언어 정책
2. 북한의 언어규범
1)남북한의 맞춤법 규정 비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북한의 언어관과 언어 정책
1) 북한의 언어관
2) 북한의 언어 정책
2. 북한의 언어규범
1)남북한의 맞춤법 규정 비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 언어생활에서 올바른 기풍을 세워야만 근로자들의 사업 방법과 사업 작품을 개선 할 수 있다.
- 언어규범을 올바르게 세워야만 사회주의 민족어를 잘 건설할 수 있다.
- 문자의 개혁, 발전은 언어의 정리, 발전과 함께 혁명과 건설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문제이다.
- 우리말을 미제국주의자들로부터 지켜내는 것은 혁명발전의 합법적 요구이다.
이상과 같은 북한 노동당의 언어 정책은 언어가 혁명과 건설의 힘 있는 무기라는 유물론 적
언어관에 근거하여 설정된 것이며, 최근에 와서는 김일성의 주체언어이론이 그것을 직접 뒷받
침하고 있다. 북한의 주체언어이론이라는 것은 따지고 보면 남한의 국어순화이론과 거의 차이
가없다. 목적은 다르지만 방법과 성과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을 것이다. 또한 북한의 언어
정책을 면밀히 살펴보면 우리의 언어정책을 보완하는 게기도 될 수 있을 것이다. 고영근 「북한의 언어문화」(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p208
2.북한의 언어 규범 고영근 편 「북한 및 제외교민의 철자법 집성」(도서출판 영락, 2000)
- 남한의 언어규범과의 비교를 통한 북한의 언어규범 알아보기.
1) 남북한의 맞춤법 규정 비교
언어가 민족의 정신을 표현한다고 할 때, 언어규범 분야의 교류와 통일방안의 강구는 반세기
분단의 아픔을 극복하고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는데 더욱 중요하다. 특히 대표적인 언어규범
이라 할 수 있는 맞춤법의 통일방안은 다른 어느 분야보다도 우선시해야 할 부분이라 할 것이
다. 남북 공통의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한다고 할 때 부딪치는 가장 큰 문제는, 기초가 되
는 규범문법의 체계를 어떻게 세울 것인가. 하는 점도 동시에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
다.
현재 남쪽의 규범문법은 용언의 활용을 인정하는 문법모형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북쪽은
용언의 어미도 체언에 붙는 조사와 함께 ‘토’ 이은정 「남북한 어문규범 고찰」(백산출판사, 1996) p118
라는 테두리에 넣되 단어로 인정하지 않는 종합
적 문법모형을 택하고 있다. 또 문법용어도 다른 것이 많아 용어의 통일을 이루지 않으면 혼란
스러움의 소지가 많다. 김민수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국학자료원, p129-130
이런 상극된 문법모형을 일원화하지 않고는 통일된 맞춤법의 제정이 어렵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한글맞춤법(1988)
조선말규범집(1988)
체제
총칙과 본문 6장 57항
(띄어쓰기와 문장부호법 포함)
총칙과 본문 7장 27항
(띄어쓰기와 문장부호법 별도)
총칙
제1항 표준어를 소리나는 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어에서 뜻을 가지는 매개 부분을 언제나 같게 적는 원칙을 기본으로 하며 일부 경우 소리나는 대로 적거나 관습에 따르는 것을 허용한다.
자모의 수
24자모
40자모
자모의 명칭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ㄲ(쌍기역) ㄸ(쌍디귿)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읒)
ㄱ(기윽,그) ㄴ(니은,느) ㄷ(디
- 언어생활에서 올바른 기풍을 세워야만 근로자들의 사업 방법과 사업 작품을 개선 할 수 있다.
- 언어규범을 올바르게 세워야만 사회주의 민족어를 잘 건설할 수 있다.
- 문자의 개혁, 발전은 언어의 정리, 발전과 함께 혁명과 건설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문제이다.
- 우리말을 미제국주의자들로부터 지켜내는 것은 혁명발전의 합법적 요구이다.
이상과 같은 북한 노동당의 언어 정책은 언어가 혁명과 건설의 힘 있는 무기라는 유물론 적
언어관에 근거하여 설정된 것이며, 최근에 와서는 김일성의 주체언어이론이 그것을 직접 뒷받
침하고 있다. 북한의 주체언어이론이라는 것은 따지고 보면 남한의 국어순화이론과 거의 차이
가없다. 목적은 다르지만 방법과 성과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을 것이다. 또한 북한의 언어
정책을 면밀히 살펴보면 우리의 언어정책을 보완하는 게기도 될 수 있을 것이다. 고영근 「북한의 언어문화」(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p208
2.북한의 언어 규범 고영근 편 「북한 및 제외교민의 철자법 집성」(도서출판 영락, 2000)
- 남한의 언어규범과의 비교를 통한 북한의 언어규범 알아보기.
1) 남북한의 맞춤법 규정 비교
언어가 민족의 정신을 표현한다고 할 때, 언어규범 분야의 교류와 통일방안의 강구는 반세기
분단의 아픔을 극복하고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는데 더욱 중요하다. 특히 대표적인 언어규범
이라 할 수 있는 맞춤법의 통일방안은 다른 어느 분야보다도 우선시해야 할 부분이라 할 것이
다. 남북 공통의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한다고 할 때 부딪치는 가장 큰 문제는, 기초가 되
는 규범문법의 체계를 어떻게 세울 것인가. 하는 점도 동시에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
다.
현재 남쪽의 규범문법은 용언의 활용을 인정하는 문법모형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북쪽은
용언의 어미도 체언에 붙는 조사와 함께 ‘토’ 이은정 「남북한 어문규범 고찰」(백산출판사, 1996) p118
라는 테두리에 넣되 단어로 인정하지 않는 종합
적 문법모형을 택하고 있다. 또 문법용어도 다른 것이 많아 용어의 통일을 이루지 않으면 혼란
스러움의 소지가 많다. 김민수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국학자료원, p129-130
이런 상극된 문법모형을 일원화하지 않고는 통일된 맞춤법의 제정이 어렵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한글맞춤법(1988)
조선말규범집(1988)
체제
총칙과 본문 6장 57항
(띄어쓰기와 문장부호법 포함)
총칙과 본문 7장 27항
(띄어쓰기와 문장부호법 별도)
총칙
제1항 표준어를 소리나는 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어에서 뜻을 가지는 매개 부분을 언제나 같게 적는 원칙을 기본으로 하며 일부 경우 소리나는 대로 적거나 관습에 따르는 것을 허용한다.
자모의 수
24자모
40자모
자모의 명칭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ㄲ(쌍기역) ㄸ(쌍디귿)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읒)
ㄱ(기윽,그) ㄴ(니은,느) ㄷ(디
키워드
추천자료
남북한의 언어이질화와 그 극복 방안에 대하여
남북언어차이 과연 어떻게 볼것인가?
해방 이후 1950년대까지의 한국 민주주의 - “냉전 반공주의와 조숙한 민주주의”
남과 북의 언어차이
북한의 경제 북한의 사회 북한의 군사 북한의 정치 북한의 교육 그리고 통일교육
남북한 사회문화 특성비교와 사회통합에 있어 통일교육의 방향
[남북통일정책][통일][통일정책][남북통일][한반도통일][대북정책][남북관계]남북통일정책 전...
[남북한언어][남북한언어정책][북한어][남북어][언어정책]남북한의 언어차이, 남북한 언어정...
[남북 언어정책][남북 어휘][남북 규범문법][남북 언어통일]남북한 언어정책의 비교, 남북한 ...
소개글